물고기는 알고 있다 - 물속에 사는 우리 사촌들의 사생활
조너선 밸컴 지음, 양병찬 옮김 / 에이도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초 기억력’, ‘무표정에, 소리도 지르지 않고, 고통도 못 느끼며, 눈물도 없는 냉혈동물’, ‘오래전 진화를 멈춘 원시적 생명체.’ 저자는 이 모든 생각들이 인류가 물고기에 대해 갖고있는 지독한 편견들이라고 말한다.

저자 조너선 밸컴(Jonathan Balcombe)은 영국에서 태어나 토론토의 요크대와 오타와의 칼레튼대에서 생물학을 공부했다. 그는 테네시대에서 박쥐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우리는 흔히 생물계를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의 다섯 개 그룹으로 분류한다. 저자는 어류의 종은 다른 네 그룹의 가짓수를 합한 것보다 훨씬 많다면서, 이런 분류는 어류의 심오한 특징을 잘 나타내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2011년 9월 현재 어류는 32,100종, 482과, 57목 등재되어 있다. 이 수치는 지구상 척추동물 중 60퍼센트를 차지한다.

저자에 따르면 어류는 경골어류와 연골어류로 나뉘어야 한다. 경골어류와 연골어류의 차이는 포유류와 조류의 차이에 비견된다는 것이다. 저자의 관점이 신선하다. 이 책은 그의 주장이 억지가 아니며, ‘물 속에 사는 우리 사촌들의 사생활’(The Inner Lives of Our Underwater Cousins)이라는 부제 역시 결코 허튼 말이 아님을 알게 해준다.

저자는 이 책을 쓰기 위해 4년간 자료를 연구했다. 그는 많은 마니아들을 만나 경험담과 일화를 모으고, 수많은 연구 성과와 관련 정보를 조사했다.

 

저자 조너선 밸컴(Jonathan Balcombe). 그의 홈페이지(http://jonathan-balcombe.com)를 방문하면 더 많은 정보와 글을 볼 수 있다.

 

책은 총 7부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물고기에 대한 인류의 잘못된 편견(1부)을 짚어본다. 이어 2부에서 6부까지 물고기가 갖고 있는 놀라운 능력을 최근 연구 성과와 실험 결과로 실증해 보인다. 즉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 등 물고기의 감각(2부), 뇌·의식·인식과 관련된 물고기의 느낌(3부), 물고기의 지능과 학습을 다룬 물고기의 생각(4부), 협동·사회계약 등 물고기의 사회생활(5부), 물고기의 성생활과 양육에 관한 물고기의 번식(6부)이다. 마지막으로 물고기가 남획되고 착취되는 부수어획과 양식 등의 실태를 고발(7부)한다.

 

우선 그는 5억 5천 만 년 전인 캄브리아기에 최초로 등장한 물고기의 진화사를 살펴본다. 인류가 지구에서 살아온 시간을 1초라고 했을 때, 물고기는 4분이 넘게 이미 살아왔다.

물고기가 ‘원시적’이라는 편견은 ‘물속에 살던 생물들은 그들 중 일부가 육지로 기어 올라간 이후 진화를 멈췄다’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진화는 쉼 없이 계속된다는 것은 상식이다. 저자에 따르면 현존하는 물고기 중 약 절반은 우리보다 원시적이지 않다. 심지어 물고기는 손가락을 만드는 유전기구를 갖고 있다. 하지만 물속에서는 손가락보다 지느러미가 훨씬 유용하다.

‘물고기의 기억력은 3초’라는 악명은 간단한 실험을 통해 낭설인 것으로 밝혀졌다. 암초 주변을 유심히 관찰하면 ‘청소부와 고객 간의 상리공생’이라는 물고기들의 사회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물고기들은 멍청한 얼간이며, 본능의 노예’라는 인간의 자만심을 여지없이 깨뜨린다.

여기서 저자가 추천하는 영상 한 편을 감상하자. 금붕어도 딱따기훈련(clicker training)으로 굴렁쇠를 통과하거나 미니 축구골대에 공을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는 조건화 또는 연관학습을 통해 이루어진다.

 

 

훈련자는 물고기가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특정 자극(예를 들어 플래시 불빛)을 주고, 즉시 먹이를 보상으로 제공한다. 그러면 물고기는 곧 ‘굴렁쇠 통과하기+플래시 불빛’을 보상과 연관시키게 된다. 이윽고 물고기는 플래시 불빛만 보고도 굴렁쇠를 통과할 것이며, 바라건대 먹이를 주지 않더라도 과제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저자는 이 모습은 개, 고양이, 토끼, 쥐의 딱따기훈련에 사용되는 접근방법과 완전히 똑같다고 말한다.

물고기 역시 오감을 느낀다는 사실도 흥미롭다. 예를 들어 송어에 대한 통증 실험은 통증 인지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일부 학자들은 물고기의 뇌에 신피질이 없어 고통을 느낄 수 없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벌독이나 식초, 바늘로 통증을 유발한 실험에서 송어의 아가미 개폐 횟수는 다르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아가미를 열고 닫는 횟수가 두 배 가까이 늘어났다.

미끼로 인해 상처를 입은 물고기가 갈고리를 피하는 현상도 잉어의 경우 최대 3년이나 지속된다는 실험결과도 나와 있다. 한 번 물었던 낚싯바늘에 또 걸리는 것은 모자란 지능 탓이 아니다. 단지 몹시 굶주린 탓에 식욕이 통증의 트라우마를 압도하기 때문이다.

 

2016년 원서가 출간됐을 때 《포브스》에서 ‘올해 최고의 과학책’으로 선정했다.


저자에 따르면 물고기는 단지 지각만 있는 게 아니라, 의식 수준이 높고 의사 소통을 하며, 사회성이 있고 도구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도덕적이고 심지어 마키아벨리언이기까지 하다.

그는 말미에 지각력 있는 물고기도 도덕적 권리를 인정해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제대로만 알면, 인간은 세상에서 훌륭한 공동선을 얼마든지 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달라이 라마가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동물은 물론 모든 생물의 존엄성을 깨달았으면”한다고 추천한 이유도 같은 맥락에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건 물고기들이 뇌를 이용하여 생존하고 번성한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물고기의 도덕적 지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한 방법 중 하나는 지능이 아니라 의식 및 인지능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었다. (중략) 한번 생각해보자. 우리는 정신적으로 쇠약해진 사람을 보고, 지능이 저하되었다는 이유로 기본적인 도덕적 권리까지 부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와 새 그리고 물고기가 지각력을 가진 게 분명하다면, 굳이 지능지수가 얼마인지까지 따져볼 필요는 없는 게 아닐까? 윤리학의 토대는 지각력(감정을 느끼고, 통증을 인식하고, 기쁨을 경험하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도덕공동체의 구성원에게 필요한 자질은 지능이 아니라 지각력이다.” - 318쪽

 

옮긴이 양병찬 씨는 경영학을 전공한 약사다. 그는 약사로 일하며 틈틈이 의약학과 생명과학 분야의 글을 번역하고 있다. 옮긴이의 능준한 솜씨 덕분에 꼼꼼하면서도 우아한 저자의 필력을 온새미로 맛볼 수 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양이라디오 2017-03-14 15: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야~ 상당히 기대되는 책이네요.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물고기에 대한 편견이 많이 무너질 것 같습니다. 흥미로운 리뷰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랑지기 2017-03-14 15:34   좋아요 1 | URL
넘 감사합니다~ 이 책 추천드리고 싶어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

rene 2017-03-15 01: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잘 읽었어요.궁금한게 있는데..혹시 책 속에 물고기 이미지나 그림이 나오나요?아니면 글로된 텍스트만 있는건지^^미리보기엔 앞부분만 있어서 가늠이 안되네요 ㅎ

사랑지기 2017-04-10 21:10   좋아요 0 | URL
사진이나 그림은 없이 텍스트만 있어요~ 그래도 읽어 보면 너무나 흥미진진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