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엄마 떠나길 잘했어 - 청춘이 시작되는 17살 딸과 청춘이 끝나가는 41살 엄마, 겁 없이 지구를 삼키다!
박민정.변다인 지음 / 마음의숲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와 딸이 1년간 세계여행을 다녀오고 쓴 세계여행기이다. 딸과 엄마가 일년간 유럽과 남미를 여행하면서 느꼈던 여행기로 모녀지간의 글이 번갈아 가면서 나온다. 엄마와 딸이 서로 다른 관점에서 세상을 보며 글을 써서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17살이었어요. 나름 고민도 많고 걱정도 많았죠. 그러던 어느날 문득, 엄마한테 공부는 왜 해야 하냐고 물었어요. 그러면서 나 내꿈이 뭔지 모르겠다고도 했어요. 나를 물끄러미 보고만 있던 엄마는 다음 날, 함께 여행을 가지 않겠냐고 말했어요." 8쪽

"공부는 왜 해야 돼? 난 앞으로 뭘 해야 할까?"

다인이가 황당한 질문을 던졌다. 그리고 이어지는 질문

"엄만 왜 살아?"

17살인 딸도, 41살인 나도 답이 없었다. 그날 온종일 우리는 대책없이 진지해져 버렸다. 그리고 고민 끝에, 1년 동안 여행을 가기로 결심했다. 12쪽​

​ 이 글을 보고 나의 중고등학교 시절이 떠올랐다. 나도 엄마한테 저자와 같은 질문을 많이 했기 때문이다. "엄마 사는게 뭐야?" 이런 질문을 엄마에게 종종 하곤 했다. 그때 엄마는 "사는게 사는거지 뭐야" 이렇게 말씀하셨다.

 사는게 뭘까라는 사춘기적 질문이 내가 세계여행을 하고 책을 읽게 하는 원동력이 되는것 같다. 나는 세상사는것에 대한 물음을 찾기위해 여행다니고 명상을하고 책을읽고 하는 행동을 지금까지 하고 있다.

​ 하지만 이런 정답없는 질문에 대한 답은 평생을 찾아야 할것 같은 생각이 든다.

​저자는 러시아, 핀란드, 스웨덴,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프랑스, 이탈리아, 쿠바, 멕시코,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브라질​를 다녀왔다. 내가 다녀온 나라가 몇 개 되지 않는다. 하지만 내 배낭 여행 경험을 통하여 저자가 경험하였던 낯선 나라에서의 긴장감이나 재미에 관하여 충분히 공감이 되었다.

​ 책에는 그 나라를 여행하면서 유용한 여행 정보를 팁으로 적어 놓아 여행 가이드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그렇게 떠난 여행, 엄마와 나는 처움부터 끝까지 너무 많이 헤메고 싸우고 울었어요. 평생해야 할 바보짓을 여행 중에 다 해버렸다고나 할까요. 바보짓을 하고 나면 우리는, 우리가 한 바보짓 중에서 이번 건 몇 등일까 얘기하며 우울한 기분을 날려버리곤 했죠. 아!그래도 물론 좋았던 순간이 훨씬 더, 더, 더 많았어요. 날아오를 듯한 순간들로 가득했죠!" 10쪽

​ 배낭여행을 몇번하면서 친했던 친구들과 현지에서 의견 다툼이 있었던 기억이 났다. 아무리 친한 사람들이라도 함께 여행을 가면 다투기 마련이다. 서로 가고 싶은데가 다르고 하고 싶은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투면서도 여행을 갔다오더라도 여행의 경험을 공유하였기에 여행 동행자와 더 끈끈한 정을 갖게 된다.

"여행에서 우리가 얻은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세상이 상상이 아니라 현실이라는 점이다. 많은 불합리와 부조리 속에서도 사람들은 눈물겹게 살고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세상일에 관심이 많아졌고, 따뜻하게 바라보고 싶어졌다. 그렇게 소풍 가듯 떠났던 여행은 거창한 결과를 바라지 않았던 것만큼 참 좋았다." 366쪽

​ 여행을 갔다 한국으로 돌아오면 항상 다시 제자리이다. 다시 현실이다. 여행을 갔다오면 내가 과연 무엇을 얻은것이 있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다시 일상 생활을 하면서 여행 갔던 기억이 문뜩 문뜩 떠오르면서 현재를 사는데 힘을 주곤 한다. 여행의 추억이 힘이 되고 위로가 되어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웨덴, 삐삐와 닐스의 나라를 걷다 - 문화와 역사가 함께하는 스웨덴 열두 도시 이야기
나승위 글.사진 / 파피에(딱정벌레)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가족과 함께 스웨덴 남부의 말뫼에서 살고 있다. 가족들과 스웨덴에 살면서 <닐스의 신기한 여행>이라는 스웨덴을 대표할 만한 책에 나오는 주인공 닐스의 여행경로를 따라 가족들과 스웨덴을 여행하고 쓴 책이다.

 저자가 가족과 함께 스웨덴 곳곳을 여행하면서 책을 썼기에 이 책을 읽으면 가족과 함께 여행을 떠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나에게 낯선 스웨덴이 친근하게 다가왔다.​

"<닐스의 신기한 여행>을 재미있게 읽고 있는 내게 평소 여기저기 여행하기를 좋아하는 남편이 '애들 데리고 닐스 따라 여행을 다니면 좋겠느냐'는 제안을 했다." 페이지 9

​ 책에 나오는 스웨덴의 자연풍광 사진과 건물 사진은 아름다웠다. 잘 보전된 자연과 서유럽 만큼 화려하지는 않지만 단조롭고  소박해 보이는 심플한 건물을 볼 수 있었다. 

​스웨덴 스몰란드에는 삐삐마을, 유리왕국이 있지만 '이민 박물관'도 있다고 한다.

​스웨덴 사람들은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바 한 때 미국으로 많은 이민을 갔다고 한다. 생각해보면 스웨덴은 그리 사람이 살기에 좋은 땅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온화한 기후가 아닌 춥고 겨울이 길어 농사를 짓기에도 적합하지 않다. 또한 미국에는 왕도 없고 귀족도 없는 스웨덴 보다는 자유로운 국가였다.  

"역사가들은 사람들을 '밀어낸'요인보다 '당긴'요인에 더 주목했는데, 이것은 미국에 정착한 사람들이 스웨덴에 남이 있는 친지들에게 보낸 편지에 잘 나타나 있다. 미국은 "왕도 없고 성직자도 없는"자유로운 나라였다. 미국에는 당시 스웨덴에 없는, 개인이 누를 수 있는 휠씬 커다란 자유라는 매력이 있었던 것이다."

페이지 131

​ 스웨덴하면 복지국가로 한국에 많이 알려져 있는데 저자는 특히 스웨덴의 아이들을 위한 배려가 인상적이였다고 한다. 한국도 노령화로 인한 노인들에 복지가 많이 들어나고 있어 상대적으로 어린이를 위한 복지는 소홀했던건 아닌가 뒤돌아 봐야 할 것이다. 더구다나 아이에게는 투표권이 없어 정치인이 노인을 위한 복지에 힘쓸 수 밖에 없을것이다. 그러기에 더 아이들을 배려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21세기의 삐삐는 불행해도 내가 21세기 스웨덴이 특별히 마음에 드는 이유가 몇 가지 있는데 그중 하나는 아이들에게 참 친절한 나라라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집중된 복지 혜택은 말할 것도 없고, 소소한 면에서도 아이들을 챙긴다. 예를 들면 스웨덴의 모든 마트의 과일 코너 옆에는 배고픈 아이들이 마음대로 먹을 수 있도록 바나나를 가득 담은 바구니가 놓여 있다." 페이지 140

"유럽 변방의 보잘것없는 나라였던 스웨던은 어쩌다가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복지 시스템을 갖춘 부자 나라가 되었을까? (...) 닐스는 우연히 그 유산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페이지 199

스웨덴은 철과 구리를 많이 생산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국가의 부를 쌓을 수 있었다고 한다. 스웨덴의 많은 구리는 유럽 전역으로 수출되었다고 한다.​

"스웨덴은 최근 200년 간 전쟁을 겪지 않았다. 1814년 노르웨이와의 짧은 전쟁 이후 정치저그로 중립 선언을 함으로써 20세기 들어 전 세계를 쑥대밥으로 만든 1, 2차 세계대전을 피했다." 페이지 220​

 스웨덴은 유럽을 휩쓴 세계대전에 휘말리지 않아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고 한다. 나는 스웨덴이 유럽에서 북쪽에 위치하여 지리적으로 소외되어 있지만 이점 때문에 전쟁을 피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전쟁의 포화를 피한것만으로 큰 행운이라고 생각한다. 그만큼 옛 건물들이 잘 보전 되었다고 한다.

 ​

"스웨덴의 노인 정책은 다른 유럽 국가에 비해서도 월등하다는 평가를 받는데 그 이유는 노인 문제를 사회복지 정책이 논의되던 초창기부터 가족 문제가 아니라 사회 문제로 다루었기 때문이다." 페이지 243

​ 현재 한국은 독거 노인, 가난한 노인 으로 큰 사회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노인을 돌보는 문제를 자식에게 전적으로 맏겨 개인의 가정사로 치부 할 것이 아니라 노인들의 질 높은 노년 생활을 위해 국가에서 당연히 노인을 돌봐야 한다는 의식이 정착되었으면 한다.

​ 저자 덕분에 스웨덴의 역사, 문화, 사회 전반에 관하여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스웨덴은 한국인이 잘 가지 않고 많이 살지 않는 나라로 스웨덴에 대한 정보를 접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이 책은 스웨덴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중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