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공간>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역사의 공간 - 소수성, 타자성, 외부성의 사건적 사유
이진경 지음 / 휴머니스트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진경의 새책 [역사의 공간]을 접하기 얼마 전, 나는 지인과 함께 한국인의 [빨리빨리]라고 불려지는 습속에 대해 논쟁을 한 적이 있었다. 내 주장과 지인의 주장은 달랐는데, 나는 우리사회가 [빨리빨리]라는 사회적 리듬에 젖게 된 시점을 일제 강점기로 보았고, 지인은 군인에 의해 산업화가 본격화된 시점을 그 계기로 판단했다. 그때 나는 [빨리빨리]라는 것이 시간의 개념이라는 것을 주장의 근거로 가져왔었다. 분침과 초침으로 명확히 계산되고 누적될 수 있는 시간! 새로운 시간! 즉, 원형적 시간이 아닌 선형적 시간이 언제 역사의 공간에 등장했는지, 선형적 시간의 개념이 무엇을 목적으로 유포되었는지를 살펴보면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초기 자본을 끌어들인 침략국 일본은 노동을 착취해 생산잉여를 극대화하려고 새로운 시간의 개념을 민중에게 강요했을 것이고, 근대화되지 못한 신체를 근대적 리듬으로 포섭하기 위해서 [근면하면 잘 살 수 있다]는 그럴싸한 명분을 제시했고, [빨리빨리]라는 사회적 리듬을 강제했을 것이다,가 내 주장이었다. 이진경의 [역사의 공간]은 이 개인적인 논쟁에 온전한 근거를 마련해 준 것은 아니었지만, 내 주장을 뒷받침해 줄 광범위한 사유를 던져주었다. 이 아니 어여쁠쏘냐! 

[역사의 공간]은 필자가 밝힌 것처럼 역사, 시간, 소수성, 타자성, 외부성등의 공동성을 역사의 공간안에서 사유한 책이다. 필자의 사유가 워낙 광폭이고 또 가늠할 수 없을 만큼 깊어, 책에 실린 모든 내용을 소화하는 것은 처음부터 불능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시공간에 존재했던 사람들의 욕망을 새로운 시간 혹은 역사가 요구하는 욕망의 구도로 어떻게 편입시켰는지를 보여주는 부분과, 어떤 이념이 지배하는 사회건 그 사회안에서 소수로, 타자로 존재했던 사람들을 향한 억압과 착취 그리고 혁명을 사유하는 부분은 선험적 지식의 양과 무관하게 깊은 울림으로 다가왔다.

공포의 정치로 기억되는 시절을 다행인지 불행인지 나는 정확히 기술할 수 없다. 70년대에 태어났지만 70년대와 80년대를 버텨냈다고 할 수 없기에 나는 공포정치를 체험했다고 할 수 없다. 몸과 마음을 다치지 않아 다행이라면 다행이지만, 권력이 어떤 유효성을 제시해 대중을 포섭하고 길들였는지를 체험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불행이라면 불행이다. 내가 정치적 판단이 가능해진 시점의 한국은 민주화의 초입이었고, 내가 경제적 판단이 가능해진 시점은 IMF의 초입이었다. 하여 그당시 실존으로서의 먹고 사는 일이 어찌나 큰 화두가 되어 버렸는지, 사회혁명의 짜투리를 넘겨다 보는 일조차 실로 사치였다면 개인적인 과장일까, 여튼 그랬었다. 그렇다고 중심부에 편입되었던 것도 아니니 나는 주변부의 상황 역시 모른 척 할 수 없었다. 그렇게 불편한 심기를 자극했던 사건들은 무수히 많았지만, 그때마다 작게 분노하고, 작게 동정하는 일이 내가 취한 최대한의 도덕이었다. 너무 쉽게 얻을 수 있었던 위안이었지만, 쉽게 얻은 만족이기에 한편 하찮을 수 밖에 없었다. 

집단적 이익만이 존재하는, 심지어 생명의 권리마저 자본의 권리를 위해 폐기되는 사회를 산다는 일은 결코 유쾌할 수 없다. 그래서 나는 이 사회적 리듬에 엇박을 놓을 수 있는, 적어도 제단된 욕망을 의심하기라도 하는 사람들을 찾았고, 그들과 함께 새로운 세상까지는 아니더라도, 작은, 그러나 쉽게 메워지지 않는 균열을 내고 싶었다. 그렇게 시작한 일이 버려지는 것들을 되살리는 일, 그 일을 통해 얻어진 댓가를 주변부의 사람들과 나누는 일이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나는 실패했다. 필자가 말하는 [흐름의 공간]을 이해하지 못했고, 그 공간에 존재하는 [대중]을 파악하지 못했고, [소수자] 혹은 [타자]들의 연대를 구축하지 못했다. 실패의 기억은 쓰라리지만 그렇다고 얻은 것이 없지는 않다.  

책으로 돌아가자. 필자는 내게 이렇게 묻는다. "자신들의 고통, 자신들의 저항마저도 자신만의 것으로 하는 게 아니라, 다른 모든 타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것으로 변환시키는 것, 이를 통해 다수자들과 거리를 느끼고 간극을 만들기 시작한 모든 이들을 자신들이 창안한 저항과 돌발의 지대로 유인하는 것,.......어떤 저항과 투쟁이 사람들의 공감을 얻고 그 공감이 공명되며 확대되어갈 때, 그리하여 또 다른 커다란 돌발의 흐름이 만들어질 때, 그것을 소비하는 속물들이 출현하는 일이야 어디서나 피할 수 없는 '조그만 불행'아닌가. 그 조그만 불행을 피하기 위해 자기들만의 순수의 세계로 되돌아가는 것. 그것이야말로 그 조그만 불행을 큰 불행으로 만드는 것이 아닐까?"  

어리석음과 오기로 탈진해 버렸던 지난 시절이 안쓰럽고, 다시 떠올리기도 싫지만, 어쩌면 지금이야말로 '무엇을 할 것인지', '운동이란 대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를 스스로 다시 한 번 고민해야 할 시점이 아닌가 싶다. 또한 내가 꿈꾸었던 세상으로 다시 되돌아가려 할 때가 온다면, 그때는 정주하면서도 떠날 수 있고, 이동하면서도 안식을 취할 수 있는 준비가 된 시점일 것이다. 거대하고 단단한 그 어느 지점에 균열을 내기 위해 되돌아 간다는 것, 그것은 이미 내게 정해진 일인지도 모르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글샘 2010-02-24 1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선조 양반의 미덕은 천천히, 우아하게...였겠지요.
식민지 시대 착취의 대상이 되면서 천박한 빠름이 '빨리빨리'의 원형이 되었겠지만,
그것이 전국민의 '빨빨화'로 확산된 것은 아무래도 산업사회의 리듬감이라고 봐야겠죠.
60년대까지만 해도 이 땅은 농민들의 삶이 지배하는 1년 단위의 느린 호흡을 가졌더랬으니 말입니다.

굿바이 2010-02-25 11: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님의 말처럼, 다시 생각해보니 산업화의 리드감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 같습니다. 제 주장은 그 기원에 대한 이야기에 묶여 있었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