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설국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신경숙 작가는 소설의 첫 문장을 쓰는 일, 그리고 소설을 어떤 형식으로 풀어나갈지를 고민하는 일이 작가의 집필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자 힘든 작업이었노라고 어느 문학 잡지에 밝혔다. 그래서인지 신경숙 작가 소설 첫 문장의 대부분은 그 소설 전체를 관통하는 힘이 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소설 [설국]의 첫 문장도, 짐작하건데 신경숙 작가처럼, 혹은 그보다 더 안쓰럽게 써내려간 문장이 아닐까 싶었다. [긴터널]이라는 단어가, [밤의 밑바닥]이라는 단어가, [하얘졌다]는 단어가 그리고 이 단어들을 연결한 문장이 오랜 수행의 결과물처럼 느껴졌다. 그러니 작가의 글을 미문이라 말하는 독자들의 평가가 도를 지나친 호들갑은 아니었구나 싶었다. 그러면서 나는 또 간간이 김훈 작가를, 그의 책 [현의 노래]를 떠올렸다. 물론 김훈 작가가 제 육신에 연결된 연필로 제 몸을 갈 듯 써내려간 독하게 간결하여 아름다운 문장과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써내려간 심하게 절제되어 아름다운 문장은, 미문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판이하게 다른 미감을 갖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적어도 나에게는, 그리고 굳이 어느 한 편을 편들라고 한다면 김훈 작가의 문장에 손을 들 것이다. 나는 그렇게, 인정하기 싫지만 서사적인 사람이다.
눈의 고장을 찾은 한 사내, 시마무라가 느끼는 각기 다른 두 여인을 향한 연민은, 무릎까지 푹푹 빠지는 결이 고운 눈과 달리 매우 성긴 것처럼 느껴졌다. 물론 나는 이제 사랑을 두고, 누가 누구를 더 연모하는지 따지는 일이 맥없는 일이라는 것을 알아버린 썩 유쾌할 수 없는 나이가 되었지만, 그래도 짖던 풍월이 있으니 "가도 아주 가지는 안노라시던 그런 약속이 있었겠지요/ 날마다 개여울에 나와앉아서 하염없이 그 무엇을 생각합니다" 라는 시 속 화자의 넋두리가 곱게만 들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러니 너무나 인간적인, 전적으로 내 기준에서 인간적인, 주인공을 욕하자니 입이 아프고, 그저 주인공의 띄엄띄엄한 감정을 모르지 않을 터인데, 신발까지 숨겨 가며 밤낮으로 시마무라의 방을 드나드는 고마코의 연정을 나무라자니 이 뭐랄까, 고마코의 철없는 행실이 욕망의 대상을 향한 것인지, 욕망 자체를 향한 것인지 판단할 수 없으니, 딱히 그녀를 희생양으로 이름 붙이는 일도 어쭙잖다. 그러니 그저, 욕망 자체를 즐겨라 그러면 그나마 다행이지 않겠는가 싶었다. 이쯤되면 작가인들 혹은 난들 어쩌겠는가. 사랑하는 감정 그 자체를 사랑하겠어요, 라고 볼 붉히는 어린 처자를 두고.
나는 이 책을 읽는 내내, 눈 쌓인 그래서 밤도 하얘지는 풍경보다, 요코가 역장을 향해 내지르던 목소리가 더 밟혔다. 뭔가 멀리서 부르는 소리, 그것이 심리적인 거리이든 실제적인 거리이든 상관없이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존재하는 대상을 향해 발화하는 소리가 계속 나를 붙들었다. 상대가 제대로 알아들었을지, 또한 그 상대가 무엇을 알아들을 수 있는 준비가 된 존재인지, 더 나아가 그것이 대상을 향한 것인지 아니면 주체를 향한 것인지 자꾸 궁금해졌다. 그러면서 요코가 역장을 향해 동생을 부탁한다는 사뭇 괴이한 외침에 어느 영화에서 봤던 여주인공의 "오겡끼데스까"라는 대사가 묘하게 중첩되었다. 어쩌면 시마무라도, 고마코도, 요코도 그저 서로 멀리 서서 서로를, 서로라고 오해하는 무엇을 불렀던 것은 아니었을까 싶다. 침묵은 아니지만 침묵과 별 다를 것 없는 소리들을 길게 혹은 짧게, 무엇이든 파묻을 수 있는 눈의 고장에서, 내지른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정녕 사랑은 사람의 일인지라 알 수 없는 것이고, 또 쓸쓸한 일이라는 것을 작가는 힘을 뺀 척, 모르는 척, 그저 비경을 그리는 척 들려주고 있었구나 싶으니 그의 명성이 거져 얻어 진 것은 아니었구나 싶다.
마지막으로 같이 책을 읽으시는 분들이 눈 내리는 고장의 풍경을 어여삐 여기시는 것 같아, 사족이지만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천승세 작가의 [혜자의 눈꽃]이라는 작품에 묘사된 눈 내리는 밤을 여기에 옮겨 적는다. 앞서 밝혔지만 나는 서사적인, 그래서 적잖이 촌스러운 미감을 갖고 있는 터라 이 대목이 그리 좋았다. " 어느 날 밤이었다. 솔가지가 보채이도록 바람결이 드셌다. 설화의 무더기가 땅으로 내리는지 간간이 퍽 퍼억대며 봉창이 울렸다. 먼 산 속의 수목들이 쌓이는 눈을 못 이겨 가지를 찢는 모양이었다. 생지 부러지는 소리도 어쩌다가 바람결에 섞여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