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경숙 작가는 소설의 첫 문장을 쓰는 일, 그리고 소설을 어떤 형식으로 풀어나갈지를 고민하는 일이 작가의 집필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자 힘든 작업이었노라고 어느 문학 잡지에 밝혔다. 그래서인지 신경숙 작가 소설 첫 문장의 대부분은 그 소설 전체를 관통하는 힘이 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소설 [설국]의 첫 문장도, 짐작하건데 신경숙 작가처럼, 혹은 그보다 더 안쓰럽게 써내려간 문장이 아닐까 싶었다. [긴터널]이라는 단어가, [밤의 밑바닥]이라는 단어가, [하얘졌다]는 단어가 그리고 이 단어들을 연결한 문장이 오랜 수행의 결과물처럼 느껴졌다. 그러니 작가의 글을 미문이라 말하는 독자들의 평가가 도를 지나친 호들갑은 아니었구나 싶었다. 그러면서 나는 또 간간이 김훈 작가를, 그의 책 [현의 노래]를 떠올렸다. 물론 김훈 작가가 제 육신에 연결된 연필로 제 몸을 갈 듯 써내려간 독하게 간결하여 아름다운 문장과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써내려간 심하게 절제되어 아름다운 문장은, 미문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판이하게 다른 미감을 갖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적어도 나에게는, 그리고 굳이 어느 한 편을 편들라고 한다면 김훈 작가의 문장에 손을 들 것이다. 나는 그렇게, 인정하기 싫지만 서사적인 사람이다. 

눈의 고장을 찾은 한 사내, 시마무라가 느끼는 각기 다른 두 여인을 향한 연민은, 무릎까지 푹푹 빠지는 결이 고운 눈과 달리 매우 성긴 것처럼 느껴졌다. 물론 나는 이제 사랑을 두고, 누가 누구를 더 연모하는지 따지는 일이 맥없는 일이라는 것을 알아버린 썩 유쾌할 수 없는 나이가 되었지만, 그래도 짖던 풍월이 있으니 "가도 아주 가지는 안노라시던 그런 약속이 있었겠지요/ 날마다 개여울에 나와앉아서 하염없이 그 무엇을 생각합니다" 라는 시 속 화자의 넋두리가 곱게만 들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러니 너무나 인간적인, 전적으로 내 기준에서 인간적인, 주인공을 욕하자니 입이 아프고, 그저 주인공의 띄엄띄엄한 감정을 모르지 않을 터인데, 신발까지 숨겨 가며 밤낮으로 시마무라의 방을 드나드는 고마코의 연정을 나무라자니 이 뭐랄까, 고마코의 철없는 행실이 욕망의 대상을 향한 것인지, 욕망 자체를 향한 것인지 판단할 수 없으니, 딱히 그녀를 희생양으로 이름 붙이는 일도 어쭙잖다. 그러니 그저, 욕망 자체를 즐겨라 그러면 그나마 다행이지 않겠는가 싶었다. 이쯤되면 작가인들 혹은 난들 어쩌겠는가. 사랑하는 감정 그 자체를 사랑하겠어요, 라고 볼 붉히는 어린 처자를 두고.     

나는 이 책을 읽는 내내, 눈 쌓인 그래서 밤도 하얘지는 풍경보다, 요코가 역장을 향해 내지르던 목소리가 더 밟혔다. 뭔가 멀리서 부르는 소리, 그것이 심리적인 거리이든 실제적인 거리이든 상관없이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존재하는 대상을 향해 발화하는 소리가 계속 나를 붙들었다. 상대가 제대로 알아들었을지, 또한 그 상대가 무엇을 알아들을 수 있는 준비가 된 존재인지, 더 나아가 그것이 대상을 향한 것인지 아니면 주체를 향한 것인지 자꾸 궁금해졌다. 그러면서 요코가 역장을 향해 동생을 부탁한다는 사뭇 괴이한 외침에 어느 영화에서 봤던 여주인공의 "오겡끼데스까"라는 대사가 묘하게 중첩되었다. 어쩌면 시마무라도, 고마코도, 요코도 그저 서로 멀리 서서 서로를, 서로라고 오해하는 무엇을 불렀던 것은 아니었을까 싶다. 침묵은 아니지만 침묵과 별 다를 것 없는 소리들을 길게 혹은 짧게, 무엇이든 파묻을 수 있는 눈의 고장에서, 내지른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정녕 사랑은 사람의 일인지라 알 수 없는 것이고, 또 쓸쓸한 일이라는 것을 작가는 힘을 뺀 척, 모르는 척, 그저 비경을 그리는 척 들려주고 있었구나 싶으니 그의 명성이 거져 얻어 진 것은 아니었구나 싶다. 

마지막으로 같이 책을 읽으시는 분들이 눈 내리는 고장의 풍경을 어여삐 여기시는 것 같아, 사족이지만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천승세 작가의 [혜자의 눈꽃]이라는 작품에 묘사된 눈 내리는 밤을 여기에 옮겨 적는다. 앞서 밝혔지만 나는 서사적인, 그래서 적잖이 촌스러운 미감을 갖고 있는 터라 이 대목이 그리 좋았다. " 어느 날 밤이었다. 솔가지가 보채이도록 바람결이 드셌다. 설화의 무더기가 땅으로 내리는지 간간이 퍽 퍼억대며 봉창이 울렸다. 먼 산 속의 수목들이 쌓이는 눈을 못 이겨 가지를 찢는 모양이었다. 생지 부러지는 소리도 어쩌다가 바람결에 섞여 왔다." 


댓글(10) 먼댓글(2)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설국-글로 그린 그림
    from 바느질하는 오후 2009-11-29 21:01 
    ▣책읽는 부족 독후감 * 샛별님의 독후감 http://blog.daum.net/gniang/16150206 *웬디님의 독후감 http://blog.aladdin.co.kr/wendy99/3221771 *동우님의 독후감 1- http://blog.daum.net/hun0207/13291011 2-...
  2. 설국 - 여행지 로맨스
    from moratorium life 2009-11-30 07:08 
    설국(세계문학전집 61) 저자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 유숙자 옮김 출판사 민음사 펴냄 | 2009.01.20 발간 카테고리 소설 책소개 요코미쓰 리이치 등과 감각적이고 주관적으로 재창조된 새로운 현실 묘사를 시...
 
 
동우 2009-11-26 07: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설국의 미문에서 김훈을 떠올리는 굿바이님의 문학적 내공은 글을 써 본 사람만의 옛롭지 않은것. 말씀듣고 생각컨대 김훈의 문체에도 깃든 허무의 느낌. 그 미감은 다를지언정. 아름다운 문장을 이토록 생각하는 사람이 스스로 서사적이라니. 하하. 그러나 굿바이님 시마무라와 구마코와 요오코는 서사적으로 접근하여서는 아니될.. 이 소설의 매력.흐음. 천승세도 저와 같은 문장을 썼군요, 그 분 소설 읽은지가 하도 오래 되어서.. 옛날 작가들 원고지의 한칸 한칸 메워 나갈때 한올한올 문장에 기울이는 정성은 디지털 휘발성의 요즘 글쓰기와는 달랐겠지요. 천승세는 아마 박화성의 아들이었지요?

굿바이 2009-11-27 1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박화성 작가의 기념관이 목포에 있습니다. 그곳에서 이것 저것 보고 다녔는데도 어째서 저는 천승세가 박화성 작가의 아들이라는 것을 몰랐을까요? 아마 박화성 작가가 일본에서 처음으로 영문학을 공부한 여성이었다는 것과 이광수 작가가 등단을 권유했다는 것 그리고 박화성 작가의 작품만 들여다 보느라 왠지 대어를 놓친 듯한 기분입니다. 선생님 때문에 중요한 사실을 알았습니다.
그렇죠, 아름다운 문장에 매몰되는 주제에, 스스로 서사적인 사람이라고 말하는 뻔뻔함을 선생님께 들켰습니다. 그렇지만, 제가 꿈꾸는 것들은 비유적으로 거의 만주벌판을 말 달리셨다고 말씀하시는 우리 아버님과 그리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니 삶이 참....힘듭니다^^

후니마미 2009-11-29 2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천승세 작가의 문장은 김훈의 그것처럼 연필로 꾹꾹 눌러가며 느낌을 제대로 표현하려 애쓴 게 분명합니다. 여러 번 읽어 봅니다.

설국의 묘미는 아마 누군들 그렇겠지만 첫 문장에 있는 것 같습니다
눈의 나라로 밤의 밑바닥까지 하애지는 그 나라로 가서
세상의 일을 잊고 싶은 것, 세상에 지친 사람들이라면 모두가 꿈꾸는 일이 아닐까요?
그래서 독자인 저도 그 눈의 나라로 들어가자마자
일체의 논리를 버리고 싶었습니다
이 남자 왜 이래? 따위?
이 글을 쓰던 때의 일본, 그 시기의 일본 남성이라면 제국주의의 이상에
정신이 없던 그때. 동아시아 어쩌구 저쩌구 하는 이데올로기에서
이렇게도 잘 벗어나서 전혀 그런 시간 조차도 그런 공간이었다는 것도
모를 이런 글쓰기가 어떻게 가능했을까 싶은... 그런 삐딱선이 모조리 사라져버린 것.
눈 때문이었습니다
ㅎㅎ

서사 없는 문학이 가끔은 무척이나 화가 나다가도
또 간사한 독자인 저는 이런 문학, 역사와 사회를 전혀 모르쇠하고
사랑이나 허무 에 관해 쓴 글이 마구 마구 그리워집니다.
그래서 누군가의 아름다운 문장에 폭 빠지고 마는 것입니다.
마치, 시마무라에게 빠진 고마코처럼,눈 나라의 그녀가 그랬던 것처럼
문장이 마음에 들면 앞 뒤를 안 재고 빠져드는 간사한 독자입니다 저는. ㅎㅎ


저는 설국에서 풍경만을 봤는데
굿바이님은 요코가 역장님을 부르는 소리에서부터 이 소설 전체를 관통하는
허무한 울림을 읽어 내셨군요 탁월한 읽기...

김훈의 문장, 천승세의 문장도 문장이지만
굿바이님의 문장도 예사롭지 않습니다
전에 언젠가 살짝 엿본 굿바이님의 글에서
문학에 대한 열망 또는 문학에 대한 기대가
여전하다는 느낌을 가졌더랬는데
그래서 한국에 사는 한 여자로서 우리 모두 공지영은 될 수 없지만
독후감 모임에 끌려 우리끼리 노는 장을 마련한 게 아닐까요?
둘러 보니 아줌다 되어서 이렇게 노는 여자도 몇 없더군요 ㅎㅎ
30대에 비해서 지나치게 저자신에게 관대해진 저는
책읽는 부족원이라도 되어 살아가는 것을 흐믓해 하고 있답니다

굿바이 2009-11-30 11:24   좋아요 0 | URL
아름다운 것들에 쏠리는 마음은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문학에 대한 열망은 턱도 없는 제 욕심을 자양분으로 더 잘 자랐던 것 같습니다. 이제는 그것도 다 지난 일이지만 말입니다. 지금은 좋은 글, 좋은 작가를 읽는 재미가 더 쏠쏠하고 그저 주위에 능력있는 친구들을 보면 막 응원해 주고 싶고 합니다.

웽스북스 2009-11-29 21: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 요코의 목소리에 대한 묘사가 유난했죠. 도대체 어떤 목소리일까, 궁금해하면서, 상상하면서 그렇게 읽었던 것 같아요.
2. 전 만으로 20대라 그런지 아직도 개여울을 즐겨 부릅니다. ㅎㅎ
3. 저 금각사 안갔다왔어요~

굿바이 2009-11-30 11:29   좋아요 0 | URL
1. 그렇지? 너무 궁금했어, 그 느낌이, 떨림이, 그런데 너무 궁금하니까 심지어 [은하철도 999]의 메텔양 목소리까지 겹치면서, 이건 무슨 음모가 분명하다고 혼자 키득키득 거렸어.

2. 서른 중반을 넘은 나 역시 개여울을 매우 즐겨 부르기는 하지. 그렇지만 이게 좀 달라지기는 했어. 힘 조절이 좀 된다고 할까?ㅋㅋㅋ

3. 너무 잘했다고 막 신나하고 있어. 금각사는 같이 보자.

후니마미 2009-12-10 15:16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굿바이님, 서른 중반
눈치챘고요. ㅋㅋㅋ

저는 마흔 중반 올해로 끝나고
한달 후면 40대 후반이 됩니다. ㅠㅠ

도치 2009-11-30 07: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상하게 시마무라에게만 관심이 묶여있어서 풍경의 묘사나 여인들의 속내도
읽어내지 못하고 말았네요. 몇몇 장면에서 언젠가 본 인상 깊었던 일본애니메이션의
여러장면들이 겹치기도 했습니다만 역시 여행자 시마무라에게서 시선을 돌릴 수 없
었습니다. 여러 부족원들의 독후감을 통해서 새로 읽는 기쁨은 참 뿌듯합니다.

굿바이 2009-11-30 11:47   좋아요 0 | URL
시마무라를 여행자 시마무라,라고 말씀하시는 대목에서 도치님의 생각이 얼뜻 엿보입니다^^ 그러면 당연히 여인들의 속내가 보이질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또 그걸 알아서 뭣 하겠습니까? 그런걸 아느니 김장 배추를 소금에 절이는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이....

도치 2009-11-30 13:40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방랑자보다는 여행자가 제가 생각했던 느낌에 부합하는 표현같았습니다.
시간이 지난 뒤 다시 읽으면 또 새롭게 다가오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