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영 박물관 부산 전시회를 다녀와서(1)
-고대 근동관-
10월 9일까지 부산 시립 미술관에서 대영 박물관 부산전이 열린다. 아무리 궁리를 해 봐도 추석 연휴 첫날 오전 아니고는 시간이 날 것 같이 않아서 다녀오기로 했다.
입구에서 나눠주는 부산전 100배 즐기기 안내 자료를 대충 훑고 전시장 안으로 들어갔다. 대영 박물관 역사관을 지나 고대 근동관, 여기는 지금의 이라크 지역에 해당하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찬란한 유물들이 보존되어 있다. 전시되고 있는 유물 중 꼭 보기를 권하는 ‘유물 베스트 10’에 소개 되었던 ‘푸아비 여왕의 수금’도 이곳에 전시되어 있다. 고대 순장제 풍습에 따라 왕비와 함께 순장되었던 여인 중 한명의 손이 이 ‘수금’의 줄 위에 놓여져 있었다고 하니 죽어서도 여왕을 위해 수금을 타려고 했던 모양이다.
나는 이 곳에 전시되어 있는 유물들 중에 기원전 2,600년경에 유물이라는 우르왕족묘지 매장물들이 인상적이었다. 지금으로부터 약 4600여년 전부터 왕족들은 부와 권위의 상징으로 장신구 사용을 즐겼던 모양이다. 홍옥수(붉은색),라피스라즐리(푸른색을 띠고 있는데 홍옥수와 더불어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나지 않는 보석이란다. 홍옥수는 인도 등지에서 라피스라즐리는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수입을 해 와서 장신구를 만들었다는 얘기다), 금을 재료로 만든 팔찌, 반지, 목걸이, 머리 장식물은 요즘 사람들이 착용해도 될 만큼 현대적인 감각을 가지고 있었다. 왕족들의 장신구를 만들던 장인들의 감각이 지금까지 끊이지 않고 이어져 내려온 모양이다.
그리고 바빌론의 마르독 사원에서 출토되었다는 화강암으로 만든 기념비(기원전 900년~800년경)에 새겨진 설형문자, 이 문자를 보면 루이브라유가 만든 점자와 많이 닮았다. 점의 개수, 위치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점 6개로 이루어진 브라유 점자. 설형문자도 대문자 와이 같은 작대기 몇 개가 방향과 길이, 개수를 달리하며 하고 싶은 말을 표현하고 있다. 이렇게 단순하게 표현되던 글자가 언제부터 왜 지금처럼 복잡하고 난해한 모양으로 바뀌었을까? 아마도 어휘가 늘어나면서 단순한 설형문자로 모든 어휘를 다 표현할 수 없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페르시아 제국의 유물 중에는 장례용 가면이 눈에 띄었다. 왜 유체 위에 가면을 만들어 씌웠을까? 영혼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나? 우리 나라는 사냥을 위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가면을 만들어 쓰기 시작했다는데, 더불어 가면극이 발달하기 시작했다는 데 아무튼 이 곳에 전시된 유물들은 수많은 궁금증을 불러 일으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