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 지역에 있는 성혈(性穴) 을 보고 온지 2주 정도 됐다.
그런데 계속 머리 속에 떠나지 않는 생각은 강 옆 절벽이나 고인돌 위, 넓적하고 커다란 바위 위에 왜 이렇게 수많은 크고 작은 구멍을 팠을까 하는 것이었다. 별자리라고 추측은 하지만 정확하게 밝혀지진 않았다는데 정말 별자리를 새긴 것일까? 별자리를 새겼다면 마을 가운데, 강 절벽 위에 왜 별자리를 새겼을까? 고구려 사람들처럼 이 지역 사람들도 별자리를 숭배했을까? 아무튼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들로 정리가 안된채 시간만 보내다가 다른 이들은 어떤 생각을 할 까 궁금해 사진을 올린다.
안계면 양곡리 성혈 (性穴)
마을 뒤 야트막한 언덕을 이루고 있는 크고 넓적한 바위에 크고 작은 구멍들을 수없이 파놓았다.이곳에 지표조사를 했다는 지인의 설명에 의하면 옛날에는 이 마을 이름이 태양리였다고 한다. 마을 이름과도 연관이 있는것 같다는데, .이 지역 사람들은 별똥이 떨어진 흔적이라고 했단다. 프라나님은 마을 뒤편 산 능선 소나무를 정북 방향으로 잡아 수많은 별자리를 새겨 놓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그럼 이 곳도 선사시대 이 마을에 살던 사람들이 별자리를 관측하던 곳?
(가운데 볼록한 봉우리가 정북 방향이란다)
안계면 교촌리 관어대 성혈(性穴)
성혈을 보러 갔던 곳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곳이다. 강을 옆에 끼고 쭈욱 이어진 암벽 위 편평한 바위 위에 셀 수 없이 많은 구멍을 새겨놓았다. 2007년 5월 7일자 매일신문에 난 기사 일부를 인용해서 설명을 대신한다.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속칭 선돌마을 뒤 위천의 암벽(관어대) 25m 정상부 표면 두 곳에 지름 1~7cm, 깊이 0.5~12cm의 바위구멍 300~400개가 확인됐다’
동방금속문연구회장 박위호씨가 발견했다는 데 선사시대 사람들이 별자리를 관측하던 곳이 아니었을까라고 추측한단다.북두칠성이 새겨진 것은 확인 되었다고 한다.이곳을 보고 와서 왜?라는 의문이 머리 속을 맴맴 돌아 관련 자료를 찾아봤지만 아직 이렇다 할 결론이 나온 건 없었다.
(건너편 마을 가운데 소나무 한 그루가 보이는 곳이 정북방향이란다)
비안면 용천리 고인돌 성혈(性穴)
꼬불꼬불 농로를 따라 우왕좌왕 하다 찾아간 곳이다. 강 옆 숲속에 고인돌 무더기가 있었는데 고인돌 위에 별자리로 추정되는 크고 작은 구멍을 파 놓았다. 고구려 고분 장천 1호분 천장에 해와 달, 북두칠성이 그려져 있는 사진을 본 적이 있다. 이곳에 그려진 북두칠성 모습은 지금 우리가 그리는 것과 똑같다고 한다.그 때 그 그림을 보면서 ‘고구려 사람들은 별자리를 정말 숭배한 모양’이라고 생각했다. 이곳에 살았던 선사 시대 사람들도 별자리를 아주 숭배했던 모양이다. 아니면 캄캄한 무덤 속이 답답하고 무서울까봐 하늘의 별을 새겨 영혼을 위로해 주었거나...이곳에 있는 고인돌은 자연석을 그대로 쓴 것이 아니라 다듬어서 얹은 거란다. 그 흔적이 고인돌 무더기 옆에 있었다.
(이곳의 고인돌은 자연석이 아닌 인공으로 다듬어서 얹었다고 추정하는 근거가 되는 바위)
(고인돌 무더기가 있는 숲)
금성면 탑리 5층 석탑 옆에 있던 성혈(性穴)
이곳은 의성 답사 가서 가장 먼저 갔던 곳이다. 성혈을 시리즈로 보고 와서인지 답사기를 정리하는데 국보 77호라는 탑리 5층석탑에 대해선 생각 나는게 없고 주변에 널부러져 있던 새까만 바위 위 구멍들만 생각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