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개혁 500주년이다. 지금으로부터 500년 전 1517년 10월 31일.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는 자신이 시무하던 비텐베르크 성당 게시판에 "교회는 변화되어야 한다"는 주제로 95개조 반박문을 붙였다. 이후 종교개혁의 불길이 전 유럽을 뒤덮었다. 신(神)은 더이상 교황과 사제의 전유물이 아니었다. 하나님은 만인의 하나님이었다. 사람들은 활자로 인쇄된 성경을 읽으며 신에 더 가까이 다가섰다. 자기자신의 진본을 발견해갔다. 유럽 곳곳에서 개인에 대한 천착이 이루어졌다. 이후 시민혁명과 산업혁명이 터졌고 서구사회는 근대로 진입했다.

   사실 종교개혁을 시도했던 사람은 루터 이전에도 존재해왔다. 대표적인 인물로 얀 후스(Jan Hus, 1372~1415)가 있다. 그는 루터보다 100년 앞서 부패한 성당을 맹렬히 비판하고 면죄부 판매를 비난해 로마 교황에게 파문당하고 화형에 처해졌다. 그의 종교개혁은 비록 실패했지만 훗날 루터를 위시한 수많은 종교개혁자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오늘날 순교자로 추앙받고 있다. 그 외에도 유럽 여기저기서 비슷한 외침으로 종교개혁을 외친 선구자들이 있었다. 하지만 성공하지는 못했다. 그렇다면 무엇이 후스와 루터를 갈랐던 것일까. 다시 말해서 루터의 종교개혁을 성공으로 이끈 원인은 무엇이었을까. 주지하다시피 그건 바로 인쇄혁명이었다.

   후스 시대는 활자가 발명되기 전이었다. 필사의 시대였다. 모든 것을 손으로 써야 했다. 후스의 외침이 전 유럽에 퍼지지 못했던 것은 그것을 대중적으로 전달(전파)할 소통의 수단이 부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루터의 시대는 달랐다. 구텐베르크가 금속활자를 이용한 인쇄술을 고안한 것은 15세기 중반이다. 반세기 사이 인쇄술은 독일 여러 도시에 꽤 확산된 상태였다. 다만 인쇄할 만한 거리가 없었다는 게 문제였다. 인쇄업자들은 굶주렸다. 하지만 무명의 사제가 절대권위인 교황에게 맞붙었다는 것은 어마어마한 뉴스였다. 멈춰서 있던 활자기가 돌아가기 시작했다.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은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독일 전역은 물론 전 유럽에까지 확산됐다. 그외 종교개혁과 관련한 여러 논쟁들이 인쇄되었고 팔려나갔다. 유럽사회의 지력이 폭발했다. 거대한 지식의 향연이었다. 이제 유럽인들은 더이상 과거의 그들이 아니었다. 세상은 바뀌었다.

   시공간을 동양의 19세기로 돌리자. 일본 메이지 시대에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1835~1901)라는 유명한 계몽사상가가 있다. 한국의 입장에서는 '죽일 놈'이지만 일본에서는 국부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일본 화폐 만엔 권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그는 일본인들에게 계몽을 촉구하며 "정신의 서구화 없이 물질의 서구화는 없다"라는 말을 남겼다. 그가 쓴 <학문의 권장>이라는 책은 당시 무려 300만 부나 팔려나갔다. 19세기 후반의 일본 전체인구를 3,500만 명 정도로 추산했을 때 열에 하나가 이 책을 읽은 것이다. 일본사회는 변화했다. 메이지유신은 조선의 갑신정변과 청의 양무운동과는 근본적으로 달랐다. 비록 방향은 옳지 못했지만 일본은 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근대화를 이룩했다. 요컨대 메이지유신의 힘은 바로 책의 힘이었다.

   내가 장황하게 루터의 종교개혁과 메이지유신을 거론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바로 책과 활자의 힘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비단 앞서 언급한 두 가지 사례 외에도 인류 역사상 책의 힘을 증명하는 예는 수없이 많다. 거꾸로 책을 경멸함에서 왔던 지난한 역사도 수없이 많다. 여기서 굳이 진시황의 분서갱유(焚書坑儒), 모택동의 문화대혁명, 캄보디아의 킬링필드 등을 거론하지는 않겠다. 언급하는 것만으로도 분노와 짜증이 밀려오는 비극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아직도 한국사회에 모택동을 높게 평가하는 일부 지식인들이 잔존해 있다는 게 놀라울 따름이다. 어떻게 모택동을 찬양할 수 있는가. 그야말로 미친놈들이다. 각설하자. 내가 강조하고 싶은 건 문자는 강력한 힘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책의 힘을 안 민족과 국가는 번영했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쇠락했다. 

   뱌아흐로 영상문화의 시대가 도래했다. 모든 것이 영상으로 대체되는 '도상적 전회(iconic turn)'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스마트폰, VR, 사물인터넷 등 시각적인 것을 강화(강조)하는 쪽으로 인간의 소통과 문화가 변화하고 있다. 시대의 흐름을 거역할 수 없고 영상매체가 가진 장점을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문자가 가진 본래적 힘은 영상의 폭풍 속에서도 반드시 괴멸하지 않는다. 인간의 가장 기초적인 의사소통코드는 오직 문자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궁극과 본질에서 문자를 대체할 코드는 없다. 문자만이 가진 고유한 '구체성'은 영상의 메커니즘으로는 발현해낼 재간이 없다. 즉 영상은 문자를 대체하는 게 아니라 보완하고 수식하는 수단으로서만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인간 사이의의 일차적 커뮤니케이션 코드는 문자다. 

   다시 종교개혁으로 돌아가자. 루터의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요란하다. 반대로 혹자들은 너무 무관심하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기독교 신자이기 때문에 더 예민하게 느끼는 것 같다. 하지만 루터의 종교개혁이 비단 기독교(도)만의 것이 되어서는 곤란하다. 종교개혁이 유럽과 전 세계에 끼친 영향을 감안한다면 이는 누구나 공부하고 공유해야 할 인류 보편의 자산이다. 종교개혁을 통해 '신 앞에 선 단독자'로서의 개인을 인식하게 됐고 그것은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세계를 볼 수 있게 했다. 바로 거기에 '문자의 힘'이 있었던 것이다. 

   역사의 역사는 항상 문자가 전해준 역사였다. 소크라테스는 평생 책 한 권 쓰지 않았지만 그의 사상과 정신은 제자 플라톤에 의해 기록되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작금의 우리가 3D게임과 아이폰X가 주는 희열에 열광하는 스마트족이라 할지라도 죽도록 책을 읽고 글을 써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책 좀 읽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