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움받을 용기 (반양장) -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 ㅣ 미움받을 용기 1
기시미 이치로 외 지음, 전경아 옮김, 김정운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랜만에 베스트셀러를 집었다. 일본 철학자 겸 작가인 기시미 이치로가 쓴 『미움받을 용기』는 올 한 해 국내에서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책이다. 이 책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서점에서 동시에 최장기 베스트셀러 기록을 경신하며 지금도 1위에 올라 있다. 주변에서 이 책에 대한 내 호오를 묻는 질문들이 적지 않이 쏟아졌다. 신념적으로 자기계발서를 멀리해온 나에게 이 책은 이러한 주변의 화려한 요소를 배경으로 들어왔다.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이라는 부제를 단 『미움받을 용기』는 오스트리아 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의 심리학을 이야기 형식으로 소개하는 책이다. 책 속의 '청년'과 '철학자'는 저자의 메시지를 전하는 단 두 명의 화자다. 청년이 묻고 철학자가 답하는 식으로 구성된 이야기 구조는 독자에게 친근함을 준다. 삶의 저변에서 힘든 싸움을 하는 어느 청년이 아들러 심리학의 전도사인 한 철학자를 만나 여러 인생의 가치에 대해 토론하고 배우는 내용이 이 책의 기본 얼개다.
이 책이 전하는 메시지는 간단하고 명확하다. 아들러 심리학의 견해에서 기존 프로이트 학문의 보편적 속성을 재단한다. 심리학계의 정론으로 보편화된 프로이트의 "원인론'은 인간의 삶을 과거에 예속시키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다고 비판한다. 반면 아들러의 '목적론'은 오직 현재에 충실한 개념이기 때문에 '지금, 여기'의 삶을 추동케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나에 대한 타자의 평가에 구속되지 않는 '미움받을 용기'가 필요하다고 설파한다.
저자는 책 속 철학자의 목소리를 빌어 개인이 사회적인 존재로 살고자 할 때 직면할 수밖에 없는 인간관계, 그것이 곧 인생의 과제임을 제시한다. 철학자가 인생의 과제를 극복하기 위한 행동목표로 '자립할 것'과 '사회와 조화를 이룰 것'을 강조하는 대목은 되새길 만하다. '미움받을 용기'라는 책 제목이 마치 외부의 사회적 관계와는 무관한 '절대적 나'로서의 삶을 촉구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책은 세계가 나를 중심으로 돌아간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런 면에서 위험한 책은 아니다.
그렇다고해서 이 책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좋은 책으로 평가하기는 힘들다. 내용은 좋은데 A4용지 두세 장이면 설명할 것을 지나치게 길게 써놓았다. 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대화 형식의 구도를 취한 건 나쁘지 않다. 하지만 청년과 철학자 둘만의 대화에 사실성이 결락되는 측면이 있다. 이에 작위적이란 느낌이 몰입을 방해한다. 근래에 자존감이 깍인 채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조아리는 젊은 친구들에게는 따뜻하게 들릴 수 있으나 인간 삶 보편적 가치를 담아내지는 못한다.
설득의 부재로 인해 단선적 주문에 머무는 전달력도 아쉽다. 공동체 정신이 곧 행복이고 타인이 나를 어떻게 취급하든지 대가 없이 공동체에 기여하고 복무하는 인생이 되어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이는 중국 전국시대의 묵자의 가르침과 같이 실현 가능성이 없는 이상을 장황하게 늘어놓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그렇기에 맹자는 묵자 사상을 두고 듣기에는 좋은 소리로 들리나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한 것이니 세상의 질서가 없어지고 실질적인 사랑은 도태될 것이라며 경계한 것이다. 이상세계에 대한 당위를 모호한 선언으로 희석하여 디테일의 결핍을 초래한 현실인식은 과잉된 자아만 부추기는 꼴이다. 이러한 현실도피적 경향은 이 책이 심리학의 탈을 쓴 자계서라는 비판을 받는 가장 적확한 논거다.
이 책에 대한 소원한 평가는 평소 자계서를 멀리해온 내 태도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이 책을 감수한 문화심리학자 김정운 교수는 책의 첫 장을 여는 '감수 및 추천의 말'에서 "어설프게 위로하고 빤한 인생과 꿈을 이야기하는 자기계발서는 질색"이라며 이 책은 그런 부류와는 구분된다고 추천사를 남겼다. 동의할 수 없다. 이 책도 자기계발서의 구조적 모순에 자유롭지 못하다. 교묘한 선동, 저자만의 기준, 무의미한 합리주의, 뜬구름잡는 달콤한 소리 등으로 인간의 행복을 이상세계에 대한 잠시성(暫時性, transiency)의 소용돌이 속으로 밀어넣는다는 점에서 여느 자계서와 본질의 차이는 없다는 게 내 총평이다.
얼마전에 교회 후배가 나에게 자기계발서에 대한 비판적인 주관을 일반화하지 말라고 조언한 적이 있다. 사람마다 책을 고르는 기호는 다른 것이며 혹자는 계발서 한 권으로 유의미한 삶의 긍정을 얻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물론 틀린 얘기는 아니다. 하지만 그런 식의 접근은 독서의 질을 하향평준화로 몰아가는 기제다. 모든 가치기준에 자신만의 명확한 답을 제시하지 않고 다양성의 환원으로만 후퇴하는 방식은 비평의 영역에서 가장 비겁하고 치졸한 짓이다. 인간의 삶은 유한하고 읽어야 할 책은 많다. 꼭 읽어야 할 책을 고르고 읽는 것만으로도 우리의 남은 시간은 턱없이 부족하다. 책읽기의 밀도 차원에서 『미움받을 용기』는 그리 추천할 만한 책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