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나가 있던 자리
오소희 지음 / 북하우스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의 본질은 고통일까 행복일까. 서양철학사의 중요한 시기는 이 질문을 정면으로 관통한다. 공리주의자 제레미 벤담(Jeremy Bentham)은 인간을 "고통과 쾌락의 두 군주의 지배 하에 놓여있는 존재"로 규정했다. 그러나 다수의 현대사상가들은 인간의 삶을 '고통과 쾌락'이라는 전근대적인 기준으로 탐구하는 것에 거부권을 행사한다. 인생을 사변적인 이분법으로 재단하는 것은 나도 동의할 수 없다. 사람마다 다른 고유한 삶은 그 자체로 절대선이라 믿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여행에세이로 친숙한 작가 오소희가 소설을 냈다. 그의 첫 소설 <해나가 있던 자리>는 인간의 삶에 대한 이야기다. 단선적으로 상실과 박탈에 대한 이야기로 보이지만 보다 입체적으로 조망하면 인간 내면의 깊은 상처를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고민하는 삶의 보편에 대한 이야기다. 작가 오소희는 이 짧은 소설을 통해 삶의 '보편적 천국'이 '개별적 지옥'을 어떻게 극복해가는지 따뜻하고 진지한 언어로 보듬고 위로한다.

소설의 서사는 간명하다. 주인공 해나는 아들을 잃은 비운의 여인이다. 아들 재인은 여섯 살의 어린 나이로 목숨을 잃는다. 어린 자식을 먼저 저세상으로 보낸 엄마는 제정신일 수 없다. 해나는 죄책감에 시달리며 붙박이장의 차가운 금속 봉에 목매달아 죽을까를 고민한다. 그러나 "엄마, 행복해"라는 재인의 말을 상기하며 생각을 거둔다. 그리고 떠난다. 목적지 없이 멀리 떠나버린다. 작가는 해나가 계획되지 않은 여행을 통해 상처를 견디고 치유하는 과정을 동화처럼 아름다운 그림으로 그려냈다.

소설의 시공간적 배경이 되는 해나의 여행지 '그린레프트'는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곳이다. 작가는 현실의 상처를 비현실의 치유 속으로 밀어넣는다. 이 작가적 장치는 현실에서는 해나가 위로받을 수 없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전제한다. '깊은 슬픔'의 본질을 결론적으로 굴종시키는 비본질의 외연이 실재의 세계를 가득 채우고 있다는 걸 암시한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우리네 현실이 피곤한 건 필요한 게 없어서가 아니라 불필요한 게 많기 때문"이라는 평소 오소희식의 세상보기를 그대로 반영한다. 그렇다. 불필요한 비본질의 과잉은 항시 본질의 영역을 침해하고 배반한다. 비극이다.

작가는 '작가의 말'에서 이 소설의 집필의도를 직선적으로 드러낸다. 한꺼번에 삼백 명의 아이들을 잃은 작년 봄의 광포한 상처는 우리 모두를 해나가 되게 했다. 그러나 결국 우리는 해나가 아니었다. 작가는 바로 그 지점을 포착하고 있다. 상실과 박탈의 지속성을 중단할 아무런 동력장치가 우리의 현실체계 속에서 존재하지 않았음을 꼬집는다. 이 책의 시작이 바로 거기서 태동했음을 작가는 밝힌다. 즉 이 소설은, 작가의 말을 빌리자면, 우리 현실에 실재한 '진짜 해나'가 벌떡 일어서서, 자신을 되찾고, 사랑받고, 사랑하는 모습을 미치도록 갈망하는 목적으로 씌어진 것이다.

소설을 읽다가 나는 어느 한 지점에서 잠시 멈칫했다. "살아서 벌어지는 건 다 축복이다"라는 소설 속 어느 여인의 대사가 나온 장면이다. 내가 정지한 건 나이를 먹을수록 이 말이 가진 거대한 본질에 깊이 동의해가기 때문이다. 그렇다. 삶은 고단하다. 하지만 그것을 채우는 수많은 순간들의 조합은 온갖 축복으로 가득 차 있다. 삶은 곧 축복인 것이다.

아직 생을 다 살지 않은 '지금 이 순간'의 시간대는 '삶이 곧 축복'이라는 명제를 오롯이 수용할 수 없게 만드는 한계적 속성을 내재한다. 인간은 현재라는 시간대만을 인식할 수 있는 존재다. 인간의 인식론은 신(神)의 것과는 다르다. 시간은 인간을 조롱한다. 과거는 영원히 정지해있다. 현재는 총알같이 날아간다. 미래는 머뭇거리면서 다가온다. 이 굴곡된 시간의 물리력은 인간이 종국의 순간에 직면하여 자신의 내면을 쓸어내리며 신의 차원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는 동력이 된다. 어쩌면 어른이 된다는 건 시간대에 대한 통섭(通涉)의 내공을 누적하는 과정이리라.

인간은 상처의 종족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는 여러 상처와 아픔으로 충만하다. 안타까운 건 개별 인간의 비극과 무관하게 시간은 항시 보편적으로 묵묵히 흘러간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간의 일관성과 건조함 앞에 인간은 더욱 번민하며 좌절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생은 아름답다. 종국의 희극이 순간의 비극을 압도할 미래의 시간차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삶은 그 자체로서 선이고 사랑이고 축복이다.

서평을 정리하자. 삶은 아름다운 것이고 소망의 기한은 무한적이라며 따뜻한 위로를 건네는 오소희의 소설 <해나가 있던 자리>를 우리 주변의 '진짜 해나들'에게 추천한다. 그리고 그들이 옷장 속에서 용기있게 나올 수 있기를 기다리며 소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