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과 연애의 달인, 호모 에로스 - 내 몸을 바꾸는 에로스혁명 인문학 인생역전 프로젝트 6
고미숙 지음 / 그린비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이 고민하고 궁구한 주제는 무엇일까. 정답은 없지만, 아마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사랑'이라고 답변하지 않을까. 사랑 만큼 인간을 번뇌케 하고, 행복케 하며, 열정케 한 가치는 없었기 때문이다. 인류의 태곳적부터 지금까지 인간은 사랑에 고통했고 사랑에 행복했다. 사랑에 울고 사랑에 웃었다. 인류사는 과히 사랑의 명멸사滅史다. 고로 인류는 '호모 에로스'다.

   인문학자 고미숙은 『사랑과 연애의 달인, 호모 에로스』를 통해 인류사 최고의 뜨거운 감자인 사랑을 해부하고 천착했다. 물론 사랑에는 여러가지 줄기가 있다. 이 책에선 '사랑과 연애의 달인'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에로스적 관점에서 사랑을 탐구했다. 에로스를 갈구하는 인간의 내외재적 성향을 인문학적 시각에서 조명한 책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프롤로그를 통해 사랑할 때 꼭 기억해야 할 세 가지 태제를 제시한다. 사랑하는 대상은 바로 '나'이고, 실연은 행운이며, 에로스는 쿵푸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사랑을 대상의 문제로 환원시킬 필요가 없이 주체인 나 자신에 초점을 맞춰야 하고, 차는 것과 차이는 것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사건이기에 차였다고 주눅들 필요가 전혀 없으며, 사랑은 공부 없이는 제대로 실행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세 가지 테제를 기본 논지로 삼아 '호모 에로스'를 풀이한다.

  총 4부로 구성된 본문은 더욱 흥미롭다. 1부는 우리사회에 만연해 있는 사랑과 성(性, sex)에 대한 오만과 편견을 지적한다. 2부는 '국가'와 '가족', '학교'와 '쇼핑몰'을 코드로 청춘이면서도 전혀 청춘스럽지 않은 우리시대 젊은이들의 우울한 자화상을 지적한다. 3부는 에로스의 속성을 언급하며 이 땅의 청춘들에게 욕망을 발현하라고 주문한다. 4부 또한 3부의 연장에서 에로스를 향한 인문학적 고찰을 쉬지 않는다. 마지막 에필로그에서는 두려움없이 사랑할 것을 '명령'하기도 한다.

  고미숙 특유의 날카로우면서도 익살스러운 문체는 여전하다. 고전과 현대소설의 인용과 사랑을 격렬히 탐구했던 철학자들의 이름도 많이 등장한다. 니체와 에리히 프롬의 명언이 인용되고, 정이현의 단편집 『낭만적 사랑과 사회』의 본문이 차용된다. 스피노자와 사르트르의 지성, 루쉰과 정화스님의 철학도 소개된다. 저자는 '에로스'라는 거대한 명제를 천착키 위해 인류의 위대한 고전과 명사들의 정신 세계를 두루 망라하여 들려주고 있다.

  본문 중 가장 고개가 주억거리는 부분은 사랑과 책읽기의 상관성을 설명한 파트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사랑하기 위해서는 책을 읽어야 한다는 논리다. 솔깃한 얘기가 아닐 수 없다. 이미 에리히 프롬은 그의 명저 『사랑의 기술』에서 사랑과 공부의 연관성을 주창했다. 사랑이 공부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명제가 참임을 인정한다면 앎과 지성의 열정을 통해 사랑이 더욱 공고해진다는 결론에 수긍할 수 있다. 앎의 크기는 곧 존재의 크기다. 앎과 지성의 확장에 가장 적확한 작업은 책읽기다. 책을 읽지 않고서 어찌 사랑을 알고 만끽할 수 있으리요. 사랑을 알고, 누리며, 긍정하기 위해서 책읽기는 꼭 필요하다.

  이는 곧 러셀의 삶과 곧바로 연결된다. 러셀은 자서전의 서문에서 고백했다. 사랑에 대한 갈망, 지식에 대한 탐구욕, 인류 고통에 대한 연민. 이 세 태제가 자신의 일생을 지배한 세 가지의 열정이었다는 것을. 그리고 이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었던 연원은 바로 책읽기였다는 것을. 요컨대 러셀은 책읽기를 통해 사랑을 알았고, 지식을 탐구했으며, 인류애를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이다. 다시 한 번 일갈하자. 책을 읽지 않는 이들이여. 그대들이 사랑을 아는가. 

  이 책은 연애나 사랑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자기계발서가 아니다. 인간에 내재된 에로스적 성징에 대한 인문학 탐구서다. 인간을 탐구했고 사랑(에로스)을 조명했다. 동시에 인간의 오만과 편견을 꼬집었고 사랑에 대한 열정을 명령했다. 에로스에 국한된 사랑의 속성을 담았지만 책 속에 담긴 지식과 도전은 충분히 깊이있고 폭넓게 풍성하다. 인간 탐구가 외면되고 결락되는 시대에서 이 한 권의 책은 긴요하다. 인문학에 희망이 있다. 인문학으로 돌아가야만 한다.

  인문학이 위기라고 한다. 서점에서는 이를 어렵지 않게 인지할 수 있다. 인문학 서적은 이미 소설과 계발서에 자기 영토를 내준지 오래이다. 이런 와중에 인문학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고 대중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인문서적을 꾸준히 출간하는 출판사의 노력에 박수를 보낸다. '공부'와 '놀이', '언어'와 '예술', '책읽기'와 '사랑'을 넘어 다음은 어떤 주제로 인문학적 고찰을 꾀할 지 자못 기대된다.

  좋은 책은 좋은 세계를 만든다. 고병원의 책 구분법을 그대로 인용하자. 가장 좋은 책은 세계를 변혁하는 책이다. 세계를 비틀고 또 다른 세계를 창조하는 책이다. 인문학은 인간 본연을 탐구하고 천착하는 학문이다. 세계를 만들고 이끌어가는 존재가 인간이라는 점을 인정한다면 인간 본연을 통찰하는 것이야말로 세계를 바꿀 수 있는 기초적 지성이라는 사실에 고개를 숙일 수밖에 없으리라. 인간을 탐구하고 인간을 움직이는 책이 많아지길 소원한다. 더불어 이 땅의 수많은 책벌레들이 그런 책을 발굴하고 탐독하고 소개하는 작업에 게으르지 않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http://blog.naver.com/gilsamo
Written bY Davi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