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친 막대기
김주영 지음, 강산 그림 / 비채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어떨 때는 잔잔한 동화 한 편이 더욱 심원한 인생의 이치를 말해주는 경우가 있다. 또 어떨 때는 얇은 그림소설 한 권이 긴 서사가 말해주지 못하는 영역을 전달하는 경우도 있다. 동화는 아이만을 위한 텍스트가 아니다. 잘 다듬어진 동화는 물질만능주의 시대에 순수성 결락의 질병을 앓는 성인들에게 일그러진 자화상을 자각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한국적이며 토속적인 정서와 감수성을 발군의 내공으로 만들어내는 작가 김주영이 동화 같은 그림소설을 새롭게 선보였다. 나는 그의 대표작 『객주』를 통해 그가 얼마나 대단한 이야기꾼인지를 경험했다. 조선 상인의 생생한 삶과 역동성을 극히 섬세하고 토속적인 문체로 담아낸 『객주』는 한국 문학사에서 기념비적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이다. 요 몇 년 사이 개정판으로 새롭게 선보여 현대인들이 읽기에 어려움이 없도록 배려하기도 했다. 총 아홉 권에 달하는 김주영의 역작 『객주』는 반드시 읽어야 할 사회소설로 지인들에게 아낌없이 추천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김주영 작가가 그림소설을 새롭게 선보였다는 소식은 솔깃했다. 제목부터 예사롭지 않다. '똥친 막대기'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지 선연한 유추가 자못 어려운 제목이다. 과연 김주영은 그림을 배치하면서까지 무슨 이야기를 담아내고 싶었던 걸까. 거장의 변화는 언제나 독자의 가슴을 설레이게 한다. 두근거리는 가슴을 가라앉히고 양장본의 첫 장을 넘기면서 거장 김주영의 동화 속으로 침투한다.

  여기 한 그루의 백양나무가 있다. 오랜 세월 갖은 고난을 감내하며 강인한 나무로 성장했다. 소설 속 화자 '나'는 바로 그 백양나무의 곁가지다. 어미나무로부터 물과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받으며 무탈한 일상을 보낸다. 그러던 어느날 한 농부의 손에 의해 꺾이면서 '나'의 삶은 송두리째 뒤바뀐다.

  '나'는 수많은 정체성의 변신을 거듭한다. 본래 백양나무 곁가지였다. 그러다가 암소 엉덩이와 재희(농부의 딸)의 종아리를 때리는 회초리로 변신한다. 그런가 하면 하룻밤 사이에 똥친 막대기가 되어 측간에 갇힌다. 또다시 어미나무 곁인 봇도랑으로 돌아와 꽂혀 있는 막대기가 된다. 낚싯대가 되기도 한다. 홍수에 의해 오랜 시간 떠내려가다 어느 한 곳에 몸을 박고 뿌리를 내리면서 '나'의 지난한 여정은 끝난다.

  『똥친 막대기』는 꿈과 사랑의 이야기다. 막대기의 꿈과 사랑은 짧은 서사를 지탱하는 두 가지의 본류다. 한 농부의 손에 의해 절단되어 작은 막대기로서 다양한 변신을 꾀하며 모험을 거듭한 '나'의 꿈은 한 그루의 나무가 되는 것이다. 어미나무가 간단없이 몰아치는 여름의 비바람과 천둥 번개를 견뎌냈던 것처럼, 겨울의 칼바람에 잎이 찢어지고 가지가 휘어지는 담금질에도 꿋꿋하게 견뎌왔던 것처럼, 강인하고 생명력있는 나무가 되는 것이다. 종국에 스스로 뿌리내릴 곳을 찾아 우뚝 서기까지 작은 막대기의 찬란한 여정은 참으로 아름답다.

  막대기의 사랑 또한 구슬프다. 농부의 딸 재희에게 한 눈에 반한 막대기의 사랑은 한 그루의 나무가 되기까지 생명을 지탱케 한 원인이자 작동 장치이다. 막대기는 재희에게 선택되길 바랐다. 하지만 재희의 회초리로 선택될 때는 가슴이 아팠다. 측간에서 똥친 막대기로  갇혀 있을 때도 재희의 손길을 기다렸다. 재희가 자신을 무기로 동네 악다구니들을 쫓을 때는 한없이 기쁘기도 했다. 다시 어미나무 곁인 봇도랑으로 돌아와 꽂혀 있는 막대기가 될 때에는 재희에게 감사했다. 소설의 말미, 막대기는 자신이 살아갈 땅을 찾을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재희 때문이었다고 고백한다. 똥친 막대기가 한 그루의 나무가 되는 꿈의 실현은 한 존재에 대한 사랑의 방향성과 합치되면서 아름다운 꿈과 사랑의 이야기를 완성시킨다.

  꿈과 사랑의 가치가 훼손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젊고 어려운 시절의 꿈은 물질 만능에 영합한 현실주의로부터 가치를 외면당한다. 사랑의 의미 또한 퇴색됐다. 절대적 사랑 아가페(agapē)는 신의 전유물로만 각인된다. 아무리 시대와 가치관이 바뀐다 하더라도 절대 변하지 말아야 할 가치와 의미가 있다. 그것이 바로 '꿈'이고, '사랑'이다. 꿈이 현실이 될 때 인류는 진보했고, 사랑의 가치가 녹록지 않은 시대에서 인간은 가장 행복했다. 어쩌면 작가 김주영은 『똥친 막대기』를 통해 우리 사회에서 결핍되고 폄하되고 있는 꿈과 사랑의 가치와 의미를 전하고 싶었으리라. 

  『똥친 막대기』는 맑다. 아름답다. 여자의 변신도 무죄지만, 거장의 변신도 무죄다. 대하소설에서 얇은 동화 그림소설로 돌아온 작가 김주영을 환영하며, 그가 새롭게 만들어낸 맑고 아름다운 텍스트에 별 다섯 개를 아낌없이 선사한다.

 

http://blog.naver.com/gilsamo
Written bY Davi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