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코맥 매카시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econd Edition]



『로드』를 다시 읽었다. 대중과 평단으로부터 찬연한 호평을 받는 노장의 텍스트를 향해 나는 결코 박수를 보낼 수 없었다. 텍스트는 텍스트 자체로 평가해야 하며, 바로 이런 공식에서 『로드』는―적어도 내 주관에서는―별볼일 없는 텍스트였기 때문이다. 거장의 문학을 탐독하는데 있어 혹 내게 결락된 부분이 없는지를 반추코자 하는 의지가 강렬히 발동했다. 읽은지 얼마 지나지 않은 한 권의 소설을 재차 손에 집어든 이유가 여기에 있다.

  매카시는 극도의 건조한 묵시록적 분위기로 독자를 안내한다. 소설의 시작부터 종말을 맞이한 인류의 황량한 배경이 제시된다. 하지만 종말의 근원과 성격은 함구된다.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야기된 인류 최후의 암울한 미래상으로부터 서사는 시작된다.

  작가는 두 명의 인물을 배치한다. '남자'와 '아이'는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핵심 인물이자 부자 관계다. 아무 희망이 없어 보이는 종말의 세계에서 두 부자의 고된 여정은 시작된다. 아버지는 아들에 대한 사랑과 책임으로 무장한 부성애의 표상이다. 반면 아들은 아버지가 없이는 삶을 추동할 수 없는 연약한 자식의 전형이다. 두 부자는 실체가 가려진 비실존적 구원을 찾아 지난한 여행을 떠난다. 남쪽을 향해 끊임없이 걷고 또 걷는 부자의 행로에는 일말의 희망을 향한 인간의 용솟음치는 갈증이 오롯이 배어 있다.

  이 소설이 수많은 독자들로부터 사랑을 받은 이유 중 하나는 전달하려는 메시지에 대한 코맥 매카시의 의도된 침묵에 있다. 매카시는 종말의 원인과 희망의 실체에 대한 구체화를 거부한다. 그렇기에 읽는 이마다 다양한 해석과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이야기는 통조림을 뜯어 먹고, 잠을 취하며, 남쪽을 향해 걷는 두 부자의 행동이 거듭해서 반복될 뿐이다. 독자의 아웃풋을 하나의 굵은 공감대로 묵는 것을 차단코자 하는 작가의 기술에 의해 『로드』는 텍스트 자체의 수준에 비해 과대 회자되었다.

  나는 『로드』를 향한 가장 강렬한 비판 논거로 "<성서>에 비견되었던 소설"이라는 거북한 홍보문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온갖 찬사로 도배가 되어 있는 다양한 서평들을 읽으며 얼마나 많은 리뷰어들이 이 문구를 통속적으로 때려 맞추는지를 확인했다. 물론 <성서>에 비견할 만큼 뛰어난 텍스트라면 비판할 이유가 없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데 문제가 있다. 도대체 매카시의 문장 어디가 <성서>에 비견된다는 말인가. 

  『로드』와 <성서>의 공통점은 묵시록적 그림밖에 없다. 하지만 이마저도 두 텍스트는 배리된다. 『로드』에서 묵시록은 전부이지만 <성서>에서는 극히 작은 일부분이다. 『로드』가 제시하는 '희망'은 그저 역할 인물의 교체에 불과하다. 그것도 마지막 석장을 남겨둔채 이야기의 작은 전복으로써 대체된다. 종내 답은 침묵된다. 구원에 대한 해답은 없고, 오히려 고통의 또 다른 연속으로 이어질 뿐이다. "320페이지의 절망, 그리고 단 한 줄의 가장 아름다운 희망"이라고 외치는 소설의 표지 문구는 초라하기만 하다. 소설 말미의 역할 대체극에서 구원에 대한 선연하고 명려한 희망은 도저히 찾아볼 수 없다. 희망은 없다. 고통만 연장될 뿐이다.

  하지만 <성서>는 다르다. 구원에 대한 명징한 해답을 제시한다. 인류 구원의 해답을 내재적이 아닌 외재적 차원에서 접근한다. 세계의 창조, 인류의 태동, 신의 선택, 아가페(agapē), 구원의 원리, 종말, 종말 이후로까지 이어지는 <성서>의 인과적 구조는 비교가 거부되는 절대 고차원이다. 요컨대 '구원'이라는 명제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신의 아이러니 속에 완벽하게 담아내고 있다. 이에 반해 『로드』는 철저하게 인간 안에 구속된 희망을 얘기하고 있으며, 그마저도 화두만 던질 뿐 답의 해석을 독자의 의무로 토스한다. 제시한 명제에 대한 책임감, 이야기의 풍성함, 서사의 인과성, 그리고 문학적 진수에 있어서도 『로드』는 <성서>와 비교될 수 없는 함량 미달 텍스트다.

  한가지를 더 거론하자. 혹자는 소설에서 시계들이 '1:17'에 멈춰진 장면을 발췌하여 무리한 의미를 부여하곤 한다. <성서>의 '마태복음 1장 17절'의 구속사적 의미를 대입하는 것이다. 사실 17절까지는 아브라함부터 예수까지의 직계 족보이며, 18절부터 본격적인 예수 자신의 이야기다. 이를 차용하여 『로드』의 텍스트 위에 그대로 올려놓는 혹자들의 과한 접근은 '마태복음 1장 17절'의 의미를 피상적으로 해석한 오류에서 기인한다. 『로드』의 '1:17'과 <성서>의 그것은 의미와 가치, 그리고 차원에서도 결코 양립할 수 없다. 『로드』의 그것은 전과 후를 나누는 일차원적 분리에 불과하지만, 성서의 그것은 전과 후가 동일하면서 후가 전을 완성하는 동시적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로드』의 등장인물 두 사람의 몰개성도 문제다. 인물이 상황을 만들어가는 게 아니라 그저 상황만 흘러갈 뿐이다. 인물은 상황에 의해 통제되고 억압된다. 개성이 없이 기호로서만 존재한다. 소설에서 '통조림', '잠', '걷기'는 인물을 상황의 기계화로 고착시키는 상징 장치이다. 그렇기에 매카시가 제시하는 '희망'이라는 명제에는 아이러니가 존재할 틈이 없다. 오직 실체가 없는 텅빈 기표로서 구원에 대한 방향성만이 『로드』 전체를 지탱하고 있는 꼴이다. 

  이 소설의 키워드라 할 수 있는 '희망'에 대한 매카시의 모호한 처리도 답답하다. 작가는 두 명의 인물을 통해 종말이라는 현상을 쫓기에 바쁠 뿐, 정작 그것을 만든 근원적 모순이나 이를 해체할 희망의 실체에 대해선 묵묵무답이다. 본질은 애써 외면하고 비본질로 채워진 고매한 문장만을 열거할 뿐이다. 좀 심하게 말하자면 극히 단선적인 이야기 구도에 작품을 송두리째 맡겼다고 할 수 있다. 어두운 현재상보다는 근원과 결과를 파고 들었어야 했다. 책을 덮은 후 머릿속에 남는 것은 앞과 뒤가 잘린 암울한 묵시록의 스케치밖에 없다. 인물의 인격성 결여, 명제의 아이러니 부재, 허공을 맴도는 그저 도저하기만 한 문장들로 인해 재미없고 지루한 텍스트에 머물고 만다.

  모든 독서에는 읽는이의 주관이 반드시 필요하다. 내 주관이 아닌 남의 기호에 따라 책을 읽는 것은 작가와 종이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자기 자신의 존재성에 대한 기본이 아니다. 그렇기에 혹평은 소중하다. 인터넷을 통해 읽은 『로드』의 다수 독자평들은 대부분 작품 요약이나 작가의 메시지를 직간접적으로 조합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더욱이 이미 미디어에 소개된 평론가들의 찬사평을 부분적으로 인용하여 옮겨놓은 수준이다. 사실 전달의 측면에서 그럭저럭 무리가 없다고 하겠으나 서평으로서 쓰여진 글에 글쓴이의 비판적 판단이 전혀 들어가 있지 않다면 간접광고와 무엇이 다르겠는가. 

  한 권의 책에 대한 평은 반드시 텍스트 안에서만 논해져야 한다. 밖으로 나가면 안 된다. 텍스트 내면만을 살핀다는 것은 바깥에 대한 몰태도를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바깥에 대한 태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로드』는 분명 텍스트 안보다 바깥이 더 요란한 소설이다. 외연을 두르고 있는 과장된 포장에 의해 너무 심각한 작품이 되어 버렸다. 어쩌면 『로드』는 독자 개개인의 주체로서 읽기에는 너무 부담스러운 텍스트일지도 모른다. '해럴드 블룸'이나 '퓰리처상' 등의 거대한 긍정 코드가 이 소설을 압도적으로 형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재미없는 소설을 두 번 읽는 것도 곤욕이지만 서평을 두 번 쓰는 일도 십자가다. 『로드』를 한 번 더 읽으며 얻은 것은 두 가지다. 하나는 지루한 문장을 감내하는 인내심을 고양시킨 것이며, 또 하나는 기존 평점에 별 반개를 더 얹은 것이다. 그뿐이다.

 

★ 다윗이 추천하는 『로드』 찬사 서평 : 고냥씨님 - '변방에서 울리는 경종'
블로그 http://lifelog.blog.naver.com/waytogohr/r01_waytogohr_132
카페(책좋사) http://cafe.naver.com/bookishman/149492

 

http://blog.naver.com/gilsamo
Written bY Davi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