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리터의 눈물
키토 아야 지음, 한성례 옮김 / 이덴슬리벨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200만부 베스트셀러!
시청률 20%의 드라마 원작!
30년간 꺼지지 않은 15세 소녀의 감동 실화!

 건강한 14세 중학생 소녀 키토 아야의 평범했던 어느 하루의 일기로부터 책은 시작한다. 평범하고 행복했던 하루하루. 하지만 난데없이 찾아온 척수소뇌변성증! 소뇌,뇌관,척수의 신경세포가 변화해서 마침내는 사라져 버리는 이 무서운 불치의 병에 걸림으로써 아야의 몸은 점점 이상해진다. 처음에는 걷다가 자주 넘어지고 발음이 부정확해지는 증세를 보이다가 타인의 도움 없이는 한마디의 의사표현도, 대소변도 관리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기까지 아야는 병과 싸우며 고군분투한다. 자신의 몸은 점점 연약해져 가고 죽음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데도 삶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는 아야. 마치 하루가 천년인 것처럼 하루하루의 삶을 소중하게 일기장에 기록한다. 몸은 절망의 종지부인 죽음을 향해 다가가는데도 마음만은 희망의 시작인 삶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제목 '1리터의 눈물'을 생각했다. 아야는 울음이 많다. 일기의 구석구석 울음의 흔적들을 남겨논다. 어쩌면 아야가 흘린 1리터의, 아니 그 이상의 눈물은 신이 정해준 날까지 살기 위해 필요한 그녀만의 위로의 분출이 아니었을까? 

 카메라를 내 삶으로 돌려본다. 내 앞에 주어진 것에 대해 얼마나 불평과 불만으로 일관했던가? 냉면에 식초의 양이 부족하다고 불평하고 컴퓨터사양이 딸린다고 한탄하며 맥주안주가 형편없다고 투덜된 내 모습에서 부끄러움의 극치를 목격한다. 얼굴이 다소 네모나고 키가 작은 것에 대한 끊임없는 불만과 한탄은 어떠했는가? 두발로 제대로 걸을 수 있다는 것... 손가락 열마디가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것... 내 손으로 밥 먹을 수 있고 내 의지대로 말할 수 있는 것... 상상을 초월하는 감사꺼리가 아닐 수 없다.

 오래 사느냐 마느냐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어떻게 사는가가 중요한 것이다. 비록 25세의 젊은 나이로 생을 마감했지만 그 어느누구보다 용기있고 희망을 잃지 않았던 아야의 삶이야말로 소망없이 무미건조한 삶을 사는 이들에게 외치는 교훈과 도전의 목소리일 것이다. 

  "별에 이를 수 없다는 것은 불행이 아니다. 불행한 것은 이를 수 없는 별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다. 삶의 길이는 자신이 알 수 없다. 전적으로 신의 영역이다. 하지만 신만이 아는 삶의 길이 안에서 어떤 삶을 사는가는 결국 자신의 몫이다. 별에 이를 수 없다고 한탄하지 말고 이루기 위해 갈망할 수 밖에 없는 별을 가져보자. 『1리터의 눈물』이 많은 사람들의 삶을 희망적이고 도전적으로 만드는 상쾌한 산소로 기화되기를 소망한다.

 

밑을 내려다보니 그림자 위에서 움직이는 작은 것이 눈에 띠었다. 작은 개였다. 무척 슬퍼보였다. 선생님이 다가와서 "개도 멋진 경치가 좋은가 보구나."라고 말씀하셨다. 말을 못하는 동물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은 그 사람의 그때의 기분에 따라 다른 것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 책내용中

어딘가 넓은 곳에 가고 싶어.
비좁은 곳은 이제 싫어.
엄청난 압박을 느끼는 걸.
추워서 밖으로 나갈 수도 없어.
죽는 것만을 생각하다보니 무섭다.
움직일 수 없으니까. 어떻게도 할 수 없으니까.
살고 싶다.
움직일 수도 없고, 돈을 벌수도 없고,
남에게 도움을 줄 수도 없지만.
그래도 살고 싶다.
이해해 주세요
- 책내용中

 

 
http://blog.naver.com/gilsamo

Written by 다윗의용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