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실록 밖으로 행차하다 - 조선의 정치가 9인이 본 세종
박현모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조선 시대 최고의 성군은 누구라고 생각하십니까?"

한국 국민들에게 위와 같은 질문은 싱거울 것이다. 열에 절반 이상은 동일한 대답이 나올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왕권과 신권의 적절한 조화를 바탕으로 육진을 개척하고, 한글을 창제했으며, 과학을 진흥시켰고, 음악을 정리했으며, 서적을 편찬하는 등 전 분야에 걸친 찬연한 업적은 세종대왕이 조선시대뿐만 아니라 전 왕조를 통틀어서 최고의 성군임을 입증하는 데 부족함이 없다.

 

  위대한 성군 세종을 그린 『세종, 실록 밖으로 행차하다』를 읽었다. 제목부터가 특별나다. 『세종, 실록 밖으로 행차하다』라는 제목은 책을 읽기 전 많은 상상력을 유발시키기에 충분했다. 흥미로운 제목에 부흥하듯 구성 자체가 특이했다. 조선시대 9명의 정치가(태종, 황희, 허조, 박연, 정인지, 김종서, 신숙주, 수양대군, 정조)의 관점에서 조명한 세종의 모습을 서술하고 있다. 각자가 본 세종의 모습을 1인칭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다. 제목에서는 '실록 밖으로 행차하다'라고 했으나 대부분의 이야기가 실록을 기초하고 있고 작가의 상상력보다는 실록과 그 외 자료에 의존하고 있다. 즉 역사적 사실성에 충분히 기반한 책이라는 얘기다.

 

 아버지와 자식, 신하들, 그리고 먼 훗날의 성군(정조)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세종 자신의 이야기가 재미있게 읽혔지만 아쉬운 부분도 적지 않다. 조선시대 또다른 성군으로 손꼽히는 정조조차도 벤치마킹하고 싶었던 세종의 역사를 다루는 데 있어 정조 자신의 부족한 정치력을 토로하는 고백은 매우 신선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정조 외의 인물이 바라본 시각에서는 '누구 누구가 본 세종'이라는 신선한 설정의 기대감과는 많은 부족함이 느껴졌다. 더욱이 신숙주 편에서는 세종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고 집현전 학자이자 절친한 동료인 성삼문과의 관계, 수양대군(세조)과의 관계, 계유정난 등의 이야기만 다루고 있어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화자의 관점으로 세종을 조명, 분석했다기보다는 화자와 세종간에 있었던 일이나 그 시대의 사건들을 그저 1인층의 시점으로 이야기할 뿐이다. 각 화자들에게 작가의 상상력이 더 크게 침투했으면 한층 더 흥미롭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한편 저자가 정치를 바라보는 시각을 느낄 수 있었는데 다소 마키아벨리즘적 성향이라고나 할까? 피비린내 났던 태종시대와 세조시대를 찬양조로만 언급하는 것과 에필로그에서 세종이 수양대군으로 전위하지 않은 것은 잘못이라는 비판을 하는 장면에서 결과를 위하여 수단과 방법(정도와 기본)을 가리지 않는 경향을 살포시 느끼기도 했다.

 

  '실록 밖으로 걸어나오는 듯 생생하고 입체적으로 그려낸 세종의 모습!'이라는 문구에서 오는 포스에는 다소 실망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점이 많은 책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역사책이 날마다 변화하는 시대에 신선한 관점에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새로운 시도를 했다는 점을 위시하여 실록을 꼼꼼하게 체크하여 연도표기를 자상하게 해두었고 어려운 낱말에 대한 성실한 괄호해석을 통해 책을 쉽게 읽는 데에 큰 도움을 준 부분은 이 책의 강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세종에 대한 용비어천가만을 늘어놓는 것이 아닌 세종의 인간적인 모습, 세종의 고집스러운 모습 등에 대해 서술하고 있어 '인간 세종'에 대한 접근도 수월하였다.

 

  어떻게 보면 세종은 쉽지만 쉽지 않은 역설적인 인물일 수 있다. 잘 알려져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세종을 다뤘다는 점에서 매우 반가운 책이었으며 리더쉽 공황상태에 빠져있는 작금의 시대에 조선 최고의 태평성대를 일군 세종의 덕치, 사람을 사용하는 원칙, 경청의 기술 등의 풍성한 리더쉽의 원리를 얻을 수 있는 좋은 책이다.


http://blog.naver.com/gilsamo

 
Written by 다윗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