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가 예전 같지 않다. 양과 질 모두 총각 때와는 전혀 다른 독서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다. 아이들이 좀 크면 방해받지 않고 독서를 즐길 수 있겠지, 생각한 건 큰 오산이었다. 아이들의 성장과는 무관하게 내 스스로 점점 나이를 먹어가며 체감하는 시간의 지독한 부족 현상이 내 독서를 방해하는 궁극의 요인이었다. 한 달에 스무 권씩 읽어냈던 좋은 시절은 끝났다. 이제 오늘만 지나면 내 나이 마흔둘이다.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시점이다. 요컨대 꼭 필요한 책만 읽어야 한다는 뜻이다.

 

   2020년에 무조건 읽어야 할 책을 두 편 골랐다. 첫 번째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대작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이다. 과거 한차례 읽기를 시도했다가 중도에 포기한 이력이 있다. 내용 자체가 어렵다기보다 집중하기 힘든 프루스트 특유의 미로찾기 식 만연체에 초반부터 녹다운 됐던 기억이 선연하다. 가령 잠들기 전 뒤척이는 장면을 묘사하는 데에만 30페이지를 할애한다. 오죽하면 프루스트의 동생이 "이 소설을 읽으려면 중병이 들거나 한쪽 다리가 부러져야만 한다"라고 말했겠는가. 여하튼 새로운 번역으로 곧 재도전하려 한다. 내가 이 난해한 소설을 다시 읽으려 하는 이유는 시간과 인생 사이의 고밀한 함수성을 프루스트 식 조망으로 통찰해보기 위함이다. 나이가 들면서 '시간'의 의미를 보다 폭넓게 천착해보려는 버릇이 생겼다. 시간이 너무 빠르게 흘러간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가장 매끄러운 번역으로 평가받는 김희영 교수 번역(민음사 판)은 아직 완간이 되지 않아 古 김창석 시인의 완역본 세트(10권)를 물망에 올려놓는다.

 

   또 다른 책은 숄로호프의 <고요한 돈 강>이다. 소설가 박경리가 그토록 추천해 마지않았다고 알려진 유명한 소설이다. 그래서 예전부터 읽기를 갈망했던 작품이기도 하다. 하지만 마땅한 번역본을 찾지 못해 차일피일 해왔다.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를 가볍게 완독한 작년 말의 기억을 긍정하며 또다시 러시아 대작에 침잠해보고자 한다. 개인적으로 러시아 소설에 잘 감응하는 편이다. 톨스토이, 도스토옙스키, 투르게네프, 파스테르나크, 솔제니친 등 지금까지 만난 러시아 작가들은 모두 내 기호와 부합했다. '방대한 서사를 유려한 문체로 힘 있게 이끌어가는 힘'이야말로 러시아 문학이 가진 매력이 아닐까 한다. 가슴이 두근거린다. 동서문화사 판으로 만날 예정이다.

 

   고전은 하나의 거대한 산맥이다. 시대가 흐르고 문화가 바뀌어도 변질되지 않는 거대한 산맥 말이다. 작품 자체의 스케일이 크고 웅장할수록 독자로서 받는 정신적 확장의 사이즈가 커진다. 큰 작품이 큰 독자를 만든다. 2020년에는 시공간은 물론 정신과 의식의 확대 영역에서 굉장히 큰 사람이 되고 싶다. 크게 생각하고 크게 사랑하고 크게 꿈꾸고 크게 일하고 싶다. 내가 두 편의 고전을 예약한 이유다.

 

 

 

http://gilsamo.blog.m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