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스토이의 『부활』을 다시 읽는다. '다윗의 서재'를 자주 방문한 이웃이라면 내가 톨스토이의 소설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잘 알 것이다. 『안나 카레니나』는 내 인생의 단 한 권이 책이고, 『전쟁과 평화』는 내 내면의 크기를 바다와 같은 스케일로 확장시킨 걸작이다. 톨스토이에 대한 지나친 헌사인지는 모르겠으되, 세르반테스가 『돈키호테』를 통해 근대소설의 개시를 알린 이래 『안나 카레니나』와 『전쟁과 평화』 두 장편만으로 인류 소설사는 모두 덮이고 커버된다.

 

주지하다시피 『부활』은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와 함께 '톨스토이 3대 걸작'으로 꼽히는 소설이다. 다른 두 소설에 비해 비교적 후일에 쓰여 후기 톨스토이를 이해하기 위해 꼭 필요한 작품이기도 하다. 소설이라는 장르의 예술성과 완성도 면에서 과거 두 작품에 비해 저평가 되고 있지만 나는 이 소설을 완전히 다른 관점에서 아끼고 사랑한다. "『부활』을 읽는 건 우리 자신을 읽는 일이다."라는 서평가 이현우의 해설은 이 소설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함축적으로 안내한다.

 

사실 『부활』은 종교적·사상적 관점에서 나와는 잘 맞지 않는다. 소설에서 상징하는 '부활'이 본래의 기독교적 의미에서의 부활과 다를 뿐 아니라, 귀족과 지주로 대변되는 19세기 러시아 특권계층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사유재산권 중 가장 기초가 되는 토지소유권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하기 때문이다. 톨스토이는 나이가 들면서 평화주의자, 기독교 사상가, 공동체주의자 등으로 바뀌어 갔다. 톨스토이가 말년으로 갈수록 작가에서 신학자로, 소설가에서 사상가로 변질(?)해가는 과정은 흥미롭지만 안쓰러운 측면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이 소설을 집어 든 이유는 바로 '힐링' 때문이다.

 

톨스토이는 주인공 네흘류도프가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새로운 삶을 추구하여 영혼의 부활을 이루는 과정을 극한의 진솔한 묘사로 그려냈다. 유려하기 그지없는 톨스토이의 글발은 한 인간의 고도의 정신적 구원의 과정을 아름답게 이끌어간다. 악에서 선으로, 부정에서 긍정으로, 육체에서 영혼으로 향하는 네흘류도프의 순전한 여정은 그 방향의 전개 과정을 살피는 것만으로 독자에게 힐링이 되고 위안이 된다. 그래서 다시 한 번 읽어보고자 이 소설을 들었다.

 

97년 외환위기 이후 한국 사회는 '힐링'과 '멘토'라는 말을 폭포수처럼 쏟아냈다. 관련 책들이 서점가를 지배했고 그 여파는 아직까지 흔적을 남기고 있다. 하지만 여기저기서 싸구려 힐링에 속아 넘어간 사람들의 외침이 들린다. 고단하고 추악한 현실을 벗어나기 위한 힐링은 거부한다. 내 나이 어느덧 마흔을 넘었다. 현실을 도피하는 힐링이 아니라 현재를 객관화하는 힐링을 소원한다. 다른 것으로 대체되는 힐링이 아니라 동일한 실재가 상승하는 힐링을 갈망한다. 전자는 일상을 파괴하지만 후자는 삶을 단단하게 한다. 전자가 과거의 시간대에 구속되는 반면 후자는 현재와 미래 사이의 가능성에 주목한다. 요컨대 인간세계의 저차원적 힐링이 아니라 훨씬 높은 차원의 신성한 힐링을 소망하는 것이다. 그 동기부여의 선상에 톨스토이의 걸작 『부활』이 놓여 있다.

 

오래간만에 톨스토이의 소설을 읽으려 하니 가슴이 두근거린다. 자세한 것은 후일 서평으로 갈음하겠다.

 

 

 

 

http://gilsamo.blog.m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