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어디서나 직장인의 비애는 여전하다. 주중에는 진이 빠지게 일하고 주말인 불금(불타는 금요일)에는 미친듯이 돈과 기력을 탕진한다. 그러다 일요일 오후가 되면 미미한 긴장감이 안개처럼 들어선다. (일하지 않을 권리)<데이비드 프레인, 2017>, 이 책은 일하지 않을 권리를 상상해보자고 권한다. 


   토요일에 만났던 나의 두 아들에게도 결국은 삶의 철학이나 그들이 스스로 사는 공간에서 느꼈던 인간적 감성에 대한 대화 보다는 어느 누구는 취직 했다더라식의 일에 대한 얘기가 대부분이었다. 오늘날 취업준비생들에게는 성격조차 ‘스펙’이 된 시대가 되었다. 


   내친김에 (게으름에 대한 찬양)<버트런드 러셀, 2005>을  읽어보는 것도 흥미롭다. ‘일 중심주의’ 가 이념과 종교를 떠나 일종의 진리 처럼 받아들여지는 현실에서 (강진일기)<손학규,2016> 의 ‘저녁이 있는 삶’ 을 찾아 볼 때이다.



    지난 5월 9일 대선 전에 지인과 저녁 식사를 할 기회가 있어 이런 저런 얘기를 하다가 ‘투표’ 를 할 것이냐고 물었다. 의외의 답변이 돌아왔다. 그는 투표를 하지 않겠다고 했다. 그것은 종교적 이유였다. 그가 말하는 구체적인 이유를 다 옮기에는 부족하지만 그중에서 가난하고 굶주린 사람들에 대한 얘기도 있었다.


   세계적으로 가난과 굶주림은 부유한 국가나 자본주의 부유층의 탐욕으로 인한 분배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 했다. 어디서 자주 들어 봄직한 얘기였다. 지난 정부들의 경제민주화 정책인 대기업과 중소기의 상생으로 발생한 낙수효과는 없었다. 그런 의미에서 문재인정부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청문회장 모두 발언은 인상적이었다.


   (무엇을 먹고 어떻게 분배할 것이가)<발렌틴 투른.슈테판 크로이츠베르거, 2017> 의 서두에 ‘사람들은 미래에도 먹을 수 있을까’ 로 시작한다, 이 책은 인구과잉이 먹을거리 부족 문제의 본질이 아니다라고 역설한다. 저자들이 꼽는 식량 위기의 주범은 ‘육류의 소비 증가에 따른 단작의 끝없는 확대’ 라고 주장한다. 급증하는 동물 사료 수요는 하나의 작물만을 지나치게 재배하는 단작을 초래한다고 역설한다.


   사람에게 육식은 필수다. 영양학적으로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해야하는 상황에서 특히 소고기에서 얻는 필수아미노산이 더 많은 실정이다. 만약 78여 억명 지구인의 식량이 제대로 분배된다면 빈곤적 굵주림은 극복되리라 생각한다. 



  토요일 아침은 늦잠자기에 좋은 시간대이다. 물론 계획에 따라 일상 생활의 공간을 떠나 산과 들에서 심신의 피로를 힐링하기에 좋은 시간대이다. 하지만 건축공사장이나 감정노동자들이 집약된 백화점 등의 근로자에게는  쉽게 여유를 갖기에는 어려운 토요일 아침이기도 하다. 


   특히 먹고 살기 위해 많은 노동시간을 투자하는 현대인은 잠이 부족하다. 또한 노환 등으로 불면증에 시달리는 사람들도 꽤 있다. (잠1.2)<베르나를 베르베르, 2016) 은 잠을 소재로 한 픽션과 과학적 사실을 적절히 직조 해 나가는 소설적 재미가 솔솔한  책이다.


   저자인 <베르나르 베르베르> 가 (제3인류) 이후 4년 만에 내 놓은 신작 소설로 사람은 평생 3분의 1을 잠자면서 12분의 1은 꿈꾸는데 보낸다고 한다. 그 꿈이 소재가 글로서 소설 읽기의 재미를 만끽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