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1백년 1 - 개화기 이후 광주의 삶과 풍속
박선홍 지음 / 심미안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들판에 흩어져 살던 시대에 뒤이어 시민이 도시에 모여 사는 시대가 왔다. 도시란 인간 이하 상태의 집이나 둥지를 초월한 초대형 집이며 가정보다 더 추상적이고 고차원적인 실체다. 즉 단순한 인간에 불과했던 자들이 최상의 에너지를 발휘하는 시민으로 탄생한 최고의 유기체이다 현대의 도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근대를 참고•연구하여 창조적인 문화•생태•역사•경제적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성해야만 도시의 생명력을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두 가지를 잊지 말아야 한다.하나는 도시라는 땅을 알아야 하고, 다음은 도시의 역사를 알아야 한다.
1996년에 전라도에서 전남이 나뉘고 광주가 도청 소재지가 된 지 1주년을 맞이 했었다. 그동안 광주는 서남권의 거점도시로 발전해오기까지 숱한 여정을 겪어왔다. 우리 나라의 곡창으로서뿐만 아니라 섬유공업의 원료공급기지로서 일제 식민지 수탈의 거점이 되었으며 이에 항거하는 우리나라의 의병항쟁과 학생독립운동의 본거지다. 우리 선인들은 내 것을 지키고 가꾸면서 신문화를 받아들이고 급격한 개화의 물결 속에서도 향토 정신의 맥을 지켜왔다.
1980년, 광주에서 일어난 5.18민주화 운동은 민주주의를 쟁취하기 위한 대한민국 현대사의 일대 사건이 아닐 수 없다. 광주 5.18민주화 운동은 당시 신군부의 무자비한 탄압에 의해 좌절되었지만 거대한 잠재에너지를 응축하면서 이후 사회 변혁의 힘찬 원동력이 되었다. '5.18민주 화운동기록물'이 2011년 5월 25일 자로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광주가 세계속으로 들어가는 발판이 되었다.
33주기를 맞은 망월동에는 옛 망월역이 있었다. 1922년 12월에 송정~광주 간 철도가 담양까지 36km로 연장되었다. 망월역은 현재 망월동 국립묘지 입구인 장운동 복바위(속칭 복다구) 뒤쪽에 있었다. 1944년 2월까지 운행되었으나 군수물자로 쓰기 위해 레일을 철거해버린 뒤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노선은 경북 포항에서 전남 법성포까지 한반도 남부를 횡단하여 동해안과 서해안을 잇는 철도망을 전제로한 것이었다. 2009년부터는 대구 달구벌과 광주 빛고을의 첫 글자를 따 '달빛동맹'을 맺어 도시의 정치•경제•문화의 전반에 공동 관심사를 선정하여 교류하고 있다. 도시는 생명의 공간이다. 광주 공동체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품고 진화•발전한다. 13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