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학 이야기
박경리, 신경림, 이제하 외 지음 / 문학동네 / 2001년 12월
평점 :
품절


  몇 해전 여름 밤에 읽었던 책을 다시 펴니 모기 한 마리가 화석처럼 책갈피에 붙어 있었다. 문학은 배고픔이다. 배가 고픈 사람은 늘상 밥을 찾는다. 문학은 자기 안의 결핍을 다룬다. 작가는 결핍에서 탄생한다. 더 중요한 것은 결핍 너머의 뭘 그리워 하느냐이다. 결핍 없는 삶은 없지만 결핍을 느끼지 못하는 삶도 많다. 

 

  작가에게는 고향의 얘기, 어린 시절의 얘기가 밑천이다. 그것은 경험의 폭은 좁지만, 예민하고 감수성이 풍부할 때 느끼고 보았던 것들이기 때문이다.공부를 하면 출세를 하는 것인가, 공부를 해서 무얼 할 것인가 보다는 읍내 버스는 언제 오는가, 장날이 언제인가, 정육점에서 소를 언제 잡는가, 선생님은 어디서 사실까 따위에 골몰해었다.

 

  낯선 사람들을 실은 버스가 마을 정류장에 도착해서 멈출 때면, '도대체 저 사람들은 어디서 왔을까, 어딜 가기에 이 앞을 지나갈까?' 싶었다. 저 언덕 너머에는 뭐가 있을까, 어떤 알지 못할 세계가 펼쳐져 있을까! 우리가 자기 존재를 뚜렸하게 느낄 때는 우리의 삶이 위기에 닥쳐 홀로 있을 때의 순간들이다. 그 순간의 경험들이 문학을 탄생시킨다.

 

  언어를 통하지 않고 우리의 진실에 도달할 없다. 문학은 추상적인 사람을 다룬다. 문학은 실존의 총체성을 표현할 있기 때문이다. 이론만으로 생명을 얘기할 없다. 오락을 위한 문학은 있을 있다. 오늘날 상업주의에 물든 비문학적 발상에 대해 '사람은 빵만으로는 없다' 것이다. 물질적으로 배가 고프면 정신적으로도 배가 고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