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기 앞의 생
에밀 아자르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영화 '달콤한 인생'에서 보스의 젊은 애인에게 마음이 흔들였을 때 김선우(이병현 분)는 잠을 뒤척이며 이렇게 독백을 한다. '다 각자의 삶이 있는 것이지!', 저마다 자기가 안고 사는 삶이 있다. 우리가 좋다• 나쁘다가 아니라 삶은 삶 자체로써 의미가 있다. 자기의 삶은 판단의 대상이 아닌 사랑의 대상이다.
급속히 노령화 시대로 접어 들면서 뇌질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노인층에서는 암과 치매(뇌신경질환 등)를 우려한다. 신자유주의 정책을 펼쳤던 영국의 대처수상은 뇌졸증과 방광 종양으로, 미국의 레이건 대통령은 퇴행성 뇌질환(알츠하이머병)으로 말년을 보냈다. 이 소설은 뇌질환(뇌경색,치매,뇌경화)을 앎고 있는 유태인 늙은 창녀 출신 로자 아줌마와 어느 창녀 아들인 14세쯤 된 아랍 소년 모모와의 생에 대한 작가의 자서전적 소설이다.
사랑하는 가족을 위해 동반 자살하는 노부부의 기사도 가끔있다. 하지만 중1학년생쯤되는 '모모'눈으로 보는 생의 통찰은 고급 교육이나 거부나 중산층 행복 타령이 아닌 몸으로 벌어 먹는 가난한 이웃에 대한 따뜻한 깨달음이다. 유태인이라는 이유로 아우슈비츠에 강제 수용된 끔찍한 기억을 갖고 있는 로자 아줌마와 함께 지내던 자신의 생 중 어느 한 시기에 관한 슬프고 아름다운 이야기이다.
창녀의 아이들을 돌봐주는 은퇴 창녀인 로자 아줌마가 뇌혈증(뇌경색 등)을 앓게 되자 모모가 로자 아줌마를 돌봐주지 않으면 안 되었다. 로자 아줌마가 천천히 죽어가기 시작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인 모모는 열다섯 살 때의 아줌마 사진을 들여다본다. 사진 속의 처녀는 앞날이 충만하고 행복하기만 하리라는 듯한 미소를 짓고 있다. 모모는 생은 그러한 것들로만 채워지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로자 아줌마를 파괴해가는 것도 생이라고 생각한다. 그의 멘토격인 하밀 할아버지를 찾아간다. 할아바지는 '너를 낳아준 사람이 있다는 유일한 증거는 너뿐'이라 가르쳐 준다. 세상엔 전적으로 희거나 검은 것은 없고 흰색은 흔히 그 안에 검은색을 숨기고 있으며 검은색은 흰색을 포함하고 있음을 들여준다.
로자 아줌마가 의식을 잃기 시작했을 때 모모는 아줌마가 평소에 혼자 숨어들곤 했던 지하실의 방으로 데리고 간다. 모모는 병세가 깊어진 아줌마를 친척이 있는 이스라엘로 보내지 않고 둘 만의 지하실에서 로자 아줌마의 입종을 지킨다. 그때의 모모는 돌아가신 부모의 식어버린 볼에 자신의 볼을 비비며 울었던 내 심경이었을 것이다.
다시 새롭게 살아갈 낯선 땅을 찾아가던 길에 모모는 하밀 할아버지가 노망 들기 전에 해주었던 말을 떠울린다. '사람은 사랑할 사람 없이는 살 수 없다'는 말을. 이 책은 비범한 일을 하는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사랑을 깨닫고 그것을 실천하는 일이다. 이는 슬픔으로도 사람은 행복해질 수 있다는 반증이다. 생은 아픔만큼 성장해 가는 진보성이 잠재되어 있다. 14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