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명한 부모는 넘치게 사랑하고 부족하게 키운다
제인 넬슨.셰릴 어윈 지음, 조형숙 옮김 / 더블북 / 2021년 3월
평점 :
오프라 윈프리가 강력 추천한 육아 솔루션.
부모가 되었고 자녀를 양육하는 사람으로서 부모 도서는 늘 옆에 두고 읽어왔다. 길고도 긴 터널 같았던 자녀 양육의 길을 무사히 넘어선 것 같은데 이 모든 것은 부모 도서와 신앙과 기도 덕분에 잘 걸어온 듯하다. 세상과 사회의 빠른 움직임을 인지하고 어떻게 자녀를 이해시키고 협조를 받으면서 함께 걸어갈 것인지 많은 생각들과 질문들을 담으면서 걸었던 길이 떠오른다. 우리가 원했던 것보다도 더 잘 성장해 주고 밝은 모습으로 잘 성장해 준 아이에게 고마울 뿐이다. 고난과 험준한 경험이 앞에 있을지라도 아이는 상황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면서 도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그 선택을 매우 만족하면서 지금도 새로운 생활들을 잘 헤쳐나가고 있다. 이 책은 책 제목부터가 너무 인상적이었다. 우리 부부의 모습을 대변해 주고 있었기에 읽어보고 싶었던 책이었다. 그래서 고른 책. 문을 두드린 책이다.
"나는 아이를 잘 키우고 있는 걸까" 4쪽
시작하는 글부터 강하게 질문하고 있다. 자녀 양육의 길은 길고도 긴 실타래와 같은 질문이 많은 길이라고 생각한다. 진정한 훈육이 무엇인지 이 책은 분명하게 알려준다. 소리를 지르거나 야단치는 것은 훈육이 아니라고 전한다. 현명한 판단력과 책임감, 자신의 삶을 위해 최선을 다하려는 태도를 가르치는 것을 훈육이라고 책은 전하고 있다. 훈육과 벌을 혼동하지 말아야 하는 내용이다. 이 과정을 조목조목 잘 이해시키면서 스스로 판단하고 책임을 지면서 최선을 다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부모의 몫이기도 하다.
자신의 아이에 대해서만큼은 전문가가 되어야 하는 부모. 이 내용도 책은 담아내고 있다. 이외에도 부모의 죄의식에 대한 내용들도 담고 있다. 편부모의 죄의식, 재혼에 대한 죄의식, 맞벌이 가정 부모의 죄의식, 아이를 남에게 맡기는 것에 대한 죄의식에 대한 내용이 6장에 소개되고 있다.
먼저 부모의 사고와 행동 방식을 바꿔라. 78쪽
허용적인 양육 태도 옹호자의 주장과 통제적인 양육 태도 옹호자의 주장에 대해서도 책은 소개한다. 현명한 부모 하면 " 내가 이렇게 행동하면 우리 아이는 무엇을 배우고 얻게 될까?"라는 질문을 계속 던져야 하는 것이라고 책은 전한다. 이러한 질문을 던지는 부모는 절반은 성공한 것과 같지 않은가.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부모를 가까이에서 보았고 나 또한 그렇게 질문하면서 자녀를 키워왔다. 그리고 자녀에게도 부모가 처음이라 실수도 한다고 앞으로는 더 서로 노력하자고 진중하게 대화를 나누었던 순간들이 떠오른다. 그렇게 우리는 서로를 이해하고 한 걸음 더 다가서면서 험난한 여정을 지났던 것 같다. 덕분에 아이와는 지금은 대화도 많고 솔직한 대화들을 더 많이 하는 사이가 되어 있다. 친구 같은 사이가 된 모녀 사이. 서로가 그렇게 부족함을 채워주는 사이가 되었다.
독립심이 강한 아이로 키우는 것은 성공적이다. 그 내용도 이 책에서는 소개하고 있다. 8장에서는 인성은 왜 중요하고, 어떻게 길러지는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인성은 교육에 의해 길러지고, 경험에 의해 학습되는 것이다. 타인을 존중하고, 공정하게 행동하고, 책임감을 갖고 타인을 돕는 태도는 훈계에 의해 길러지는 것이 아니라고 분명하게 전한다. 인성은 정말 중요한 부분이다. 사회생활과 인간관계에서도 중요한 덕목이기도 하다.
인성은 고통 없이 완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수많은 시행착오와 고통이 사람의 정신을 강하게 단련시키고 성공할 수 있게 한다. - 헬렌 켈러 (201쪽)
감사하는 태도 가르치기, 아이가 원하는 것과 아이에게 필요한 것은 다르다는 내용도 책은 담아내고 있다. 진정한 사랑은 아이에게 필요한 것을 주는 것이라고 책은 전한다. 이외에도 아이를 위한 삶이 아니라 당신의 삶을 살아라는 내용도 전한다. 자녀는 소유물이 아니라 선물이라고 책은 분명하게 짚어주고 있다. 이 말이 참 좋다. 비슷한 내용을 담은 칼린 지브란의 시도 이 책에도 실려있다. 이 내용은 처음이 아니었고 이 시를 언제나 가슴 깊은 곳에 담으면서 자녀를 바라보면서 키웠던 것 같다.
침묵하며 아이의 말에 귀를 기울이라고 전한다. 부모의 말만 하고 듣지 않는 부모들도 세상에는 참 많은 듯하다. 아집으로 가득 차면서 아이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부모들을 자주 보게 된다. 우리의 자녀들과 우리들의 관계는 팽팽한지, 유연하지 늘 돌아보아야 하는 관계이다. 존중하며 듣는 부모가 되기도 해야 한다. 듣다 보면 자녀의 의견이 합리적일 때도 있기에 늘 귀를 열고 마음을 여는 부모가 되어야 한다는 것에 공감하게 된다.
책 한 권 꼼꼼하게 읽으면서 다시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부모 역할을 다시 돌아보아야 한다는 글도 눈에 들어오는 순간이기도 했다. 부모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자녀에 대한 걱정을 다루고 있는 책이었다.
당신의 사랑은 어떠한가? 지나치게 통제적이거나, 혹은 무조건적으로 허용적인 양육 태도에 의존해왔는가? 아이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 스스로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고 있는가? (322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