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빛을 두려워하는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 2021년 12월
평점 :
한 편의 소설이지만 많은 것들이 그물망처럼 촘촘하게 떠오르는 작품이었다. 종교적 환경에서 성장하는 자녀들의 순응하는 모습에도 자문해 보게 하는 인물이 등장하기도 한다. 아버지에게 복종하며, 명령에 따르는 20대 성인 남성은 56세가 되어서 돌아보는 과거의 일들은 어떤 날들로 회상되고 있는지 이 작품은 보여주고 있다.
나는 다른 길로 가는 법을 알지 못했다. 38쪽
우버 택시 운전사인 화자는 우연히 태운 승객이 내린 건물에서 테러리스트가 던지는 화염병과 폭발사고를 직접 목격하게 된다. 승객이 안전한지 걱정이 되어 떠나지 못하면서 목격한 사망자를 직접 목격하기도 한다. 직접 목격한 장면들과 죽음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 잔상이 된다. 이 사건은 '임신중절수술' 찬성과 반대의 대립이 폭력으로 발화하는 사건의 일부이기도 하다.
택시의 승객이었던 여인은 어떻게 되었을까?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이었을까?
부모에게 순종하는 자녀, 부모와 대립하며 마찰하는 자녀 등 다양한 가족들과 자녀들이 등장하고 있다. 가장 아프게 읽었던 장면은 딸이 어머니를 떠올리면서 사랑받고자 노력한 자신과 상반되는 어머니의 모습이었다. 마지막까지 어머니의 모습은 안타까운 모습으로만 그려질 뿐이다. 마찰음이 나는 부모와 자식 사이는 서로를 인정하며 다가서는 노력이 필요하지만 이 작품의 어머니에게서는 가족을 향한 노력은 어느 정도였는지 되묻게 된다. 남편과 딸이 온전히 노력했을 시간들, 기다림만이 떠오를 뿐이다.
엄마는 단 한 번도 나를 따뜻하게 대한 적이 없었어...
엄마는 내가 무슨 일을 하든지 무조건 반대부터 해... 168쪽
타인의 생각을 무시하고 자기 의견만 옳다고 고집을 부리는... (엄마) 187쪽
계속 아버지가 시키는 대로 따랐다. 36쪽
엘리스라는 인물이 가장 선명하게 자리 잡는 소설이다. 그녀와 관련된 추도사와 딸이 낭독하는 시도 간직하는 장면이 된다. 경제적 부가 주어졌지만 검소하게, 간소하게 살아가는 삶. 남편이 로펌을 시작하는 방향성까지도 떠올려보게 한다. 그녀와 함께 하였던 남편. 그녀가 삶의 마지막까지 보여주는 품위와 절제, 나눔의 모습들도 잃지 않는 빛이 되는 문장이기도 하다.
상위 10퍼센트만을 위한 체제에 맞서 블루칼라들과 약자들의 권익을 위해 일하는 진보 로펌. 256쪽
추도사 408쪽
무덤의 어둠으로 깊이 깊이 깊이
서서히 내려간다. 아름다운 이들, 상냥한 이들, 다정한 이들;
조용히 내려간다. 똑똑한 이들, 재미있는 이들, 용감한 이들.
나는 안다. 그러나 인정하지 않는다. 체념하지 않는다.
시 낭송. 411쪽
작품은 미국 사회의 문제점을 냉정하게 지목하기도 한다. 총기 사용 규제, 재력가가 종교단체, 경찰, 언론까지도 장악하는 모습까지도 작품을 통해서 독자와 함께 호흡하고자 한다. 임신중절에 대한 찬반성까지도 작품의 사건들을 통해서 보여주면서 종교가 가지는 확신이 어둠의 길이 되는 순간으로 나락에 빠지는 여러 인물들을 보여주기도 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종교가 가진 문제점으로 신을 떠난 인물도 작품은 매만지고 있다. 무엇도 가볍지 않았던 문제들이 작품에 적절히 등장한 장편소설이다.
책장은 전혀 무겁지 않게 빠르게 넘어간 소설이다. 궁금함에 멈추지 못하면서 읽었던 작품이다. 폭력적인 모습으로, 서슴지 않는 폭력성으로 자신들의 뜻을 관철시키려는 모습의 모순들을 계속해서 만나는 사회의 모습을 보는 작품이기도 하다. 비폭력 시위가 가지는 큰 의미를 다시금 떠올려보면서 읽었던 소설이었다.
빛을 두려워하는. 책 제목을 마지막 책장을 덮으면서 깊게 사유해 보게 하는 작품이다. 진정한 빛과 같은 삶이 무엇인지 우리들에게 질문하는 소설이다.
빛을 찾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확신을 갖고 있어요. 그들의 확신이 두려워요. 일방적이죠. 다른 사항들을 어둠 속으로 밀어 넣죠. 316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