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디어의 이해 : 인간의 확장 - 맥루한 1
마샬 맥루한 지음, 박정규 옮김 / 커뮤니케이션북스 / 199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최근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미디어와 관련된 수많은 소식과 일련의 상황들(그다지 기분 좋지는 않은 상황들) 덕분에 미디어와 관련된 책을 한권 읽어보려고 했는데, 정말 엉뚱하고 뜬금없는 책을 고르게 된 것 같다. 나름대로 연관이 있다면 있겠지만...
마셜 맥루한의 대표작인 ‘미디어의 이해’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미디어는 메시지다’라는 문장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저 문장을 인용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그 부분만 읽고 나머지 부분은 읽지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기도 하다. 왜냐하면 ‘미디어의 이해’ 첫 번째 장인 ‘미디어는 메시지다’ 이후의 내용에서는 위의 내용과는 별도로 문화와 사회 그리고 문명에 대한 맥루한의 다양한 시각을 엿볼 수 있는데, 그것과 관련된 인용이나 의견을 찾아보기는 꽤나 힘들기 때문이다. 물론, 그의 시각과 의견이 워낙 도발적이고 난해하다는 뜻일 수 있기도 하겠지만 아마도 지나칠 정도로 인상적인 위의 말만 머리에 남았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분명히 ‘미디어의 이해’를 끝까지 읽었다면, 이 책이 단순히 미디어라는 것에 대해서만 논의를 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고, 맥루한의 다양한 의견에 대해서 한번쯤은 귀를 기울이고 생각에 잠기게 될 것 같다.
맥루한은 기본적으로 ‘미디어’에 대해서 지나칠 정도로 포괄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단순히 신문, 방송 등으로서만이 아니라 하나의 의사소통 및 사회형태까지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그에게 화폐, 자동차 등등도 모두 미디어다).
맥루한의 시각으로서는 미디어와 미디어가 아닌 것의 구분은 명확하지가 못하고 그렇기 때문에 ‘미디어는 메시지다’라는 말을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시키고 적극적으로 해석할 수 있게 만들고 있다. 물론, 그럼으로써 본연의 의미는 더욱 애매해지겠지만.
그리고 맥루한은 어떠한 미디어든 사용자가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그 의미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주어진 의미와 조건이 일정부분 존재하다는 식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예를 들어서 TV는 바보상자가 될 수 있기도 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상자가 될 수 있기도 한다는 말은 맥루한으로서는 말장난에 불과하다는 식으로 말하고 있다. TV의 기본적인 성격은 어떠하고 그것을 변화시킨다는 것은 매우 힘들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것은 다른 미디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다) 매우 논쟁적인 발언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후의 장들에서는 ‘미디어는 메시지다’라는 논의를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다양한 미디어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고 있다. 읽어나가면서 그의 논의가 단순히 미디어에 대한 논의가 아니라 사회와 문화에 대한 논의로 넓혀지고 있으며 언어학과 문자문화와 구술문화에 대해서 자주 상세하게 논의하고 있기 때문에 언어학에 대해서(특히 구술과 문자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그의 생각에서 큰 영감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미디어의 이해’에서의 맥루한의 논의는 매우 산발적이고 흩뿌려져있다. 마치 케이블 TV에서 본방송과 광고가 혼재되어 있는 것처럼(혹은 수없이 다양한 케이블 방송 채널을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그의 논의는 흩뿌려져있고 뒤섞여있다. 그렇기 때문에 읽어나가면서 그의 논의를 따라가기는 매우 어렵고 집중하기가 힘들다.
또한, 맥루한은 미디어와 사회에 대해서 상세하고 세밀한 분석을 보여주고 있으면서도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그 미디어와 사회의 밑바탕인) ‘사회체제’에 대해서는 전혀 (자신의 ) 논의를 밝히고 있지 않다. 개인적으로 단순히 기술의 발달로(만) 미디어가 다양하고 확장되었다고 생각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시 말해서 하나의 사회체제가(즉, 근대 자본주의 체제가) 보다 폭발적으로 만들어내고 있기도 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언어학부터 시작해서 문명에 대한 생각까지 논의하는 맥루한의 다양한 관심이 어째서 사회체제에 대해서는 전혀 무관심하고 있는 것인지 혹은 회피하고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는 기술의 발달 대부분을 긍정적으로만 묘사부하는 듯이 하고 있는데(그는 긍정도 부정도 하고 있지 않지만 꽤나 흥미롭고 흥분되는 어조를 숨기지 않는다), 그로 인해서 발생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것 같다. 그리고 어쩔 수 없이 기술 발달을 경험하게 되는 격차(선진국 후진국 간의 혹은 계급간의 격차)에 대해서도 무관심하다.
그냥 관심이 없었던 것일까?
아니면 무시하고 싶었던 것일까?
회피했던 것일까?
어쨌든 ‘미디어의 이해’는 생각 이상으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고, 그 의견이 동의를 하든 하지 않든 한번 읽게 되면 다양한 생각들을 하게 만드는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그의 의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참고 : 도대체 한글로 ‘맥루언’의 정확한 표기법은 어떤 것일까? 하도 여러 가지로 번역되는 그의 이름이라 검색하기도 귀찮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