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과 독점자본 까치글방 43
해리 브레이버맨 지음 / 까치 / 1998년 12월
평점 :
절판







현대 사회에서의 ‘노동’을 분석한 가장 탁월한 저작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 브레이버맨의 ‘노동과 독점자본’을 읽어야 할 때 읽지 못하고, 읽어야 할 시기가 많이 지난 지금에서야 읽기는 했지만 여전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큰 의미를 던져줄 수 있는 논의와 분석인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읽다보면 약간은 추가할 내용들도, 조금은 바뀌어야 할 부분들도 찾아내게 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내용은 지금 시점에서도 충분히 적용이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노동과 독점자본’은 대부분의 자본주의 비판 및 맑스(마르크스)주의자들의 논의들이 철학적이거나 정치와 경제학적 혹은 그 외의 문화적인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자본론’에서 집중적으로 다뤘던 ‘노동’에 대한 분석을, 맑스가 ‘출입금지’가 표시된 문을 열고 들어가 그곳에서 벌어지는 현실을 보아야 한다는 바로 그 현실을 다시 한번 바라보고 분석하고 있다.

 

브레이버맨은 그렇게 맑스 이후 누구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었던 실제 노동이 행해지는 바로 그 과정과 현장을 쳐다보고 있고, 그의 분석은 맑스의 분석 이후 변화된 자본주의 환경과 관계를 어떻게 과거에 갖고 있었던 입장을 유지하며 변화된 현실에 맞게 새롭게 보아야 하는지 논의하며 자신의 분석을 전개시킨다.

 

그는 우선 맑스의 논의에 따라 노동과 노동력에 대해서 정의내리고 있고, 그 정의와 함께 노동에 대한 관리의 등장과 관리가 필요하게 된 배경인 분업의 등장 그리고 관리를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뤄지도록 하기 위한 효율화와 과학화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그 관리를 위한 가장 대표적인 방식인 테일러주의의 등장과 확산에 대해서 논의하며 어떻게 테일러주의가 각광을 받게 되었고, 그 효율적 관리로 인해서 얼마나 노동이 보다 더 높은 생산을 위해 보다 무자비한 착취의 대상이 되며 관리자에게 즉, 자본에게 순응하게 되는지 분석하고 있다.

 

이런 자본의 노동에 대한 지배와 통제 방식인 관리와 함께 또다른 노동자에 대한 통제라고 볼 수 있으며 생산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선택인 기계의 등장에 대해 브레이버맨의 논의는 이어지고 있고, 기계의 등장과 이로 인한 대량생산화로 인해서 노동자들이 어떻게 더 힘겨운 조건 속에서 노동을 하게 되는지 그리고 기계와 대량생산으로 인해서 기존에 비해 보다 노동이 단순화 되면서 과거에 비해 숙련도가 부족해지고 많은 노동자들이 더욱 더 하나의 소모품처럼 다뤄지게 되는지 분석하고 있다.

 

경쟁에서 독점 자본주의로의 이행과 자본의 지배의 확대는 보다 더 많은 분야에서 노동자를 필요로 하게 되었고, 그 과정 속에서 증가한 사무노동자는 기존의 생산노동자와 근무 환경과 방식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그들의 존재가 전혀 다른 노동자로서 다뤄지게 되었지만 브레이버맨은 결국 잉여가치 생산을 위해 고용된 이들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사무노동 또한 테일러주의의 효율적 관리의 대상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갖지 못하고, 사무 / 생산노동 모두 노동의 질적 향상보다는 하락만을 보인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마지막 장을 통해서 노동계급에 대한 보다 상세한 분석을 이어가고 있기는 하지만 그의 논의는 앞의 입장들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고 있다.

 

브레이버맨은 기본적으로 맑스의 분석틀을 받아들이면서 자본주의의 발전 속에서 보다 관계와 양상이 변한 환경에 대한 새로운 분석과 시각이 필요하다는 입장에 따라 자신의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노동자는 점점 더 기계가 되어가고 있고, 인간이라는 존재적 특수성 또한 사라져가고만 있을 뿐인 자본주의 환경과 노동자들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다.

 

살아남기 위해서 괴로울 뿐인 세상을 필사적으로 살아가는 그들을 바라보며 개선보다는 악화만 되어가는 근무 / 노동환경에 대해서 그는 논의하고 있는데, 그의 논의로 인해서 보다 산업화에 따른 노동자에 대한 분석과 관심이 높아지게 되기는 했지만 큰 개선과 변화를 찾지는 못했기 때문에 분석의 탁월성에 비해서는 변화된 모습은 아쉽기만 할 뿐이다.

 

단순히 ‘노동’을 분석한 내용이기 보다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와 노동자의 관계와 양식 그리고 양상에 대한 수많은 측면에서 바라보고 있는 분석이라고 보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 같고, 분석의 탁월함과 함께 생각지 못한 다양한 논의를 보여주어 인상적이었다.

 

점점 더 어두워지기만 하고 있는 노동 환경을 떠올리게 된다면 단순히 읽고 감탄하는 것에 머물러서는 안 될 것이겠지만, 과연 어떤 실천을 보여야 할지 곤혹스럽게 되기도 한다. 고민은 그렇게 시작되는 것이고, 좀처럼 찾기 어려운 해답이겠지만 그럼에도 답을 찾기 위해서 애써야 할 것이다.

 

 

참고 : 브레이버맨은 지속적으로 노동자 중 여성에 대해서 별도로 논의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건 당연한 분석이기는 하지만 그런 시각을 갖고 있는 사람을 자주 접하지 못했기 때문인지 조금은 생소한 느낌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솟구치는 2011-11-28 15: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온글이면 출처를 밝히셔야,,,

배군 2011-11-28 15:24   좋아요 0 | URL
제가 쓴 글입니다.
오해하신 것 같네요.

제 블로그에 제가 직접 작성한 글입니다.
어디서 보셨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디서 확인하신 것인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http://blog.naver.com/ghost0221/60113648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