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417년, 근대의 탄생 - 르네상스와 한 책 사냥꾼 이야기
스티븐 그린블랫 지음, 이혜원 옮김 / 까치 / 2013년 5월
평점 :
참고 : https://inews.ewha.ac.kr/news/articleView.html?idxno=71108
참고 : https://www.m-joong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401528
참고 :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588104.html
참고 :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999925.html
참고 : https://www.joongdo.co.kr/web/view.php?key=20160602000024347
요즘 그동안 미루던 (읽기가) 어려운 (무척이나 괴로운) 책이나 부족한 이해력 때문에 읽어내기 버거운 책만 펼치다가 이렇게 흥미진진한 책을 잡게 되니 조금은 기분이 들뜨게 된다. 재미나게 읽을 수 있었고, 꽤 인상적인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제목이 암시하듯이 1417년에 근대의 흐름을 바꾼 중요한 사건이 일어났고, 그 사건을 추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저자는 1417년, 교황청의 비서이자 인문주의자인 포조 브라촐리니가 독일의 한 수도원 서가에서 고대 로마의 시인 루크레티우스의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를 발견하면서 천 년 동안 잊혀졌던 사상이 재발견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를 발견한 인물, 포조 브라촐리니는 교황청의 비서이자 인문주의자 책 사냥꾼이라는 독특한 인물이다.
그는 중세를 지탱해온 교황청에 속해 있으면서도 근대를 연 르네상스를 꽃피우는 데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 오래된 필사본을 발견하고, 그 책이 서서히 지식인들 사이에서 번지면서 이탈리아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어떻게 그 책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 영향이 어떻게 르네상스를 꽃피우게 되었는지를 보여준다. 새로운 시각에서 르네상스에 접근하고 있는 도서이다.”
1. 책에 관한 이야기다. 오래된 혹은 잊었던 또는 감춰졌던. 2. 발견되길 기다리며 숨죽여 숨어 있던 오래된 옛 서적을 들쑤시는 책 사냥꾼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3.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에 융성했던 에피쿠로스 학파와 그 철학적 문제의식을 빼어나게 담아낸(냈다고 하는)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에 관한 이야기고. 4. 아차, 이 이야기의 모든 걸 가능하게 만든 포조 브라촐리니를 빼먹을 순 없을 것이다. 필사본이라는 게 어떤 건지 실제로 봤으면 싶기도 하고. 이런 것 말고도 꽤 많은 것들이 재미나게 풀어내지고 있다.
얼핏 이게 하나의 이야기로 엮여질 수 있나? 싶지만 저자는 훌륭한 글재주로 이 모든 걸 하나의 이야기로 아우르고 있다. 흥미롭게 읽혀지면서 읽는 중 여러 생각을 해보게 된다. 책이라는 게 어떤 소동-혼란을 만들고 폭발력을 지니고 있는지 다시금 깨닫게 해준다. 사사키 아타루의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이 읽으면서 자주 생각났다. 근데, 앞으로도 책이라는 게 이처럼 큰 영향력을 끼칠 수 있을까?
사상이 그리고 책이 어떤 식으로 세상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지, “설령 이 한 편의 고대 시가 더 이상은 아무도 읽지 않는 가운데 방치된다고 해도, 이 시를 둘러싸고 벌어진 소실과 복원의 극적인 드라마가 다시 망각 속으로 사라진다고 해도, ... 거의 완전히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밀려난다고 해도, 이제 이 모든 것은 루크레티우스의 시가 현대 사상의 주류로 흡수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매력적으로 풀어내고 있다.
책이라는 걸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책이라는 것에 어떤 식으로든 의미를 두고 있는 사람이라면 꽤 재미나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오랜만에 읽는 재미를 많이 찾을 수 있어서 좋았다.
책을 뒤쫓고 있고, 그 책을 찾아 헤매는 이의 생애를 추적하고 있다. 그리고 그 시대를 흥미롭게 살펴보고 있고. (당연히) 그 이후에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에 대해서도 잘 정리하고 있고.
추천하게 만드는 책이다.
#1417년근대의 탄생 #1417년 #근대의탄생 #르네상스와한책사냥꾼이야기 #스티븐그린블랫 #포조브라촐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