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식의 종말
제레미 리프킨 지음, 신현승 옮김 / 시공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레미 리프킨은 항상 지금 이 순간이 과도기의-과도기를 위한 순간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전과는 다른 큰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논의를 하고 있는데, ‘육식의 종말의 경우도 제목만을 통해서는 단순히 이제는 더 이상 고기를 먹지 말자는 식의 논의라고 오해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여러 자료와 정보를 통해서 쇠고기와 관련된 역사와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의 대안을 논의하고 있다.

 

육식이라는 좀 더 폭넓은 범위의 제목이기 때문에 육식과 관련된 온갖 내용들이 담겨져 있을 것 같았는데, 그런 내용이 아닌 되도록 쇠고기에 국한된, 쇠고기 역사-산업에 한정된 내용들을 검토하며 이제는 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하며 우리들을 설득하려고 하고 있다.

 

말은 안 하고 있기는 하지만 어쨌든 채식주의를 옹호하는 내용이라 고기를 좋아하는 (나를 포함한) 사람들은 그다지 끌리는 내용은 아니겠지만 저자가 주장하는 내용들에서 단순히 고기를 먹음으로써 발생되는 개개인의 (건강 및 기타 여러 가지) 문제점이나 소를 키우고 도축하는 과정 속에서 발생되는 여러 문제점들(위생, 질병 및 기타 여러 가지)만이 아닌 좀 더 포괄적인 입장에서 문제점들을 논의하고 있기 때문에 차마 끊을 수는 없겠지만-힘들겠지만 되도록 줄여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거나 그게 아니라면 좀 더 문제점을 줄여야 할 방안을 찾아야 함을 깨닫도록 만들기는 한 것 같다.

 

우선 저자는 서구 문명에서 소가 어떤 존재였었는지 역사적인 검토를 하고 있고, 최초의 신성한 존재로서의 소와 지금 현재의 추락한 모습(우리의 배를 채우기 위한 고깃덩이)과 비교하고 있고, 소에 대한 과거의 인식들과 함께 어떤 의미와 관계들을 만들어냈었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이런 역사적인 검토 이후 미국 및 아메리카 대륙이 어떤 과정으로 인해서 소로 가득하게 되었는지를 검토하면서 이런 변화가 생겨나는데 가장 중요한-중요했던 영국인들의 육식문화에 대해서 흥미로운 설명을 해주고 있다. 지금과 같이 지방이 많이 낀 쇠고기를 즐겼던 영국인들의 식습관의 특징과 함께(왜 하필이면 그랬는지는 설명해내지 못하고 있다) 그들의 식성으로 인해서 무척 중요한 변화(소를 먹이기 위한 곡식 생산과 소를 키워야 하는 목축의 결합)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는데,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와 관련된 내용은 처음 접하기 때문인지 조금은 얼떨떨한 기분이면서도 꽤 흥미로운 관점으로 느껴지기도 했다.

 

북아메리카 대륙을 목초지로 활용하기 위한 영국의 인클로저 운동과 비교될 수 있는 인디언 / 버펄로를 내쫓기 위한 울타리치기의 과정 속에서 벌어진 온갖 비극들에 대한 짧은 언급들과 거대한 평원에서 내쫓긴 인디언 / 버펄로를 대체하는 카우보이 / 소의 등장과 함께 최대한의 이익을 얻기 위한 노력(철도, 냉동기술, 자본유입 등등)을 알려주며 그 과정 속에서 일어난 여러 추악함을 들려주고 있다.

 

일종의 산업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는 그 역사적 진행 이후 나중에는 포드주의에 영향을 줄 정도로 효율성과 합리성, 수학적인 결과만을 강조하는 도축과정의 과학화-자동화에 대한 논의와 함께 그로 인해서 발생되는 (최근 다시금 활발하게 논의되는) 위생-건강-질병 문제와 쇠고기라는 풍요의 상징을 위해서 쫓겨나고 굶주리는 사람들에 대한 세계적인 차원에서의 빈부격차와 구조적인 문제까지 파고들고 있다.

 

쇠고기로 대표되는 육식문화의 문제점들과 함께 양극화-빈부격차의 문제점, 그리고 생각 이상으로 더욱 큰 문제들을 발생시키고 있는 생태계 변화-불안정(이런 문제는 지구 온난화에 대해서 논의할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하고 거대한 문제들을 만들어내고 있다)에 대한 논의까지 사회와 생태계의 구조적인 문제들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 이후 정신적-문화적인 측면에서의 문제점들까지 언급하고 있는데, 육식을 즐기는 이들의 의식구조에서 엿보여지는 남녀차별과 계급문제, 계몽주의까지 거슬러 올라가 비판되어지는 합리주의, 고속도로와 햄버거로 대표되는 현대 사회-문화의 등장과 비판까지 논의를 확장시키기도 하고 있다.

 

쇠고기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근대성 비판까지 가능할 줄은 몰랐는데...

그게 가능할 수 있기도 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고,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여러 생각들과 흥미가 생기는 것 같다.

 

아마도 레비스트로스에 영향을 받은 것 같은 차가운 악과 뜨거운 악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쉽게 판단되어지고 인식되어지는 개별적인 문제점들이 아닌 구조적-체계적 문제점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이제는 더 이상 육식을 고집하지 말아야 하고 변화가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 변화가 단순히 고기를 먹지 않게 되는 변화가 아닌 남성 중심 문화와 계급 차별 및 수많은 불평등과 관련되어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나치게 확장하거나 과장하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들기는 하지만 저자의 논리에 일정부분 동의하게 되기도 하고 설득력 또한 찾아볼 수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동의를 하고 싶어지게 되기도 한다.

 

하지만 저자의 주장만으로는 아직까지는 공고하기만 한 육식-쇠고기 문화를 쉽게 끊어낼 수 없을 것 같기도 하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점차 줄여나가야 할 수 있을지 그리고 결국에는 저자가 말하는 변화를 도모할 수 있을지 고민을 해보게 되기도 하다.

 

그래봤자 결국 매일 어떤 방식으로든 고기를 즐기고 있는 사람이라 생각과 행동이 따로 놀고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기만 하는... 좌절하게 되기만 하는... 것 같기도 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10-13 12: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배군 2021-10-13 15:13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