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가 날아든다 ㅣ 푸른도서관 32
강정규 지음 / 푸른책들 / 2009년 7월
평점 :
[새가 날아든다]는 초등6학년인 딸이 먼저 읽었는데, 감상을 물어보니 '책이 참 공손하다'는 표현을 쓴다. 잠시 당황한 나, 그게 무슨 뜻이냐고 물었더니 읽어보면 엄마도 알 것이라고 한다.
음.. 맞다. 공손하다. 조곤조곤 부드러운 글맵시가 읽는 이의 마음을 더없이 편안하게 해준다. 7편의 단편 중 많은 수가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하거나 관련을 갖는 이야기라서 지금의 초등생은 공감대 형성이 덜 할 수도 있는데, 또 전쟁의 상처로 슬프거나 울컥할 수 있는 이야기인데, [새가 날아든다]는 뭐랄까.. 강한 충격 요법이 아닌 조심스러운 다가섬의 미덕을 가졌다는 표현이 어떠할까.
내게 가장 인상적이었던 세 단편. 줄글이 아닌 시와 같은 모양새를 가진 <삼거리 국밥집>은 한국전쟁으로 뜻하지 않게 헤어진 딸을 잊지 못해 절절한 가슴앓이를 하는 국밥집 할머니가 선명하게 그려지며 양녀와 애틋한 정을 나누는 모습이 마음 짠했고,, 지하철 안 할머니와 모자간의 미묘함을 잘 잡아낸 <소통>에서 행색이 초라한 할머니가 선선히 내준 한과를 받아들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아이와 그의 엄마를 바라보며 언젠가 나도 그 비슷한 경험을 했거나 목격했던 것처럼 낯이 뜨겁기도 하고 지하철 안 승객들처럼 무언의 마음졸임을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표제작인 <새가 날아든다>야말로 정말 마음 넉넉하고 기분 좋게 읽은 작품이었는데, 할머니의 조금 주책스러운 손주사랑과, 감자밭의 새 알이 궁금해 연신 전화를 해대다가 알을 가져간 후로는 영 소식이 없던 손자의 불효와, 언제 그랬냐는 듯 제삿날 온가족 모여 딱새 알이 든 둥지를 두고 실랭이 하는 모습까지, 그야말로 푸근한 고향의 모습이고 가족의 모습이 아닐 수 없다.
자극적이고 현란한 이 세상 속에서 아주 맑고 청량한 여백을 맛보기에 참 좋은 책, [새가 날아든다]는 공손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