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스테르담
이언 매큐언 지음, 박경희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유명작곡가 클라이브, 유력 일간지 편집국장 버넌. 이 두 남자가 우정을 나누기 전인지 후인지는 책 안에서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그들이 한번씩 사랑을 나누었던 여인 몰리의 장례식장에서 [암스테르담]의 이야기는 시작된다. 한 여인에 대한 각자 다른 기억을 가진 두 남자가 같은 자리에서 여인을 기리고 있는 이 장면에서 [암스테르담]의 주요 인물이 모두 등장하는데, 도입부 이후 이야기는 실상 클라이브와 버넌, 두 남자가 중심이 되고 있다. 또 몰리가 남긴 사진이 발견되는 것이 이 이야기의 최대위기를 만들어내는 주요사건이긴 하지만, 이 소설은 두 남자에 관한 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로 읽히는 독특한 구조를 가졌다.

당장 교향곡을 완성해내야 하는 클라이브. 그는 천재적인 재능을 갖고있다고 자부하지만 그게 말처럼 쉬운 게 아니어서 어떤 영감을 얻기 위해 산행을 떠나고. 한편 몰리의 사진을 입수해 저조한 구독률의 스트레스를 벗어나 단박에 대박을 터뜨릴 생각에 골몰하는 버넌. 그는 사진공개가 비도덕적이거나 사생활침해라고 주장하는 이들과 싸움을 벌여야 하고.

클라이브와 버넌의 이야기는 따로 또 같이 섞이면서 각자의 이야기는 이야기대로, 두 남자 사이의 이야기는 그것대로 순조롭게 잘 굴러간다. 사실 이 소설의 줄거리로 걸러보자면 한두줄 거리도 안될 이야기인 것을, 작가는 세밀한 묘사와 정교한 관계성을 살리는 데 공을 들인 흔적이 역력하여 전혀 지루할 새 없이 이야기에 끌려가고 만다. 물론, 이 소설의 클라이맥스는 두 남자가 암스테르담으로 향해 거기에서 벌어진 사건이 되겠지만, 그들이 암스테르담으로 향하기까지의 이야기는 예측할 수 없는 가운데 충분히 설득력있게 펼쳐지고 있다는 것이 이 소설에서 가장 돋보이는 매력이다.  

허나, 이 소설의 주제를 잡아내기는 쉽지 않다. 클라이브와 버넌, 그들의 잘못이라면 각자가 가진 신념과 열정에 의지해 행동했던 것인데, 그것이 옳든 그르든 운명의 장난처럼 두 사람의 우정을 몰락하게 만든-어쩌면 그것도 마지막 우정의 선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세상의 아이러니를 그리고 싶었던 것일까. 만일 그렇다면 정말 제대로 그려냈고, 또 만일 그렇지 않더라도 그 아이러니를 바라보는 내내 조바심과 안타까움을 가졌던 꽤 인상깊은 이야기다. 짧은 소설이기도 하지만 속도감있는 글솜씨 덕분에 강렬하다.  감상해볼 만하다.  포인트는 두 남자가 암스테르담으로 향하기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