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일락 피면 - 10대의 선택에 관한 여덟 편의 이야기 창비청소년문학 4
최인석 외 지음, 원종찬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편소설집 [라일락 피면]. 이 책이 출간되었을 때 청소년소설이라 자기정체성을 확실히 표명했고, 흔히 성인대상의 소설을 썼던 이름난 소설가들이 여기에 참여했다는 점에서 성인인 나 역시 끌리지 않을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다 읽고 난 지금, 이 책이 표명한 자기정체성에는 동의하기 어렵지만 수록된 여덟 편의 단편들은 모두 썩 좋다.

10대 학생, 즉 청소년이 단편들의 주인공이다. 그러니 청소년이 겪고 느끼는 이야기이기는 한데, 전부 다 청소년과 교감하거나 그들이 공감할 이야기는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아이러니하게도 표제작인 <라일락 피면>이 가장 그러한데, 이야기의 배경인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이해가 (아마도) 부족한 청소년에게 과연 얼마나 어필할 수 있을까 의문이다. 물론 광주는 배경일 뿐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주인공이 연민을 갖는 대상인 옆방 여고생을 포함해 투쟁에 적극 참여하고 있는 친구나 형의 존재 의미와 그들의 행동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이 단편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영희가 O형을 선택한 이유>야말로 청소년의 생생한 입담과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생각의 전개가 담긴, 가장 청소년소설다운 이야기일 텐데, 거기다 재미까지 크다. 무슨 혈액형은 어떤 성격이라더라, 라는 흔한 이야기가 교실 안 학생들 사이의 설전으로 매우 흥미롭게 펼쳐진다. 혈액형 이야기가 전부는 아니지만, 그 긴장되고 치열한 설전을 즐기는 것만으로도 재미가 쏠쏠하니, 짧은 호흡과 통통 튀는 재기발랄함은 이 단편의 미덕.

<헤바>와 <널 위해 준비했어>도 청소년, 그냥 쉬운 말로 요즘 애들(!) 이야기. 사촌누나에게 연정을 품는 동생, 은둔생활을 하며 채팅으로만 소일하는 아이의 이야기는 이야기 자체로 재미있다.   

개인적으로 내가 가장 환호하는 작가인 성석제의 <내가 그린 히말라야시다 그림>은 청소년소설이라는 것을 접어두고 읽는다면 역시 성석제다. 두 주인공의 시점을 번갈아가며 전개되는 방식인데, 그들의 과거에 있었던 어떤 중요한 '사건'이 밝혀지지 않은 채로 잔뜩 조바심을 일으키게 만들더니 막바지에 그 '사건'을 밝히고 나서도 어쩜 그렇게 뻔뻔(?)하게도 능구렁이처럼 막을 내리던지. 성석제, 내가 좋아할 수 밖에 없는 작가다.

그 밖에 <너와 함께>, <굿바이, 메리 개리스마스>, <쉰아홉 개의 이빨>은 독특한 소재와 주제를 갖는데, 이 책 안에서 상대적으로 덜 특별한 인상이었으나 역시 재미있는 단편들이고. 

굳이 누구를 위한 책이라는 점에 얽매이지만 않는다면, 또 사실 어떤 책을 누가 읽느냐는 순전히 독자의 선택이므로 그림책이든 동화든 청소년소설이든 성인소설(18금이라는 뜻 말고..;;)이든, 즐겁고 의미있는 독서가 된다면 그것으로 된 것 아닐까. [라일락 피면]에 담긴 여덟 편의 단편들, 재미있다. 나는 그래서 그것으로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