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앨리슨 미워하기 ㅣ 좋은책어린이문고 9
로빈 클레인 글, 백지원 그림, 신혜경 옮김 / 좋은책어린이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맞다. 대개는 그렇다. 전학온 아이가 똑똑하고 예쁘고 게다가 부잣집 외동딸이기까지 하다면 그 아이는 십중팔구 미움의 대상이 되고 만다. 주인공 에리카네 학교에 전학온 앨리슨도 그랬다.
집세를 못내고 버티는 사람, 정신이 나가서 아무에게나 아무 소리를 하는 아줌마, 온통 페인트 낙서 천지인 벽, 전화기는 도둑맞아 빈 공중전화 부스. 에리카네 마을은 이렇게 가난하고 초라한데, 바로 옆 앨리슨네 마을은 우아하고 세련된 부촌이라는 이유를 포함해서 행복과 사랑과 평안함을 죄다 갖고 있는 앨리슨을 어찌 좋아할 수 있으랴. 마음 속엔 질투와 이유모를 미움이 자리잡아 은근한 신경전과 말싸움을 거는 에리카.
[앨리슨 미워하기]의 주인공 에리카는 독특한 캐릭터다. 시끌벅적하고 구질구질한 가족들이 지겹기도 한 한편 캠프에 가선 가족이 그리워 눈물을 흘리는가 하면, 학교에선 선생님과 친구들의 질책을 피해 말도 안되는 핑계와 거짓말을 늘어놓는 한편 멋진 배우가 되고 말리라는 꿈을 가진 소녀. 특히 에리카의 앨리슨에 대한 질투와 미움은 매우 상세하게 묘사되었는데, 앨리슨 앞에서 괜한 허세를 떨거나 앨리슨의 말 한마디 행동 한 가지조차 잘난 척 한다며 자기식대로 해석하는 모양새가 사실적이면서도 공감이 간다. 그렇다고 에리카가 '나쁜' 소녀인가 하면 절대 그렇지 않다는 사실. 앨리슨의 얼굴에 한 순간 드리우는 그림자를 바라보며 마음 한 켠 짠했고, 캠프의 연극공연을 준비하는 앨리슨의 모습에 감동했지만 겉으로 표현하지 못했을 뿐.
에리카가 자신과 다른 처지인 앨리슨으로부터 혹은 누군가로부터 느낄 수 밖에 없는 작은 실망과 슬픔이 솔직하게 표현되었고 캠프의 연극공연을 통해 차차 해소되는 과정은 이 동화가 매우 세련된 방식과 짜임새로 쓰였음을 인정하게 만든다. 에리카 또래의 아이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미워하면서도 좋아하고 슬프면서도 기뻐하고 실망하면서도 희망을 갖는 복잡미묘한 심리가 잘 묘사되었고 공감대 형성에도 성공했다. 그렇다면 마지막으로 재미는? 당연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