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메일
이시자키 히로시 지음, 김수현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 체인메일 : 불특정 다수에게 같은 내용의 이메일을 송신하도록 지시하면 차례대로 연쇄적으로 전송하는 이메일. 허위 바이러스 정보나 ‘불행의 편지’ 형태의 테마 이메일이 대부분이다. (네이버 IT용어사전 인용) 

내가 학생일 때도 잊혀질 만하면 한 번씩 '불행의 편지'가 돌곤 했는데, 이젠 핸드폰을 통해 꼬리에 꼬리를 무는가 보다. 핸드폰이 중고생 학생들에게도 널리 사용되고 있고, 장난이겠지만 왠지 뒤통수가 간지러운 '불행의 편지'같은 이메일에 쉽게 넘어갈 어린 학생들일 테니까.  

소설 [체인메일]은 불행의 편지와는 조금 성격이 다른 이메일이지만, 어쨌든 그 괜한 이메일의 꾀임에 넘어가 엉뚱한 사건에 휘말리고, 정말 어이없는 결말을 맺고 마는 여중학생 네 명의 이야기다. "허구의 세계에서 함께 놀지 않을래?"라는 유카리의 초대 메시지를 받은 사와코, 마유미, 마이는 '허구'를 자신들의 현재와 완벽하게 단절된 새로운 세상으로 기꺼이 받아들이며 릴레이 소설을 써가기 시작한다. 스토커, 스토커에게 쫓기는 여학생, 여학생의 가정교사, 스토커를 쫓는 형사. 이 네 명의 역할을 나누어 가진 네 명의 주인공은 각자 그럴듯한 소설을 써가며, 자신들이 만들어 내는 스토리 전개에 정신없이 빠져든다. 그러던 중 허구와 실제가 묘하게 섞이는 불길한 예감 속에 당황하는 주인공들.

[체인메일] 초반부, 주인공들이 허구의 세계에 모이기까지의 이야기 전개가 흥미롭다. 그들의 현재에, 그들이 왜 그렇게까지 허구의 세계를 환영했고 빠져들었는지 쉽게 공감할 수 있고, 주인공들처럼 나조차 릴레이 소설이 어떤 식으로 전개될 것인지도 궁금하다. 휙휙 빠른 전개가 휙휙 책장을 넘기듯 잠시도 한 눈 팔 새없게 만든다.  

그러나 초반의 흥미는 정말 잠시일 뿐. 사건이 구체화되고 결말로 치닫는 뒷부분에선 마치 당황한 듯, 허둥지둥 어떻게든 마무리하려는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래서 이야기가 매끄럽게 흐르지 않고 뒤죽박죽 엉키는 느낌. 초반과는 확연하게 구별될만큼 주인공들의 행보에 개연성이 떨어진다. 물론 이런 식의 미스테리 소설 속 비정상적인 인물의 행동에 반드시 수긍과 이해가 동반되는 것은 아니지만, [체인메일]은 가장 마지막에 나오는 구차한 설명이 엽기를 엽기 그대로 남기지도 못하는 사족이 되었다. 특히 결말이 나오기 훨씬 전부터 누구로부터 비롯된 사건일지가 감지되기 때문에 미스테리로서의 매력도 급격히 저하. 

[체인메일]의 주인공들과 같은 연령대의 독자라면 자기 이야기처럼, 자기 생각처럼, 자기 친구처럼 받아들일 수 있을 테니 다르게 읽힐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나로서는 오늘날 안쓰러운 어린 학생들의 모습을 그린 것에서 [체인메일]의 의미를 찾기에는 역부족. 최악으로 표현하자면 일본 소설의 홍수 속에 휩쓸려 세상에 나온 그저 그런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