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는 청춘에게>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책 읽는 청춘에게 - 21권의 책에서 청춘의 답을 찾다
우석훈 외 지음 / 북로그컴퍼니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젊은 대학생 7명이 모여 책을 펴냈다. 다른 학생들이 토익과 취업에 목매달고 있을 때 이 청년들은 출판을 통해 자신만의 스펙을 쌓아갔다. 기획부터 인터뷰, 출판까지 조금은 당차고 무모할 수도 있는 도전을 열정으로 성취한 그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2,30대의 젊은 나이에 자신의 책을 갖는다는 것이 어디 쉬운 일이던가.

 유명인사의 성공기와 책을 읽자는, 조금은 뻔한 내용이지만 그 속에 숨어있는 힘은 컸다. 나는 무엇을 하고 싶고 어떻게 해낼 수 있을까 라는 화두가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다. 결론은 재밌는 일을 찾으라는 것!
 순간, 내가 좋아하는 일은 뭐였는지 자문해본다.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하는 몇 가지 일들이 머리를 스친다. 그래, 이거야! 미래에 대한 나의 도전에 작은 불씨를 당겨본다.
하지만 몇 가지 아쉬운 점도 보인다.

 "저자 : 우석훈 외 20인의 멘토와 20대 청춘이 함께 만들다"
 책의 저자를 책꽂이('책에 꽂힌 이십대'의 줄임말이자, 대학생 교육 네트워크 단체인 FUN20의 미디어 강좌를 통해 만난 7명의 대학생 모임)로 하지 않고 '우석훈 외 20인의 멘토'라며 유명인사를 끌어다 놓은 것이 마음에 걸린다. 명사를 인터뷰해 그들의 인생과 추천하는 책을 소개하는 글이 어떻게 명사 자신(우석훈 외 20인)들의 저작이란 말인가. 물론 명사들의 말과 생각이 고스란히 담겨있다고는 하지만 책꽂이 학생들의 머리를 통해 세상에 빛을 본 것이 아니던가. 책의 저자에는 그들을 인터뷰하고 정리한 책꽂이(김수정, 박종현, 성우의성, 양지은, 윤은지, 이소연, 정선미)가 들어가야 했지만 우리 현실은 그러질 못했다. 아니 그러질 않았다. 책에서 그렇게나 외쳤던 젊음의 열정과 당당함은 어디로 사라졌는가. 기성세대가 만들어놓은 현실에 우리의 청년들을 가둬놓고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다.

 또한 일곱 명의 대학생이 쓴 각 파트는 별다른 차이점을 느낄 수 없었다. 개인의 생각이나 글쓰기의 방향이 천차만별일 텐데도 마치 한사람의 글처럼 미끈했다. 책꽂이 대학생들의 글이 원래 그런지, 아니면 출판과정의 교정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각자의 개성이 묻어있는 글이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마지막으로 하나 더. 책꽂이가 결성되고 활동했던 FUN20(http://www.fun20.net)은 "대한민국 차세대 글로벌 리더 네트워크"라는 취지아래 대학생들의 미래교육과 인적 네트워크 구성을 목적으로 하는 모임이다. 다양한 강좌와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자유롭게 공부하는 모습은 좋아보였지만 이것 역시도 외적 '스펙 쌓기'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러웠다. 속내를 들여다 볼 수 없는 제3자의 우려일 수도 있겠지만 '경력 쌓기'라는 미끼를 통해 지식을 담보삼지는 말아야겠다.

 <책 읽는 청춘에게>라는 제목을 달고 젊음을 독려하지만 실은 일곱 명의 저자 자신들에게 향하는 목소리였다. 취업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으라는, 여행과 독서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쌓으라는, 실패 역시도 내일의 밑거름이니 열심히 도전하라는 자기최면 말이다. 힘겨운 현실을 살아가는 대한민국의 청년들에게 다시 한 번 힘차게 외쳐본다.
‘화이팅!’


 ( www.freeism.net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