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10분에 세번 거짓말 한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우리는 10분에 세 번 거짓말한다 - 속고 배신당하고 뒤통수 맞는 세상에서 살아남기
로버트 펠드먼 지음, 이재경 옮김 / 예담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우리는 10분에 세 번 거짓말한다>라는 믿을 수 없는 제목으로 거짓말에 대한 분석을 시작한다. 책은 일단 거짓말의 일상성을 예로 들면서 우리들이 얼마나 많은 거짓말을 하는지 주지시킨다. 일상적인 인사치례나 상대방에게 무안을 주지 않기 위한 표현들은 부당한 이익을 원하거나 상대방에게 위해를 가하는 반사회적 거짓말은 아니라 하더라도 10분에 한번 꼴로 일어날 만큼 빈번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무의식중에 일어나는 이런 일상의 거짓말도 쌓이면 거짓된 사회를 만드는 시발점이 된다고 조심스럽게 경고한다. 그러면서 사람들이 하는 거짓말의 원인과 유형에서부터 개인적, 사회적 의미를 되짚어본다.
 한마디로 세상의 거짓말을 집대성한 백과사전 같다. 얼마 후면 진실이 탄로 날게 뻔 한 어린아이의 거짓말에서부터 사람들의 일상에서 사소하게 오고가는 거짓말, 연인들이나 부부 사이에서 은밀하게 주고받는 거짓말이나 자신의 행적이라며 그럴듯하게 포장되는 정치인들의 거짓말, 상대방의 허점을 이용해 자신의 잇속을 챙기는 악의적 거짓말 등 세상의 모든 거짓말을 풀어놓고 설명한다. 왜 인간이 거짓말을 하는지, 어떤 방법으로 타인과 자신과 속이는지 다양한 심리학적 실험을 통해 분석한다.

 인간은 원래 거짓말쟁이다? 조금은 불편하게 느껴지는 이 말은 어쩌면 사실인지 모르겠다. 인간 본성에 이미 거짓말이라는 코드가 각인되어 있다는 것은 동식물들이 갖고 있는 생존의 법칙과도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자신의 색을 주변과 일치시켜 천적으로부터 보호하고 먹잇감이 좋아할 무엇을 준비해 사냥을 하는 것처럼 인간의 인지능력도 거짓말을 통해 진화해왔다는 것이다.
 물론 이 말에 전적인 동의나 그렇다고 무조건적인 반감을 드러낼 수는 없는 일이지만 왠지 인간이라는 존재가 조금은 나약하게 느껴진다. 가족과 타인으로 부터 인정받기 위해, 혹은 남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그렇게 마음에도 없는 말을 해왔던가. 아등바등 살아가는 현대인의 본모습을 보아버린 것처럼 씁쓸하기까지 하다.

 그렇다면 거짓말은 어떻게 사회적으로 만연하게 되었는가? 특히 사람들이 갖고 있는 ‘진실편향’, 즉, 다른 사람의 말이 진실 될 것이라고 쉽게 믿어버리는 경향이 거짓말의 영향력을 증가시킨다고 했다.
 그럼 책은 어떨까. 보통 활자화된 책은 말이 갖는 '진실편향' 이상의 진실편향을 갖게 마련이다. 사람들은 미사여구를 동원한 말보다는 그럴싸하게 제본된 책을 더 쉽게 믿어버린다. 사회가 왜곡될수록 말을 뒷받침할 수 있는 텍스트의 위력은 더 커질 것이고 이를 이용한 과학적 거짓말도 늘어나게 될 것이다.
 '거짓말'을 분석해 놓은 이 책은 어떨까? 과연 하나의 오점이나 거짓도 없을까? 혹시 거짓말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심어놓고 있는 것은 아닐까? 설마 그럴 리야 없겠지만, 아니 "그럴 리야 없겠지만"하는 순간 이미 우리는 상대방의 거짓말에 속아 넘어갈 빌미를 제공하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거짓과 관련한 이런 딜레마를 생각해 보는 것도 이 책을 읽는 또 다른 재미인 것 같다.
 어? 그럼 여기 블로그( http://blog.aladin.co.kr/freeism )는? 그럴싸한 문장으로 나의 거짓과 위선을 포장해 놓는 것은 아닐까. 거짓에 대한 자각과 분석 이전에 나 자신부터 되돌아보게 된다.

 늘 반복되는 일상에서 무심결에 행해지는 거짓말을 통해 거짓말에 대한 또 다른 측면을 보게 된다. 또한 아이들의 거짓말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흔히 상상 놀이라고 하는 것, 그러니까 평범한 물 컵을 가지고 놀다가 전화소리가 들렸을 때 이 물 컵이 전화기인 듯 통화하는 흉내 내는 놀이 역시도 엄밀히 말해 아이들에게 거짓말을 가르친다는 사실이다. 이런 일상의 과정들을 통해 아이들은 사회 속에서의 거짓말을 하나 둘 배워간다. 물론 거짓말이라고 해서 무조건 나쁜 결과를 초례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이들을 위한다는 놀이를 통해서도 거짓말을 학습하게 된다는 사실은 미처 자각하지 못했던 사실이었다.
 하지만 이런 거짓말 학습은 아이들의 성장과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과정이라 한다. 거짓말이 없다는 것은 진실과 거짓의 여러 관점을 동시에 인지할 수 없다는 이야기고 결국 타인에 대한 이해가 없는 자폐아동이라는 것이다. 책에서도 언급했듯 "정직이 좋고 거짓말은 나쁜 거라는 이분법적 사고"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책에서도 언급했듯 인간은 거짓말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존재다. 인지하기는 싫지만 우리들 모두는 10분에 세 번꼴로 거짓말을 늘어놓는 허풍쟁이들이다. 그래서 거짓말을 완전히 끊는다는 것 보다는 진실하려고 노력하는 쪽(능동적 진실 탐색, AHA(Active, Honestry, Assessment))에 비중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No'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되라는 텔레비전 광고가 생각난다. 은근슬쩍 넘어가는 편의주의에 물들지 말고 자신의 소신대로, 진실을 말하라는 것이다. 과연 나는 No라고 자신 있게 외칠 수 있는지, No라는 주변의 외침을 색안경을 끼고 관망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되돌아본다.
 세상에는 별의 별 것을 다 연구하는 사람들이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이런 사소한 것들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을 좀 더 합리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 같다. 결국 인문학 분야도 일상의 사소한 모습을 연구함으로써 인간 의식의 깊은 부분까지 탐구해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인 것 같다. 인문학의 매력을 제대로 즐길 수 있는 책인 것 같다.


( www.freeism.net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