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속에 핀 꽃들 - 우리가 사랑한 문학 문학이 사랑한 꽃이야기
김민철 지음 / 샘터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 속에 핀 꽃들 

 

 

때가 되면 저렇듯

한 음절로 가리라

-박영희 <동백>

 

동백꽃에 대한 강렬한 이미지를 심어주는 시다.

‘동백’을 들으면 여수 오동도의 동백이나 선운사의 동백이 떠오른다. 그리고 연이어 부산의 동백섬과 “꽃피는 동백섬에 봄이 왔건만~”으로 구성지게 꺾어 부르는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를 생각하는 걸 보면 나는 지금, 중년의 부산아지매가 맞는가 보았다.

그리고 하나 더, 문학 작품 중에서는 김유정의 <동백꽃>이 조건반사처럼 떠오른다.

 

그런데 앞서 말한 동백꽃들과 김유정의 <동백꽃>에 나오는 동백꽃이 다르다는 것을 알고 계시는지?

나는 이 오류를 한참 전에 깨달았지만, 이 책 [문학 속에 핀 꽃들]에서 한 번 더 확인할 수 있었다.

“알싸한 그리고 향긋한 그 냄새에 나는 땅이 꺼지는 듯이 온 정신이 그만 아찔하였다.”

여기 이 부분의 동백꽃도, 소양강 처녀 2절의 "동백꽃 피고 지는 계절이 오면 돌아와 주신다고 맹세하고 떠나셨죠.“도, 강원도 아리랑에 나오는 ”열라는 콩팥은 왜 아니 열고, 아주까리 동백은 왜 여는가“에 나오는 동백도 ...모두 생강나무를 뜻한다고 한다.

붉은 꽃이 피는 동백나무가 자라지 않는 중부 이북 지방에서는 생강나무의 열매로 기름을 짜서 동백기름 대신 머릿기름으로 사용했다. 이 때문에 생강나무를 동백나무로 부른다는 것이다.

 

이 책에는 김유정의 <동백꽃> 외에도 문학 속에 핀 꽃들이 많이 등장한다.

분명, 같은 책을 읽었지만, 내 눈에는 띄지 않는 꽃들이 이 책의 저자에게는 쏙쏙 들어와 박힌 모양이다.

33개의 소설과 100개의 꽃

 

 

쇠별꽃 향기는 평소 의식하지 못했는데, <은교>를 읽고 맡아보니 싱그러운 풀 내음이 나는 것 같기도 했다.

여주인공을 쇠별꽃에 비유한 소설을 만날 줄은 몰랐다. 소설 <은교>는 절묘하게도 쇠별꽃이 등장하면서 문학적인 성취와 향기를 더한 것 같다. -62

 

마타리가 냄새는 좋지 않지만 예쁜 꽃이듯이, 노루오줌도 이름과 달리 연분홍색 꽃이 아주 그사하다.

황순원의 <소나기>에는 마타리, 갈꽃 외에도 메밀꽃, 칡덩굴, 등꽃, 억새풀, 떡갈나무, 호두나무 등 다양한 꽃과 나무들이 등장하고 있다.

<소나기>는 여러 가지로 참 예쁜 소설이다. 마치 스토리가 있는 한 편의 시 같다. -92

 

박완서는 <그 여자네 집> 말고도 자신의 연애담을 담은 장편 <그 남자네 집>도 썼다. 박완서의 고향은 개성 옆 개풍군으로, 이미륵의 고향 해주와 멀지 않다. 둘 다 고향에 얽힌 글에 꽈리를 담은 것은 단순한 우연일까. -122

 

저자는 이 책을 읽으면서 독자들이 야생화 공부도 하면서 소설도 리뷰해 보기를 바란다고 썼다. 이 책을 읽으면 저자가 그렇게 따로 당부하지 않아도 저절로 그런 생각이 들 것이다.

나로 말할 것 같으면, 당장 박범신의 <은교>,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 김훈의 <칼의 노래>등을 빼들고, 쇠별꽃, 장미, 쑥부쟁이가 나오는 부분에 집중해서 다시 읽어볼 참인 것이다.

관점을 달리 해서 읽는 연습도 좋지만, 이 봄에 문학 작품 속에 핀 꽃들을 찾아 차근차근 책을 읽는 것도 색다른 맛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