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내가 몸담았던 써클에서는 소식지를 만들 때마다 내게 글을 청탁한다. 내가 글 거절을 안하는 게 가장 큰 이유일텐데, 인터넷에 신변잡기는 쉽게 쓰지만 후배들이 볼 글을 쓰는 건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뭔가 귀감이 되고픈 글을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글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 그래도 지금까진 어찌어찌 위기를 넘겨가며 글을 건내줬다.
이번 여름 강원도로 써클 모임을 따라갈 때, 휴게소에서 후배 하나가 내게 다가오더니 글 얘기를 꺼낸다.
“글 정말 잘 읽었어요. 제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때만 해도 난 그게 의례적 인사라고 생각했기에, “고마워요”라는, 정말 의례적인 답을 했다. 그가 다시금 입을 연다.
“제가 여자랑 헤어진 지 얼마 안되서 형 글을 봤어요. 많이 공감이 가더라고요. 안그래도 그 여자가 저랑 헤어지면서 ‘오빠는 여자 마음을 너무 몰라!’라고 했거든요. 그러고 며칠 동안 계속 형 글이 생각났어요.”
내가 쓴 글이 뭐였는지는 잊어버린 지 오래지만, 그 말을 듣는 순간 내가 거기다 글을 썼다는 게 얼마나 보람 있었는지 모른다. 메일로 글을 보낼 때만 해도 “어휴, 이딴 글을 왜 썼지?” 하는 마음이었는데, 내 글이 누군가의 마음을 각성시킬 수도 있다니 얼마나 신기한가. 한 사람의 관객만 있어도 연극을 공연하겠다는 어느 배우의 말이 떠오르고, 내가 뭐라도 된 듯한 느낌도 들고. 그것만으로도 써클 모임에 따라간 보람은 충분했다.
둘.
환자 청탁 문제로 대전에서 이비인후과를 하는 친구와 통화를 하게 됐다. 용건이 끝나자 그가 갑자기 묻는다.
“너 엊그제 뉴스 봤니?”
평소 9시 뉴스를 거의 안보지만, 친구가 말한 뉴스는 희한하게도 봤다. 아마 그때쯤 내가 저녁을 먹고 있었기 때문인데, 뉴스에서는 한 꼭지를 ‘선풍기 죽음은 없다’에 할애하고 있었다. 지원자를 모아 실험을 해본 결과 선풍기를 틀고 자도 산소분압이 낮아지지도 않았고-질식설은 배제됨-체온이 낮아지지도 않았다는 것. 법의학교실의 이윤성 교수가 나와 말한다.
“선풍기 때문에 죽는 게 아니라 원래 죽을 사람이 죽었는데 선풍기가 돌아가고 있었던 거죠.”
친구가 말한다.
“넌 학생 때부터 선풍기 틀고자면 죽는다는 게 거짓말이라고 했지. 그때 난 네가 워낙 황당하니 그런 소리를 한다고 생각했어. 너 작년에 신문에 그 주제로 글 쓴 적 있었지? 그 글이 우리 이비인후과 사이트에 퍼올러져 논란을 일으켰어. 대부분의 의사들은 ‘이런 황당한 생각을 하는 사람이 있구나’였는데, 네가 옳았어.”
한겨레에 쓴 글 중 유일하게 네이버 메인에 떠서 수백개의 댓글이 달린 그 글을 내가 어찌 잊어버리겠는가. 그 댓글의 대부분이 “알지도 못하는 놈이 무책임한 글을 쓰고 있다”였고, 어느 인터넷 신문에서도 “허황된 얘기를 써서 네티즌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는 기사를 실은 바 있다. 하지만 내가 글에서 썼던대로 선풍기 때문에 죽는다고 믿는 사람들은 오직 한국사람들 뿐이며, 그게 비웃음의 소재가 된 지는 꽤 오래 된 일이었다.
친구의 말은 이어졌다.
“법의학 이윤성 선생님 말이야, 마치 오래 전부터 잘 알았다는 듯이 이야기하시대? 그랬으면 미리 좀 말해주지!”
전화를 끊고 나서 기분이 좋았다. 나를 그저 재밌고 황당한 애로만 보던 친구한테서 “네가 옳았어”라는 말을 들었으니 말이다. 이런 게 글을 쓰는 보람이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