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질서의 지배자 마오쩌둥 ㅣ 푸른숲 비오스(Prun Soop Bios) 2
조너선 D. 스펜스 지음, 남경태 옮김 / 푸른숲 / 2003년 10월
평점 :
품절
조나단 스펜스는 중국사 방면에서 상당히 저명한 학자로, 중국사와 관련하여 많은 저작을 내었는데 개인적으로 이 책은 그의 지명도만큼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알려진 그에 대한 이미지에서 벗어나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게 하는 데 이 책은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그는 이 책에서 개인적인 측면과 권력 추구자로서의 측면에서 모택동이라는 한 인물의 삶을 묘사하고 있는데, 그는 책 서문에서 그가 중국 혁명을 성공시키고 권력의 정점에 이르러 그것을 유지하기까지 그가 이용한 것은 바로 ‘무질서’였음을 언급하고 있다.
어쩌면 이 평전이 역자의 말대로 영웅적인 모택동의 모습을 기대하는 독자에게는 다소 실망스러운 내용일지도 모르지만 개인적으로 역사의 흐름에 대해 인물과 시대(혹은 상황)에 반반씩의 비중을 두고 바라보고자 하는 나로서는 특별히 인물에 대해 숭배하는 감정은 없기에 별다른 실망감은 없었다. 그러나 모택동이 현대 중국사에서 결코 없어서는 안 될 인물임은 분명할 것이다.
중국역사에서 모택동은 한조의 유방과 명조의 주원장에 이어 평민신분으로서는 3번째로 황제의 자리에 오른 인물이다.(물론 황제라는 용어는 원세개와 푸이를 마지막으로 중국역사에서 사라졌지만 모택동이 누린 권력은 이전의 황제들을 능가한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그가 나머지 두 인물과 다른 점이 있다면, 유방과 주원장이 권력의 정점에 오르는데 이용한 것은 그들 자신들의 능력과 그들을 따르는(중국 전 인구에 비하면)극소수의 추종자들이었지만, 모택동은 대부분이 농민이었던 전 중국인을 동원하여 최고 통치자의 자리에 올랐다는 사실이다.
모택동이 외세를 물리치고 국민당에 승리하고 정적을 쓰러뜨린 후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을 건립할 수 있었던 결정적 요소 중 하나는 분명 그의 열정과 그가 수완이 뛰어나다는 사실이었다. 스펜서는 책의 곳곳에서 그의 개인적으로 탁월한 능력을 언급하였다.
개인적인 뛰어남 외에도 그에게는 여러가지로 (그의 입장에서 볼 때에는)시기적절한 행운이 따랐다. 1937년 중국대학교의 천보다 교수와의 만남은 그가 이론의 방면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게 해 주었으며 1936년 12월에 일어난 시안사건과 국민당의 정도를 넘어선 부패는 인민들로 하여금 공산당에 대해 좋은 인식을 갖게 하였다.
대장정의 성공은 그가 정적을 물리치고 권력을 장악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그를 중심으로 공산당이 장악한 중화인민공화국은 혁명을 기치로 성립하였으나 이후 모택동의 행보는 보수적이고 모순으로 가득차 있었으며 자신이 장악한 권력에 도전하는 것은 그 어떤 것도 용납하려 하지 않았다. 대약진 운동과 백화제방, 그리고 문화대혁명은 확실히 중국의 변화와 발전을 가로막는 정책들이었다. 또한 그의 고립감이 갈수록 심해졌으며 그의 정책이 현실과는 동떨어진 몽상적인 것이었다.
1893년에 태어나 1976년 사망에 이르기까지 그는 많은 일을 이루었다. 그는 일찍이 인민의 교육을 위해 힘썼고 열성적인 농민 운동 조작가였으며 중국혁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일본을 비롯한 열강을 물리침으로써 민족의 구원자로 떠올랐으며 국민당을 ?아내고 인민의 해방자로 군림하였다. 그는 정적과 싸운 것은 물론 문화대혁명을 통해 그 자신의 모순과 몽상으로 빚어진 현상에 대한 비판마저 잠재우고 신과 다를바 없는 위치를 유지하였다. 그를 쓰러뜨린 건 오로지 나이듦과 질병 뿐이었다.
그가 이 모든 일을 이루는 과정 중에 이용한 것은 바로 대중이었다. 중국 혁명 중에 그는 대중의 의식을 조작하고 대중이 그의 사상을 받아들이게 하는 데에 힘썼으며 혁명 후에는 다수의 대중만이 정답임을 내세웠다. 다수의 대중이 일어난다는 것은 바로 무질서를 의미했다. 그리고 이런 무질서를 관장한 모택동은 그야말로 무질서의 지배자였다.
이 책에 대해 조금 아쉬운 점은 혁명가로서의 모택동에 대한 설명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다. 작가는 모택동이 결코 진정한 지식인이 아니었다고 말하지만 그가 지식인의 면모가 없었던 것은 결코 아니었으며, 국공내전 당시 장개석에 비하면 분명 시대의 흐름 즉 그 시기에 발아한 민주주의 정신(그가 후에 독재자로 군림하게 되는 사실과 중국에 심어진 민주주의는 자유민주주가 아니라 소수를 인정하지 않는 민주집중제였다는 사실은 잠시 차치하고서)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 사실이 민주주의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고 받아들이지 못한 장개석과 국민당에 승리할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임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