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우리 사이가 이렇게 됐지>를 리뷰해주세요.
-
-
어쩌다 우리 사이가 이렇게 됐지
이성호 지음 / 말글빛냄 / 2009년 3월
평점 :
‘성공하고 싶으면 이 책을 꼭 읽어라!’고 권하고 싶다.
저자는 ‘성공적인 삶, 관계적 사고능력 개발에 달려있다.’고 강조한다.
삶은 누구에게나 관계로 점철된다. 죽음은 이 땅에서의 그러한 관계에 종지부를 찍고 저 세상에서의 새로운 관계를 시작하는 것이다. 인생을 성공적으로 살았다고 한다면, 그는 사람들과의 모든 관계에서, 이 세상의 많은 일들과의 관계에서, 이렇게 저렇게 부딪친 숱한 현상과 사건, 또 조직이나 기관들과의 관계에서 성공을 거둔 것이다.
이 책을 슨 목적은 오늘의 네트워킹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 신세대들을 위하여서다. 특히 관계적 사고력을 여기는 세대이기 때문이다. 그들이 자신의 성장 배경을 한번쯤 돌아보면서 자신은 물론 그들의 자녀들이 어떻게 하면 삶에서 보다 성공적인 관계를 창출하고 유지할 수 있는가에 대한 조언을 주기 위해서다.
교육을 전공한 저자는 필치는 사뭇 진지할 줄 알았다. 그래서 딱딱하고 전공서적을 읽는 기분이 들거란 생각 말이다. 그런데 첫 페이지를 읽는 순간 재미에 재미를 더하고, 공감에 공감을 더하면서 책장이 넘어갔다. 저자의 어린 시절 이야기를 읽으면서 나 또한 비슷한 경험을 했구나 하는 마음이 흐뭇하게 하였다.
신세대, 그들은 누구인가, 너와 나 하나가 될 수 있을까?, 관계적 사고력, 어떻게 키울까? 그리고 대화의 기법에 대해서 설명해 나가고 있다.
공부에 치인 세대, 정보의 쓰레기통 속에서 허덕이는 세대 그럼에도 대화가 부족한 세대는 옛날 가족이 많아서 대화를 통해서 관계하였던 그 유익을 잊을 수가 없다. 그리고 헝그리정신이 필요하다. 약간은 부족한 것이 사고력에도 대인관계에도 많은 유익을 얻게 된 것이다.
사람 간의 만남은 먼 미래를 위한 투자라고 생각할 때가 많다. 꼭 어떤 혜택을 훗날 그 사람한테서 받을지도 모른다는 계산된 생각에서가 결코 아니다. 그런 만남과 교류에서 순간이지만 최선을 다하는 것이 미래를 위한 투자라고 생각한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거치고 단계적으로 성장되어 가는 유익을 모른 채, 영재라고, 사람들이 싫다고 검정고시를 치르는 요즘 세대를 보면서 단계들마다의 관계의 중요성을 꼭 기억하기 바란다.
신선한 충격을 주는 책이다. 옛날 친구들과 산에서 들에서 놀면서 무수한 이야기를 듣고 하면서 우정을 쌓던 신선함이 곳곳에서 나온다.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어려운 교육적인 내용을 쉽게 예들을 들면서 재밌고 유익하게 쓰셨다.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입사 준비를 하는 대학생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가정에서도 그렇다. 부부간에 적당한 거리가 유지되어야 한다. 나는 주례를 맡을 때, 새로 가정을 꾸리는 젊은이들에게 코이노니아의 관계를 이루하고 권면할 때가 많다. 코이노니아는 희랍어이다. 하나님과 우리 인간의 관계를 단적으로 잘 나타내주는 용어로,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하나는 상대에게 모든 것을 아낌없이 준다는 뜻이고, 다른 하나는 끝까지 상대를 책임진다는 것이다....하지만 코이노니아의 관계를 부부간에 이루고자 한다고 해서 거리가 무너져서는 안 된다. 남편은 남편으로서, 아내는 아내로서의 도리를 다하고 책임을 다하되 거리는 적당히 유지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