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전받는 오리엔탈리즘
에드워드 W. 사이드 지음, 성일권 옮김 / 김영사 / 2001년 11월
평점 :
절판
루쉰의 동생인 저우쭤린은 그의 글 『도쿄를 추억한다』에서 ‘동양의 비애’라는 말을 쓴다. 중국과 일본이 전쟁을 일삼는 상황속에서도 그는 양국의 예술가들이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통념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목전의 관계에서 벗어나 영구적인 성질을 논한다면 양쪽 모두 선척적으로 서양과는 운명이나 환경이 전혀 다른 동양인이라며 동양을 일종의 운명공동체로서 오히려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양국 예술가들이 가슴 깊은 곳에 공유하고 있는 그 ‘동양의 비애’를 말하고자 하였던 것 같다. 과연 서양과 동양의 구분은 무엇인가? 서양에게 동양은, 동양에게 서양은 과연 어떤 의미란 말인가? 과연 양쪽은 결코 화해할 수 없단 말인가?
이러한 원초적이고 근원적인 질문에 답하기에 이책은 다소 미흡한 면이 있다. 이 책은 에드워드사이드가 몇몇 잡지에 기고한 글들을 묶어서 엮어낸 책으로,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성실한 개론서와는 거리가 멀어,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체계적이고, 명확한 이해를 바라기에는 무리였다. 하지만, 여전히 현재진행형의 이 문제들을 오늘의 쟁점에 되살려 그 해결을 모색해 가고자 하는 저자의 시도는 무척이나 긍적적인 것으로 보인다.
책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번째 부분에서는 자유주의와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하여 세계화를 부르짖는 서구와 이를 동조하는 지식인 집단에 대한 비판과 이에 맞서는 진정한 지식인의 역할에 대한 담론, 두번째 부분에서는 1948년 이스라엘의 도발로 촉발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양세력간의 다툼의 역사와 화해와 공존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마지막으로 세번째 부분에서는 한 프로듀서와의 인터뷰문과 저자 개인의 성장기가 담겨 있다.
미국을 정점으로 하여 끊임없이 책동되는 신자유주의의 물결, 그 올가미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는 비서구지역의 서글픔.. 에드워드사이드는 『오리엔탈리즘』을 통해 오리엔탈리즘의 실체에 대해 다양하게 밝혀내고 있다. 서구에서 말하는 '동양' 또는 '동양적인 것'이란 동양의 실체에 가깝기보다는 서구인들의 입맛에 의한 편견과 왜곡으로 빚어진 허상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 다분히 흥미위주이며, 상업주의적이며, 침략주의적 차원에서 비롯된 동양을 지배하고 재구성하여 억압하기 위한 서양의 스타일이라는 것. 하여 수백년에 걸쳐 동양의 역사와 성격 및 운명에 줄거리를 부여했다는 것도 그가 말하는 오리엔탈리즘의 모습이다. 발전을 위해서 언제나 ‘적’이 필요했던 서구의 역사에서, 그것은 동양에 대한 동료애적 관심이나 체계적이고 학술적인 연구와는 거리가 먼, 그저 침략하고 약탈하기 위한 명분아닌 명분일 뿐이었다. 거기에 자꾸만 살을 붙여 오리엔탈리즘은 거대한 편견의 집합체가 되어버렸다. 그가 비판하고 있는 헌팅턴이나 네이폴, 프리드먼과 같은 사람들의 문제는 그들 개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서구라는 무의식의 공감대가 만들어낸 하나의 집단폭력의 광기다. 서구라는 이기(利器)화된 문명의 틀이 이미 그들에게 태어날때부터 씌워둔 ‘자본과 자유주의’라는 허울좋은 온상이다.
시오니즘을 과연 민족주의적 이상으로 봐야 할 것인가? 아니면 미국과 이스라엘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책략으로 봐야 할 것인가? 이 애매한 갈등의 바탕에는 사실 그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서구의 아랍세력에 대한 견제가 숨어있다고 본다. 이슬람을 계속해서 논쟁의 불씨로 남겨놓아야 하는 그들의 입장에서는 시오니즘은 더없는 훌륭한 명분일 수 밖에 없고, 언제나 그래왔듯 그들의 목적을 위해서, 이슬람은 여전히 위험하고, 잔인하고, 무지한 집단이어야 했다. 팔레스타인이라는 ‘태풍의 눈’ 때문에 정작 더 많은 고통을 겪고 있는 주위의 이슬람 국가들은 미워할 수 밖에 없는 그들의 적 앞에, 스스로 갈라지고, 상처입어 더욱더 커다란 수렁속으로 빠져든다. 분노는 분노를 낳고, 그렇게 화해는 자꾸만 멀어져 간다. 따지고 보면 어느쪽의 잘못도 아니다. 빼앗는 자들은 빼앗을 이유가 있고, 뺏기는 자들은 뺏기지 말아야 할 이유가 있는 것이다. 이 모순된 상황을 만들어놓은 그들이, 이 모순된 상황을 이용하여 계속해서 모순을 만들어 가려는 현실이 그저 답답할 뿐이다. 분명한 건, 그들은 어떠한 해결책조차 고민해보지 않는다는 것이고, 언제나 해결은 당사자들의 몫인 것이다. 비행기가 폭탄으로 둔갑하여 제심장을 겨누는 오늘날에도 진정으로 그들이 두려워하는 것은 이슬람의 도발이 아니고, 이슬람의 고요인 것이다.
마지막 부분의 그의 독백은 가장 깊은 공감을 불러 일으킨다. 현대세계의 가장 큰 담론으로 굳어져버린 그 논란의 지역 한복판에서 태어나 혼란한 생을 이끌어온 그의 성장사는 그대로 오늘날의 비극이다. 그가 그 어린시절 이유도 모른채 원망스러워 했을 양극의 세계는 지금도 유효할 뿐이다. 무엇을 위해서 서로를 할퀴며 싸워야 하는지, 그것은 피부색으로도 종교로서도 이해되지 않았을 것이다. 어차피 이유란 것은 적당히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었고, 심지어는 필요조차 없는 것이었으니까. 중립이 오히려 더 큰 죄일 수밖에 없었던 그의 삶이 택한 외로운 싸움은 인류의 평화를 염원하는 이들의 가슴속에 계속해서 널리 퍼져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9.11 사태를 통해 이슬람에 대한 관심히 높아지며 그동안 암암리에 묵과되어 왔던 이슬람세력에 대한 이미지(서구의 관점과 입장에 의한)가 얼마나 큰 허구였는지가 많이 밝혀졌다. 하지만, 아직도 역시 이슬람은 왠지 모르게 우리에게 호감을 주는 지역이 아니다. 어쩌면 오리엔탈리즘의 가장 큰 병폐는 스스로 동양이라 일컫는 우리안에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서구가 만들어 서구가 증폭시켜온 오리엔탈리즘, 그 편견의 광기에 어느새 휩쓸려 버린 동양속의 오리엔탈리즘, 제민족과 제종교를 배반하고 서구의 앞장이가 되어버린 일부 이슬람 지도부속의 오리엔탈리즘, 이 성대한 잔치에 돌을 던지며 또 새롭게 펼쳐지는 ‘옥시덴탈리즘’이라는 편견의 틀. 언제까지 세계는 이 허황된 망령들속에 사로잡혀 있어야 할 것인가?
여기서 우리는 저자의 지적처럼 동양, 서양이라는 양비론적 구분을 넘어서 ‘다른 문화’라는 개념은 과연 유익한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을 던진다. 결국 그것은 도리어 자기찬미이거나, 타자모독이 아닌가? 과연 문화의 공존과 공생은 불가능한가? 서로의 차이가 서로를 적대하는 구실이 아니라, 서로에 대한 관심의 계기로 작용하고, 서로의 차이가 서로에 대한 우열의 구분이 아니라, 합리적인 교류의 필요성으로 귀결되는 그런 세계는 올 수 없는 것인가? 모두가 염원하는 ‘세계시민’의 꿈 말이다. 그것이 과연 이상일지, 허상일지 나는 아직 잘 모르겠다. 하지만 어찌되었건, 많은 이들이 허울뿐인 세계화를 부르짖는 오늘의 현실에서 이 말은 참으로 요원한 말로 들린다.
구분은 헌팅턴의 주장처럼 어떤 문명간의 그 문화의 이질성에서 경계지어지는 것이 아닌 것 같다. 어차피 적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면 그들이 왼손으로 밥을 먹어도 ‘적’인 것이고, 그들이 오른손으로 밥을 먹어도 ‘적’인 것이다. 친구와 적을 구분하는 것은 유치원에서 배워야 할 일인데도, 친구를 적이라 계속 우겨대고 제손에 움켜쥔 것이 아직도 작다고 투정하는 그 철없는 이들에게 왜 우리가 친구인지를 가르쳐주는 것. 손을 한번 내밀기만 하면 금방 알수 있는 그 쉬운 일을, ‘자본’의 홀림에 빠져 언제나 총을 내밀며 다가왔던 그들에게, 그들이 철없이 저지른 그 무수한 만행들을 일깨워주는 것. 서양이 동양을 자신들의 잣대로 제멋대로 제단하여 ‘오리엔탈리즘’을 상정한 것이라면 그 허황된 망령의 틀을 깨부수는 것이 우리가 천착해야 할 ‘오리엔탈리즘’이고, 그것이 오늘날 우리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제2의 십자군’이 되어버린 어리석은 서구에 보내야 할 일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