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춘아, 춘아, 옥단춘아, 네 아버지 어디 갔니?
이윤기 외 대담 / 민음사 / 2001년 6월
평점 :
품절
그저 내가 알고 싶은 건, 사람들이 무슨 이야기를 하며 사는 가 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펼쳐든 책인데, 너무 어마어마한 사람들만 잔뜩 들어있는 이책이 그래도 반가웠다. 소위 초고농축 먹물들의 이야기. 이성의 과포화가 빚어내는 그 쉴틈없는 지성의 향연에 빠져들다 보면 어느새 나도 내가 누리는 사유의 틀이 무너지고 겁도 없이 나를 그들과 함께 두는 요상한 버릇이 생겨났다. 적절히 가공이 된 대화라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그들의 그 무지막지한 지적 소산들은 부럽기 그지 없는 것이었다.
대담... 그 말그대로 큰 이야기들이었다. 인문, 사회, 경제, 문학, 역사, 종교의 영역을 마구 넘나들며 펼쳐대는 그들의 이야기는 시종 나의 눈과 귀를 깨어나게 했으며, 일상에 쫓겨 잊어가던 커다란 담론들을 다시 일깨우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 물론 그들의 이야기속에서도 쉽게 인정할 수 없거나 반박하고 싶은 내용이 없는 건 아니었지만...
최창조의 풍수에 대한 접근들은 무척이나 새로웠고, 김화영의 작가와 글에 대한 생각들은 깊은 공감을 주었다. 사람들이 직접 나눈 이야기이다 보니, 특별히 관심이 가는 사람이 생겨나게 마련인데, 나에겐 특히 김화영과 김주환이 그랬다. 탁월한 그들의 사유의 폭으로 이문열과 정재서는 시종 그들에게 끌려다니는 인상을 줄 정도였다. 후에 그들의 저작을 꼭 읽어보고 싶다.
<세계의 문학> 100호 기념으로 출간된 이 단행본으로 인해 근래들어 비슷한 편집의도를 가진 책들이 속출하고 있다.(꼭 대담형식이 아니더라도) 이러한 시도들이 무너져가는 이나라 인문학의 위기를 돌파하는 하나의 방편으로 쓰였으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을 해보며 책을 덮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