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 오디세이 1
진중권 지음 / 현실과과학 / 2001년 9월
평점 :
절판


고등학교 1학년때 나의 단짝이었던 친구는 화가였다. 너무나 정말이지 너무나 활달했던 그 아이는 별을 참 좋아했다. 언젠가 그 아이가 자신의 천체망원경으로 한밤중에 학교 운동장에서 보여준 달과 토성의 테는 아직도 기억에 선하다. 홍대미대를 진학한 그 아이는 순수미술과 응용미술 사이에서의 고민에 허덕이다 멀리 부산의 한 복지관에서 자신을 닦아가는 힘든 시기가 있었다고 한다. 그 시기 나를 애타게 찾았다고도 하는데 그때 나는 난장굿을 벌이고 있었다. 그 친구랑 그리 어울려 다니면서도 사실 내게 그림이란 너무나 범접하기 어려운 영역이었다. 그아이가 연습장을 빼곡이 매운 만화캐릭터 어느 하나도 나는 흉내조차 낼 수 없었다. 아무래도 나는 미술엔 영 소질이 없는 모양이다. 지금도 내가 가장 경외의 눈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은 화가들이다.

그러한 내가 미학에 관심을 갖게 된 건 순전히 최영미 때문이었다. 최영미가 당시 나로서는 낯선 서울대 '미학과'를 졸업했다는 것. 그리고 당시 내가 파헤치고 있었던 김지하가 역시 같은대 미학과 출신이였다는 점. 그것으로 충분히 미학은 나의 동경의 대상이 되었다. 아마 내가 조금만 더 머리가 좋아(사실은 좀 많이) 서울대 문화에 편승할 처지가 되었더라면 나는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서울대 미학과를 택했을 것이다. 이책의 저자인 진중권 역시 같은 과 출신이다. 그들을 통해 난 미학이 중요한 인문학의 한 분야임을 비로서 발견하게 된다.

물론 이책의 읽기는 진중권이란 사람에 끌린 관심보다도 미학 그자체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후설이 있겠지만 진중권이란 사람은 '폭력과 상스러움'에서 그 진가가 발휘되니 말이다. 이책은 미학의 역사를 차분히 따라 내려가며 각 시대별 미학의 주요한 범주들을 꼼꼼히 짚어가는 좋은 미학입문서라 할 수 있다. 처음 미학을 접하는 사람들도 그리 어렵지 않게 관심을 기울일 수 있다. 다만 조금은 낯설은 서술방식으로 처음엔 다소 읽어내리기 부담스러운 면이 없지 않다. 하지만 조금 읽다보면 익숙해지고, 이책을 통해 다른 미학관련서도 비슷한 과정으로 익숙해 질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지금까지 생소했던 미학이란 분야가 사실은 철학과 과학과 얼마나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지를 발견해 내게 되고, 그것이 단순히 좋은 그림을 구별해 내는 학문, 좋은 예술을 가려내는 학문의 영역을 넘어, 세상의 모든 대상들을 어떻게 미적대상으로 바라보고, 미적태도로 주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작은 모색을 해나가게 된다. 근래들어 많이 출간되는 미술관련 서적들... **의 유럽문화기행이니.. 서양미술기행이니... 하는 기행과 미술이 만나는 출판물의 유행과 더불어 이러한 미학관련입문서들의 숙독은 꽤 괜찮은 교양의 근저를 이루리라 확언한다. 그리고 이책을 통해 에셔라는 생소한 화가를 만날텐데, 그의 기이하고, 신비스런 동판의 세계를 체험해 보기위해서라도 이 책의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