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Img725472183242108.jpg)
아빠는 3공 때 동장이셨다. 새마을 지도자셨고, 민주공화당 당원이셨다. 새마을 마크가 중앙에 달린 초록색 모자와, 썩어가는 돼지빛깔의 유니폼을 입고, 골목에 블럭을 깔고, 마을 할머니, 할아버지들 모시고 춤추는 최전성기 때의 사진이 앨범 하나에 가득이다. 5공 때는 동네의 빌어먹을 자식들을 삼청교육대에 많이도 보냈노라고 자랑 삼아 얘기하신 적도 있다. 그런 사람이었다. 그런 사람이었는데 지금은 TV 앞에서 어린 손주랑 채녈 싸움이나 하며, 같이 늙어가는 마누라 괜한 흠잡아 닦달이나 하며 소일하고 계신다. 세월이 참 많이도 흐른 것이다.
그런 아빠 밑에서 자란 나의 어릴 적 가장 큰 걱정은 북한"괴뢰군"이 쳐들어오면 어떻게 하나 하는 것이었다. 당시에는 왜 그리 북괴와 관련한 흉흉한 소문이 많았던지, 금강산 댐 사태에 이르렀을 때는 정말이지 당장에라도 전쟁이 날 것처럼 떠들어 댔었고, 아빠와 아빠의 큰 딸인 큰언니는 공식적인 규탄 대회에 참석하느라 바빴고, 나는 부랴부랴 집 안팎을 돌아다니며 전쟁이 날 경우 숨을 곳 찾기에 골몰했었다.
영화 실미도에 대해 알기 전까지, 그러니까 실미도 사건에 대해 제대로 알기 전까지 나는 김신조 사건이나 간첩단의 버스자폭사건 같은 것이 내가 초등학교에 다니던 80년대 초반에 일어난 일인 줄로만 알았다. 십 몇 년 전의 일임에도 위쪽에서 방귀만 뀌었다 하면 당장에라도 똥을 뿌지직 싸 낼 것처럼 호들갑을 떨어대며 제2, 제3의 김신조 운운하던 어른들 덕이었다. 지금 생각하니 새삼 고맙다. 날 언제나 긴장과 불안 속에 살게 해 줘서.. 제길..
“아무리 그래도 무장공비는 너무 심한 거 아냐?” 본격적으로 눈물이 흐르기 시작한 것은 강성진이 이렇게 말을 하면서 죽어갈 그 때부터였다. 뭐, 그 전에 설경구가 아버지의 월북으로 어머니는 평생 앉아서 잠을 잔다는 그 이야기를 할 때 찔끔 울기는 했지만, 전반적으로 신파스러운 오버된 연기와 억지스러운 감정의 조장에 은근히 심사가 꼬이고 있던 중이었다. 그냥, 사건을 있는 그대로만 다큐멘터리 식으로 엮어 놓아도 충분히 감동적인 영화가 되어줄 소재를 참 이렇게도 80년대스럽게 만드나 싶어졌던 것이다.
영화가 중반으로 접어들 때부터 줄창 울어대던 동생도 맘에 안 들었다. 고만 좀 울라고 옆구리 쿡쿡 찌르다, 하긴 나도 영화가 끝날 무렵엔 엉엉 울고 말았다. 울면서도 이런 별로 마음에 들지도 않는 영화에 울고 있다니 싶어졌지만, 영화의 장면에 대한 눈물이 아니라 당시 그 실미도 대원들에 대한 눈물이다, 라고 생각하고 맘껏 울었다. 그렇게 생각하니 그들이 정말 슬펐고, 우리들의 무지가 정말이지 미안해졌다. 무슨 이런 개 같은 나라의 개 같은 국민이 다 있나, 아무리 그래도 정말 무장공비는 너무 심한 것 아닌가 이 말씀이다.
그렇게 한참을 울고 나왔는데, 옆자리 쫄로리 셋 앉은 여자들의 눈이 우리의 탱탱 붓고 벌건 눈에 비해 너무 말개서 무안했다. 아무리 영화가, 자기들끼리 너무 비장해서 우리가 비집고 들어가 몰입할 구석을 조금도 주지 않아도 그렇지 억울하게 죽어간 실존 인물들을 조의하는 마음에서라도 조금은 울어주는 게 예의가 아닌가...뭐...아님 말고...ㅡㅡ; 흠 아무튼, 나로 말하면 그렇게 개죽음한 그들을 무장공비라고 십수 년을 믿어 온 게 미안해서, 그리고 아무리 무장공비였대도 거 시원하게 잘 죽었네,라고 말했던 게 미안해서 울었다. 그러나 좀 울어보라고 준비해 둔 다음과 같은 장면, 그러니까 그들이 피로 자신의 이름을 버스 구석구석 써가는 장면이나, 허준호가 사탕을 떨어뜨리는 장면은 실제 그들이 그랬다고 해도 역시 신파조였다. 실미도와 강우석이라….아무래도 너무 안 어울리는 궁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