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우 <발원>1권을 방금 다 읽었다. 

원효 뿐만 아니라 요석, 혜공, 혜숙, 사복 등 겨우 기억만 하던 이름들을 그 시대를 살아냈던 생생한 인물로 되살려낸 것만으로도 고마웠다. 

아래에 1권의 서사를 이끌어내는 두 주인공, 선덕여왕과 원효의 대화 중에서 몇 줄 옮긴다.

 

 

(황룡사 백고좌 법회에서 원효가 선덕여왕에게)
“수행자란 중생을 너무나 사랑하여 법열에 머물지 않으신 부처님을 배우고 따라가려는 이들이 아닐는지요. 이 자리는 인왕경을 설하는 자리입니다. 임금의 일 역시 이러할 것입니다. 백성을 사랑하여 일신의 안락에 머물지 않아야 하는 것이 임금의 자리입니다. 그런 임금의 스승이 되어야 할 불제자들의 현실은 어떠합니까. 절 밖의 백성이 굶주리건 말건 모든 것이 넘치고 안락한 이 절 어디에서 중생을 향한 부처님의 자비를 볼 수 있습니까?”
사자좌 승려들의 얼굴이 붉으락푸르락했다. 지장전에서 소녀를 윽박지르던 승려의 얼굴도 벌겋게 상기되어 번들거렸다.
“부처님께서는 단 한 명의 구제받지 못한 중생이 있으면 그를 위해 세상 한가운데 머문다 하셨습니다.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 황룡사 불제자들의 상구보리는 귀족과 황금입니까? 이곳의 하화중생은 게으름과 배척입니까? 여래가 세상에 온 것은 가난하고 소외되어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서라 하더군요. 저기 장경각에 가득 쌓인 숱한 경전들에 말입니다!”
젊은 승려의 포효는 거칠고 뜨거웠다. 그는 포효하면서 동시에 울고 있는 듯했다. 야생의 분방함과 단독자의 고독한 통찰이 넘쳐나는 날랜 백호와도 같은 그 모습을 선덕여왕이 집요한 눈빛으로 응시하고 있었다. (133-134)

 

(원효가 선덕여왕에게 신라에는 희망이 없다면서)
“삼국 간의 전쟁은 각국의 귀족 세력이 자기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싸움에 불과합니다. 전쟁에 동원되어 죽어 간 백성들의 피가 강이 되어 흐릅니다. 백성의 삶에는 아군과 적군이 갈리지 않으나, 귀족의 삶은 아군과 적군의 구별을 필요로 합니다. 대다수 백성들이 단 한 줌 귀족의 부와 권세를 위해 희생당하지만 귀족들은 아무리 많이 가져도 만족하지 못합니다. 신라는 불국토를 염원하나 지금과 같은 세상은 부처님 세상과 거리가 멉니다. 탁류…… 지독한 탁류의 세상이라 아룁니다.” (157)

 

(선덕여왕이 원효에게)
“그날의 백고좌 법회는 어떠했나. 화려하였지. 법회장은 말할 것도 없고, 궁에서 황룡사까지 길은 온갖 치장으로 마치 꽃놀이 행차와 같았다. 이제 신라는 점점 더 화려한 의례를 필요로 한다. 환각 같은 것이다. 눈에 보이는 장엄한 행렬이 백성들에게 안도감을 주기 때문이다. 백성들은 왕족과 귀족을 받들면서 그 보호 아래 무탈하게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 신라의 왕족과 귀족이 백성 앞에 자신의 모습을 드러낼 때 최대한 화려하게 보이려 치장에 열중하는 것은 자신이 고귀한 신분임을 증명해 보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들인가. 나는 귀족과 백성의 그런 어리석음을 둘 다 미워한다.” (160-161)

 

선덕이 귀족과 백성의 어리석음을 모두 미워하는 심정, 오늘날의 지식인들 그리고 알라디너들도 다 공감하는 바가 있을 거 같다. 어찌 해야겠나? 옛 사람들은 다 알고 있었다. 물론 원효도 알고 있었겠지.

 

이틀 전 결사 수련의 계획을 짜는 회의에서 원효와 야신은 또 한 번 충돌한 바가 있었다. 결사 수련 기간 중 무예 시간을 더 늘려 잡아야 한다고 야신은 주장했고, 1년 만에 보현지도의 학문 담당 낭두가 된 원효는 학문 정진 시간이 더 확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혜로운 선인이 이르기를, 재상 하나가 만 권의 글을 읽는 것보다 백성 만 사람이 각기 한 권의 책을 읽는 편이 낫다고 했습니다. 작금의 신라도 이러한 지혜를 살펴야 할 때라고 봅니다.” (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