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슈비츠 수용소장 헤스의 고백록
루돌프 헤스 지음, 서석연 옮김 / 범우사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은 다음 '나치의 자식들'과 '히틀러의 뜻대로'라는 책을 읽는다면-아니면 반대의 순서라도 괜찮다-나치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내면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지 않을까....

현준만의 "이야기 세계사 여행"에 소피아 리트빈스카의 '아우슈비츠 가스실'이라는 기록이 나온다. 

"크리스마스 전날 무슨 일이 있었나? 병동인 제4동에서 대규모 선발대회가 있었다. 3천명이 넘는 유대인 여자들이 이 선발 대회에서 행진을 해야 했다... 의사들 앞에서 완전히 알몸으로 부동자세를 취하고 서 있어야 했다...몸매가 별로 좋지 않은 사람이나  너무 마른 사람들, 또는 어떤 이유에서든 그 양반들이 좋아하지 않는 몸을 가진 사람들 역시 번호를 받았다...나도 번호를 받았다...다음날 낮에 18동으로 옮겨졌다. 오후 다섯 시 반쯤 트럭이 왔고 우리는 동물과도 같이 완전히 알몸 상태로 트럭에 태워졌다. 우리가 실려간 곳은 화장터였다...그 다음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기억하는가? 그 순간 누군가 내 이름을 부르는 것 같았다... 내가 가스실에서 나올 수 있었던 것은... 내 남편이 폴란드군 장교라는 점도 영향을 주었던 것 같다."

루돌프 훼스라는 사람이 있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고, 부모들은 이 아이가 신부가 되기를 간절히 원하였다. 그러나 이 아이는 스탈린 처럼 아주 사소한 이유로 신부가 되는 길을 포기하였다. 대신 그는 자신의 육체가 허락하는 일을 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그에게는 신부가 되기 위해 그동안 훈련하였던 자신만의 규칙적인 세계가 있었다.  그 세계는 "청빈, 순결, 순명"이라는 거룩한 종교적 모토였다. 그에게 있어서 이 세 가지 모토는 중요한 것이었다.

**스탈린 역시 신학교에서 쫓겨났지만 그의 인생은 그 당시 익혔던 종교적 금욕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 역시 의미심상하다.

상부의 명령에 충실히 따르는 순명, 자신의 임무를 완벽하게 처리하고자 하는 순결, 가정과 과업만을 생각하는 청빈이라는 비뚤어진 인생관은 결국 그 자신이 무슨 일을 저질렀는가도 모르는 기계적인 인간을 만들었다. 종교는 자신의 신념을 필요로 하듯 맹목적인 충성 역시 신념을 필요로 한다. 그렇기에 종교의 순교자가 떠받들임을 받듯 이데올로기의 희생자는 체제의 압잡이가 된다. 하지만 종교의 순교자는 피의 희생자이지만 체제의 순종자는 피의 도살자가 될 뿐이다.

루돌프 훼스는 순교자의 길을 택하는 대신 도살자의 길을 택하였다. 하지만 그의 사고는 마비되어 자신이 도살자가 아니라 순교자라고 믿고 있다는 점이다. 역사는 이런 사람들을 희생양이라고 부르던가...

훼스의 고백록은 자신의 변명으로 가득차 있지만 그 변명이 역으로 체제의 잔혹함을 증언하고 있다는 점이다. 부처는 인간의 한 성품으로 "측은지심"을 말하고 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불편부당한 세계를 꿈꾼다. 하지만 그렇지 못할 때 침묵한다면 "방관자"가 되는 것이다. 방관자가 되지 않기 위해 우리는 끊임없이 저항하려고 한다. 저항을 하지 않는 사람은 결국은 체제의 옹호자가 될 수밖에 없다.

훼스의 고백록을 읽으면서 느끼는 감정은 우리의 용기에 따라 방관자가 될수도 아니면 순교자가 될 수도 있다는 지극히 평범한 사실을 느끼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