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3세 - 전예원세계문학선 316 셰익스피어 전집 16
윌리엄 세익스피어 지음, 신정옥 옮김 / 전예원 / 199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1985년 안드레이 콘찰로프스키 감독의 런웨이 트레인runaway train이란 영화를 통해서 흥미를 갖게 되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 존 보이트가 설원을 달리는 폭주기관차에 서서 죽음으로 달려가는 장면에서 '짐승에게도 자비가 있는데 그것도 없는 나는 짐승도 아니다'라는 대사가 자막으로 나오며 세익스피어의 리처드 3세라고 나타난다. 이 말이 의미하는 뜻이 좋아 리처드 3세를 사서 읽으며 이 대사를 찾았다. 대사는 2장의 헨리 6세의 장례식에서 미망인 앤과 리처드가 나누는 대화의 한 구절이다. 번역본에는 난 동정심같은 건 전혀 없소. 그러니 짐승도 아니지.라고 되어있다. 영화속의 장엄한 번역과는 차이가 있는 것에 감흥이 많이 식었음은 물론이다.

이런 차이가 리처드 3세의 진실이 아닌가 싶다. 역사 속의 리처드 3세와 희곡속의 글로스터 공작의 모습은 전혀 다른 모습이다. 희곡 리처드 3세는 철저한 악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역사 속의 리처드는 요크가와 랭커스터가의 화합을 위해 노력한 인물이었다. 그는 승리자였음에도 관대했고 정의로웠다. 그 관대함은 배신으로 보답받았고 정의는 불신으로 보상받았다. 그는 화합을 추구했지만 철저하게 배신당하였고 보스워스의 벌판에서 마지막으로 인간 세상의 참 모습을 보아야 했다. 그 결과는 패배였고 죽음이었다. 그는 죽은 뒤에 승리자인 튜더가문의 유일한 상속자인 헨리 튜더에 의해 시신이 능욕당하는 치욕을 겪게 된다. 헨리는 리처드의 시신을 사냥감처럼 말 등에 옷을 벗겨 묶어 끌고가는 만행을 저질렀다. 일국의 왕이었던 사나이가 말 등에 벌거벗은 시신으로 묶여 요크 시내로 들어갔을 때 시민들은 죽은 국왕에 대해 예의를 표했다고 한다.

역사와는 다른 리처드의 모습은 이언 매켈런이 주연한 현대적 형태의 리처드 3세에서 더 그럴듯하게 보인다. 약간 굽은 모습과 한쪽 팔을 쓰지 못하는 기형의 리처드, 교활함과 시기심 그리고 권력에의 의지는 세익스피어가 그리고자 했던 리처드 3세의 변형을 잘 보여준다. 리처드 3세는 아마도 권력에 의해 가장 심하게 왜곡된 역사의 인물인지도 모른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 지 아이 제인이란 영화에서 시작부에 교관이 훈련병들을 다그치며 하는

I never saw a wild thing
sorry for itself.
A small bird will drop frozen dead from a bough
without ever having felt sorry for itself.

라는 말도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의 시 self-pity라는사실이다. 시가 가정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특수부태 훈련소의 교관 입에서 튀어나온 다는 그 자체도 어찌보면 스테레오 타이프에 대한 왜곡인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