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비 딕 - 하 열린책들 세계문학 215
허먼 멜빌 지음, 강수정 옮김 / 열린책들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비딕은 분량 만큼이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작품이다. 사람들은 고래잡이의 이야기가...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소설 전체를 바라보는 것을 거부할 수도 있다. 그만큼 이 소설은 부분이 전체를 갉아먹은 대표적인 책이라 할 수 있다.

멜빌의 시대에 고래는 풍부한 자원이었다. 하지만 지금 고래는 멸종위기에서 벗어나려 애를 쓰고 있는 중이다. 고래는 아메리카 대륙의 들소처럼 잡아도 잡아도 고갈되지 않는 자원처럼 느껴졌던 시절이었다. 그래서일까 고래에 대한 경외감은 없다. 오직 고래에 대한 정복욕만이 있을 뿐이다. 정복은 확장이다. 아메리카 대륙의 들소를 바라보는 인디언과 백인의 시각이 다른 것처럼 고래를 향한 아메리카의 벌거벗은 모습을 볼 수 있다. 인디언에게 삶의 자원인 들소가 백인들에게는 모피 한 장으로 계산된다. 고래 역시 마찬가지이다. 바다의 제왕이었던 고래는 해체되어 윤활유나 등불의 기름으로 변환될 뿐이다. 이 순진한 바다의 제왕에게 면죄부를 줄 수 없다. 오직 희생의 원인만을 제공해야 할 뿐이다. 결국 백색의 공포로 과장된 이 동물은 인간을 위해 희생되어야만 하는 필연성을 강조한다. 아메리카 미국에게 바다는 대륙과 마찬가지의 세계였다. 윌리엄 와일러 감독의 대서부란 영화를 보면 해양 사나이 그레고리 펙이 서부에 도착하여 광할한 서부를 마차로 달릴 때 마부가 물어본다. 이렇게 크고 광할한 곳을 본 적이 있냐고. 마부의 자부심은 신사가 봤다고 했을 때 이해할 수 없는 표정을 짓는다. 마부는 묻는다. 어디냐고. 신사는 대답한다. 바다라고.  아메리카 대륙에 상륙한 백인들이 서쪽으로 나아가면서 열차로 상징되는 과학을 강조하였다. 이 과학 앞에 인디언과 들소는 방해물이었다. 그래서 백인들은 과학으로 대륙의 전설인 인디언과 들소를 도륙하려고 작정하였다. 이 결과 백인이 들어오기 전 6천만 마리가 넘던 대륙의 들소는 1천 마리 정도로 줄어들게 되었다. 들소의 학살로 이를 주식으로 삼던 인디언들은 저항 다운 저항도 해보지 못하고 덤으로 역사에서 사라졌다. 고래 역시 대서양에서 태평양으로 확장해 나가던 아메리카에게 꼭 필요한 대상이었다. 기계를 돌리고 거리를 밝히는 문명을 위해 바다의 전설은 사라져야만 했다. 다만 이 광할한 바다에는 인디언이 없었기에 이를 대체할 증오의 표적이 있어야만 했다. 그것은 흰색으로 대표되는 공포와 두려움이었다. 거대한 흰색의 공포를 정복해야만 하는 필연은 과학과 문명 앞에서 다시 각색되어야만 했다.

산업사회가 성숙되어 가면서 기계를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윤활유는 고래기름과 야자유를 거쳐 석유로 이어지게 되고 유럽의 식민주의는 완성되어 간다. 자본주의의 완성에서 희생자는 고래가 아니다. 고래는 문명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도구일 뿐이다. 이 도구를 얻기 위해 바다로 나아가는 이스마엘로 대표되는 모험가들이 희생자가 되는 것이다. 모험가는 역설적으로 바다의 역습에서 식민지 세계의 원주민이 만들어 놓은 관을 구명보트 삼아 살아남고 다시 바다로 나아갈  수 있는것이다. 불행하게도 순환의 끝은 마지막이 아니라 처음이다. 이 탐욕의 확장은 고래에서 끝나지 않는다. 고래-황마-커피-코코아-면화-석유.... 모든것의 끝은 언제나 "나의 이름은 이스마엘(방랑자)이다"로 끝나며 시작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