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마의 하층민
임웅 지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04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로마의 하층민은 검투사, 매춘부, 도시 빈민, 소작인이다. 저자는 역사의 주체로 기득권층이 아닌 소외계층을 택하였다. 이는 저자가 서문에서 영웅사관적인 서술방식에 부정적인 모습을 보인 것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라 하겠다. 저자는 대중의 역사적 역할에 대하여, 역사의 주체에 대하여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면서 하층민을 통해 한 사회를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이러다보니 대체로 로마의 어두운 면이 집중적으로 조명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이 책은 역사의 다수이면서 권력으로부터 소외되었던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기술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언급하고 있는 검투사, 매춘부, 도시 빈민, 소작인등은 자신이 원해서라기보다는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로마는 공화정에서 제국으로 이행하면서 근간을 이루던 평민계급이 세분화되면서 힘을 잃어간다. 대신 귀족계급들은 부와 권력의 집중을 통해 이전보다 더욱 막강한 힘을 소유하게 된다. 이런 계층간의 불균형을 로마제국은 현대의 3S 정책(sport, sex, screen)과 유사한 빵과 오락으로 덧칠을 해 버렸다. 제국의 이런 정책은 얼마나 철저했는지 로마의 경우 기근이 엄습해도 굶주림은 없을 정도로 빵의 공급에 최선을 기울였다. 그리고 원형경기장을 통해 이루어지는 오락은 제국 전역에서 사람들의 관심사를 다른 곳으로 돌려놓는데 성공하였다.
로마제국의 하층민은 제국의 일원이면서 어느 순간 제국의 열외자로 전락하였다. 그것은 로마제국의 확장이 멈춘 순간부터 시작되었다는 점은 로마제국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알려주는 것이라 하겠다. 그럼에도 이들 하층민은 제국의 위정자들에게 무시할 수 없는 존재였다. 이들은 제국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세금을 거둬들이는데 요긴한 존재들이었다. 역사에서 보듯 하층민은 착취와 억압에 익숙해 있는 존재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들 하층민의 역사적 사실을 읽어가면서 느끼는 점은 역사의 유산을 상속받아 전달하는 것 역시 하층민 또는 대중의 역할이란 생각이 들었다는 점이다. 로마의 도시 빈민과 소작인의 이야기를 통해 유럽 중세의 원초적인 모습을 본다거나 검투사와 매춘부를 통해 중세의 소외계층을 미리 유추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왕조와 시간은 흘러가지만 대지에 혹은 인간들 사이에 뿌리를 박고 있는 이들 계층은 역사의 전달자 혹은 보존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역사의 가장 평범한 편식문제를 우리에게 경고하고 있다. 그 편식을 통해 조장되는 왜곡은 역사의 진면목을 파악하는데 계륵이 될 수 있다. 사람들은 일단 자신이 획득한 지식의 질과 양에 상관없이 폐기하기를 주저한다. 이 결과 편식에 의해 고형화 된 역사의 지식을 버릴 수도 삼킬 수도 없는 처지가 될 때 역사의 왜곡은 시작되는 것이다. 이 책은 로마의 화려함과 장려함만을 생각하는 사람들이라면 한번쯤은 읽어볼 만한 책이라 할 수 있다. 그 외형의 장중함 뒤에 무엇이 있는가를 읽으면서 왜 초세기 그리스도교의 교부들은 로마를 창녀, 위선자, 바빌론과 같은 혐오스런 이름으로 불렀는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교부들이 볼 때 로마는 인간의 평등성보다는 불평등성이 사랑보다는 허위가 관용보다는 잔인함이 넘치는 도시였기 때문이었다. 당시 교부들은 이런 인간과 도시의 타락을 종교적 사랑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고 믿었다. 종교는 일정부분 성공했지만 분명한 것은 그 당시의 문제는 지금도 계속 유효하게 남아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