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들어오는 자, 모든 희망을 버려라 - 세계 역사를 바꾼 스탈린그라드 전투 590일의 기록 서해역사책방 7
안토니 비버 지음, 안종설 옮김 / 서해문집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전쟁의 기록이지만 그 깊숙한 내부의 이야기는 전쟁을 말하고 있지 않다. 그 전쟁을 수행했던 병사들에게 고통을 강요했던 자들에 대한 이야기인것이다. 단테의 신곡에서 따온 제목 처럼 이 책은 스탈린그라드에서 죽은 수많은 병사들에게 강요되었던 희망의 압살에 대한 총체적인 기록인 동시에 체제-볼세비즘과 나치즘-에 대한 고발이다.

저자는 스탈린그라드의 승리와 패배가 두가지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고 보고있다. 첫째는 히틀러가 스탈린그라드로 대표되는 소련을 침공함으로서 소련국민들은 스탈린의 공포정치와 그 체제를 어쩔 수 없이 인정해야만 했고, 조국 러시아와 스탈린을 동일시할 수밖에 없었다. 둘째는 스탈린그라드의 패배로 인해 독일국민들 역시 히틀러에 반대하는 입장에 있더라도 조국 독일을 위해 최후까지 싸워야만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는 점이다. 이 두 독재자의 무모한 전쟁은 전쟁터에서 싸운 병사들이 원하지 않았지만 이들 두 독재체제의 견고함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철저하게 이용당하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전쟁에 관한 기록이라기 보다는 정치에 관한 교훈적인 책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만큼 이 전쟁은 수많은 젊은 생명을 담보로 한 체제유지를 위한 전쟁이었던 셈이다. 이 책의 곳곳에 드러나는 체제의 무능과 이로인해 이유없이 고통당하고 죽어나가는 소련과 독일의 젊은 병사들은 조국의 이름보다는 스탈린과 히틀러의 이름으로 싸워야만 했다. 여기서 우리는 정권과 국가가 하나로 혼합되는 그런 사고방식을 보게된다. 이런 사고방식은 우리의 세대들에게도 낯선 풍경은 아니다. 체제와 국가가 일체로 오해될 때 얼마나 많은 고통이 뒤따르는지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국가는 영원하지만 정권 혹은 체제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스탈린과 히틀러는 자신의 정권 혹은 체제가 천년제국처럼 영원할 것으로 보았다. 즉 정권과 국가를 일치시킴으로서 그 체제에 반대하는 자들 마저도 사이비 국가주의속으로 몰아넣어버리고 말았다는 점이다. 이런 독재자 혹은 얼치기 지도자에 의해 소련은 4년의 전쟁을 통해 9백만의 전사자와 1천 8백만명의 부상자를 낳았고 민간인 1천 8백만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즉 소련은 군인과 민간인 사망자가 무려 2천 6백만 명에 달하였다. 독일 역시 전체 사망자는 이 숫치의 1/5 정도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는 위대한 승리와 고귀한 패배는 없다. 오로지 두 독재자의 개인적 증오와 적대감만이 있을 뿐이다. 체제의 본 모습이 프로파간다에 의해 어떤 희생을 요구하는지 이 책은 잔인하리만치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