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으로 올바른 베드타임 스토리
제임스 핀 가너 지음, 김석희 옮김 / 실천문학사 / 1996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과 유사한 것으로는 일본 작가 키류 미사오의 <알고보면 무시무시한 그림동화>를 들 수 있다. 다른 점이라면 키류 미사오의 작품이 철저하게 하드 고어hard-gore적인 취향을 유지하고 있다면 이 작품은 PC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PC란 Politically Correct, 즉 '정치적으로 올바른'이란 뜻으로 이것은 편견이나 차별에 바탕을 둔 언어적 표현이나 소수파에게 불쾌감을 주는 표현을 제한하자는 운동을 의미한다. 이 운동은 다문화, 혼성문화에 대한 다원적인 관점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책에서도 키류 미사오의 책에서 다룬 동화들이 재구성되어 다루어지고 있다. 백설공주의 악한 왕비인 계모는 '마술거울을 이용한 심리치료사'로, 백설공주는 요가명상을 수행하고, 신데렐라는 여성해방운동의 기수가 된다는 식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이야기를 비틀어 들려주고 있다. 즉 여기에 소개되는 동화들은 그동안 전세계적으로 성장기의 아동들에게 명작이라는 미명하에 읽혀진 책으로 현대사회의 고정관념을 형성하는데 무의식적으로 공헌한 작품들이라는 점이다. 이 동화의 관점은 철저하게 유럽의 백인들 시각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 결과 이 동화속의 설정은 이 세상의 한부분인 유럽의 백인들만의 사고방식에서 전세계적인 사고의 패턴으로 확장되고 그렇게 인식되어 버렸던 것이다. 이 결과 나타나는 문화적 괴리감은 사실 제3세계에서는 고려의 대상은 아니었다. 유럽=부의 공식이 지속되는 한 문화적 괴리감을 없애는 그 자체가 선진화되는 것으로 믿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우리들의 고정적인 사고방식에 일침을 가한다. 물론 그 일침 역시 백인의 시각이라는 사실이 약간은 불안하지만... 그래도 저자는 PC적인 기준을 잣대로 삼아 이야기를 이끌어 가고 있기에 그나마 다행스럽다고 해야할까. 하지만 이런 약간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제일 먼저 시작되는 '빨간모자'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그 기발한 사고의 전환에 무릎을 치게 될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