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국 민중사
J.F.C.해리슨 / 소나무 / 1989년 12월
평점 :
품절
역사는 언제나 소수의 영웅들에 의해 창조된다고 믿었던 적이 있었다. 칼라일의 <영웅숭배론>을 떠올리지 않더라도 역사의 주도권은 언제나 권력을 가진 소수의 손에 의해 전단되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었다. 민중들은 언제나 권력의 끝자락까지 접근했다가 소수의 기득권 집단에 의해 밀려나곤 하였다. 프랑스 혁명이 앙시앙 레짐으로 복귀하면서 혁명의 순수함을 상실하였고, 러시아 혁명 역시 노동자의 천국 일보 직전에서 스탈린 주의자들에 의해 인너서클의 통치로 변색되고 말았다. 그러기에 민중이 주도권을 가진 역사는 기존의 역사책에서는 결코 찾아 볼 수 없다.
이 책은 이런 우리의 선입견을 타파해주는 아주 의미 깊은 책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영국이라는 지리적으로 한정된 부분만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민중의 역사에서 각국의 민중들이 어떤 연대관계를 유지하였는지를 파악하기는 힘이들다. 하지만 영국이라는 커다란 역사의 줄기 속에서 민중들이 자신들의 위치를 권리를 확보하기 위해 어떻게 투쟁하고 좌절하였는가를 볼 수 있다. 사실 기존의 영웅역사론의 주 무대가 화려한 조명을 받는 역사적인 장소라면 민중의 역사가 이루어진 장소는 도시의 뒷 골목, 공장, 그리고 야학과 같은 알려지지 않은 무명의 장소이다. 그렇기 때문에 민중의 역사를 기념할 기념물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 책에서 가장 눈에 띠는 것은 마이너리티의 역사에 등장하는 역사적 용어들이다. 이들 용어들은 민중의 삶과 삶의 진보에 아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이 책은 봉건적 농민이 어떻게 근로 민중으로 그리고 노동계급으로 변화하면서 종국에는 민중이라는 개념으로 태어날 수 있었는가를 시대적으로 자세하게 고찰하고 있다. 각각의 주제를 3장으로 구성하여 모두 12장으로 구성된 이 민중의 역사는 선동성이나 가르치려는 목적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주려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 봉건농민이 민중으로 변모해가는 과정을 읽어간다는 것은 인내를 필요로한다. 그리고 민중들은 우리들이 지금 생각하는 민중과는 아주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이들은 19세기가 끝날 때까지도 읽기와 쓰기 가운데 하나는 할 줄 몰랐다. 이들 두 가지를 완벽하게 할 줄 아는 집다는 전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지배계층 뿐이었다. 그러므로 이들에 대한 기록은 순전히 지배자의 기록에만 단편적으로 남아있을 뿐이다. 설혹 민중의 기록이 남아 있다하더라도 불완전한 철자법과 속어의 남발로 인해 해석이 극히 제한되어 있다. 이런 민중의 모습이 시종 냉철하게 기록되어 있는 이 책은 민중사를 이해하는 하나의 기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넷 터너, 말콤 엑스와 같은 민중적 인물의 이야기도 기존의 역사적 서술에서는 영웅적 방식으로 변경됨으로서 그들의 진짜 의도를 왜곡시킬 여지가 많다는 점이다. 이런 점에서 이 민중사는 민중의 역사를 보는 우리의 시각을 좀더 엄격하게 교정시킬 수 있다고 본다. 이 책에서 저자는 시종일관 우리들에게 이런 말을 전하고 있다. <민중은 변질을 겪지만, 기본적으로는 변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의 역사는 꿈의 순서와 흡사하다. 어떤 점에서 그들은 과거 혹은 미래의 외부에 서 있고, 항상 현재에 존재할 뿐이다. 시간은 그들과 관계되지 않는다> 이 말은 지상에서의 유한한 삶 속에서는 행복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