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태의 역사 ㅣ 대원동서문화총서 10
막스디몬트 / 대원사 / 1990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역자가 서문에서 밝힌대로 미완성의 번역본이다. 유대의 역사를 기술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고대의부분을 생략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략 반의 분량을 번역한 이 책은 독자들이 가장 흥미를 보이는 르네상스 이후 유대인 박해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사실 유대민족의 형성이라든가 그 고유의 종교와 선민의식을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고대사를 필히 알아야만 한다. 유대민족은 팔레스티나에 살고있지만 그곳의 선주민은 성서에 블레셋인이라 불리우는 팔레스타인 민족이다. 유대민족은 이곳에 뒤늦게 들어와 선주민인 블레셋인과 치열한 투쟁 끝에 어렵게 이 지역의 일부를 장악할 수 있었다. 실제로 성서에 근거한 역사를 살펴보면 블레셋인들은 비옥한 해안지방을 유대민족은 척박한 산악지역에 근거하였음을 알 수있다. 이는 유대민족이 블레셋인의 무력에 눌려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대민족에게 가장 심각한 문제는 영토의 문제보다 종교의 문제였다. 그들은 남의 땅에 들어와 빌붙어 사는 처지였기 때문에 문화적 종교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아야만 했다. 그 가운데 가장 심각한 것은 블레셋인들이 숭배했던 바알신의 문제였다. 사실 바알신은 그 당시 이 지역에서 가장 선진적인 종교의 한 형태였다는 점이다. 그러기에 유대민족들은 자신들이 믿었던 신을 떠나 바알신에게 많이 경도되어갔던 것이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 이스라엘의 예언자들은 바알과의 대대적인 투쟁에 나서게 되고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일정한 정도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이스라엘민족은 이 지역의 다신교적 문화에서 일신교적 고립으로 자신들의 방향을 틀었던 것이다. 이것은 자신들을 지키기 위한 절박한 선택이었지만 후에는 이것이 자신들의 탁월한 혜안으로 바꿔버림으로서 선민의식의 싹을 키우게 되는 것이다.
이런 고대적 발상에서 유대인들은 중세와 근세 그리고 현대를 살아오고 있다는 점이다. 막스 디몬트의 저서를 거두절미하고 전반부 반을 생략하고 후반부만을 번역함으로서 이런 전제사항이 무시된채로 후반부가 시작되기 때문에 이 책은 흥미있게 읽을 수는 있지만 전후의 상관관계를 밝혀보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르네상스 이후 시오니즘이 발생할 때까지 그 흔적을 추적하면서 우리에게 현대의 유대주의의 시원을 알게한다. 유대인의 사고방식은 유랑의 민족답게 하나의 정답을 고수하지는 않는다. 언제나 이들은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두고 해결책을 상정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대인들의 사상은 여러가지 해결책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론은 생존이라는 점으로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어찌보면 결론을 정해놓고 자유로운 토론을 하는 것과 유사한 것이라 하겠다.
이 책을 읽으면 바로 이런 점도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어떤 사고방식이나 어떤 박해의 최종 결론은 이스라엘의 국가를 건설해야만 이 비극이 혹은 이 난점이 해결될 수 있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는 현대 이스라엘의 사고방식과 결코 다르지 않다는 점이다. 현대 이스라엘 역시 자신들의 생존권이란 가장 큰 전제를 가정하고 모든 것을 바라보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유대민족이 주변 이웃과 타협할 수 없는 가장 큰 이유이며 유대인을 편협하게 만드는 원인이라고 보여진다. 이 책은 절반의 책이기에 아쉬움이 남는다.
**한글 출판사의 역사로 본 유대민족이 이 책의 완역본이 아닌지...